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75995262
· 쪽수 : 277쪽
· 출판일 : 2014-12-3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4
제1부 공간연구
제1장 고전소설의 소상강 활용 양상
1. 머리말 13
2. 소상팔경의 수용과 변용 15
3. 역사고사의 수용과 변용 22
4. 이상경의 수용과 변용 29
5. 맺음말 37
참고문헌 39
제2장 고전소설의 무덤 활용 양상과 문학적 기능
1. 머리말 41
2. 함원 무덤과 해원 기능 43
3. 영묘 무덤과 음우 기능 51
4. 위장 무덤과 지략 기능 59
5. 맺음말 66
참고문헌 69
제2부 화소연구
제3장 <조웅전>의 가상희 화소 수용과 그 의미
1. 머리말 73
2. 가상희의 실상 75
3. 가상희 화소의 수용 양상 81
4. 가상희 화소의 수용에 담긴 의미 88
5. 맺음말 95
참고문헌 97
제 4장 고전소설에 나타난 과제의 양상과 문학적 의미
1. 머리말 99
2. 고전소설의 과거 수용과 과제의 개임 101
3. 고전소설에 나타난 과제의 유형 109
4. 고전소설에 나타난 과제의 문학적 의미 121
5. 맺음말 128
참고문헌 131
제3부 교육적 연구
제5장 ≪금오신화≫에 나타난 삽입문의 교육적 활용 가치
1. 머리말 135
2. 삽입문의 문학적 실상 137
3. 맺음말 156
참고문헌 159
제6장 중고등학생의 고전소설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활용방안
-대전 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1. 머리말 163
2.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 실태와 교육적 활용 방안 166
3. 고전소설에 대한 독서 실태와 교육적 활용 방안 175
4. 고전소설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인식 실태와 교육적 활용방안 188
5. 맺음말 196
참고문헌 198
제4부 불교적 연구
제7장 고려 불교소설의 형성과 전개
1. 머리말 203
2. 형성 연원 205
3. 전개양상 210
4. 소설사적 의의 221
5. 맺음말 224
참고문헌
제8장 강창문학의 소설적 전개 양상
1. 머리말 231
2. 강창문학의 서사문학적 정창 234
3. 강창문학의 소설적 수용 241
4. 강창문학의 소설적 발전 251
5. 맺음말 259
참고문헌
찾아보기 266
저자소개
책속에서
흔히 21세기를 ‘문화의 시대’, ‘판타지의 시대’라고 일컫는다. 이렇듯 문화와 판타지가 주목받고 있는 작금에 이르러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는 것 중 하나는 고전소설이다. 문화와 판타지가 중시되면서 이와 연관된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이로 인해 독창적이고 질 높은 문화 콘텐츠의 개발이 요청되는데, 고전소설은 바로 이에 부응할 수 있는 한국적 문화 콘텐츠의 주요 창작 원천이기 때문이다.
[ 저자서문 ]
가끔 제자들로부터 어떻게 해서 고전소설을 연구하게 되었느냐는 질문을 받곤 한다. 만남은 인연을 통해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고전소설과의 학문적인 만남도 하나의 인연인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