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75995552
· 쪽수 : 237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목차
제1부 고전소설의 특수 신분 인물 연구
013 들어가는 말
제1장 고전소설의 무녀 활용과 변모 양상
017 1. 머리말
019 2. 무녀의 존재 양상
030 3. 무녀 활용의 변모 양상
041 4. 맺음말
043 참고문헌
제2장 고전소설의 점복자 활용과 문학적 기능
052 1. 머리말
054 2. 점복자의 존재 양상
064 3. 점복자의 문학적 기능
078 4. 맺음말
081 참고문헌
제2부 고전소설의 불교 관련 인물 연구
089 들어가는 말
제3장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승의 인물 유형과 문학적 기능
093 1. 머리말
095 2. 여승의 인물 유형
109 3. 여승의 문학적 기능
122 4. 맺음말
124 참고문헌
제4장 고전소설에 나타난 악승의 양상과 문학적 의미
128 1. 머리말
130 2. 악승의 소설적 형상화 방식
137 3. 고전소설에 나타난 악승의 주요 유형
148 4. 맺음말
162 참고문헌
제3부 고전소설에 수용된 고전소설 주인공 연구
167 들어가는 말
제5장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문학적 의미
171 1. 머리말
173 2.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
184 3. 숙향 수용에 담긴 문학적 의미
197 4. 맺음말
199 참고문헌
제6장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 양상과 수용 의미
201 1. 머리말
203 2.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 향상
214 3. 〈구운몽〉 수용에 담긴 문학적 의미
227 4. 맺음말
229 참고문헌
231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전소설의 악승형 인물 중에는 요망하고 사악한 술수를 통해 사건 전개에 관여하는 요사스러운 승려가 있다. 이 요사승(妖邪僧)은 고전소설에 보이는 악승 유형 가운데 출현 빈도나 작중 비중도가 가장 높은 악승형 인물이다. 이런 점에서 요사승은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악승의 대표적인 유형이라 하겠는데, 요사승은 특히 조선 후기 가문소설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고전소설에 보이는 요사승 중에는 여우가 둔갑한 경우가 다수 있다. 〈옥란빙〉의 천년화, 〈명주보월빙〉의 묘랑, 〈엄씨효문청행록〉의 영원 등과 같은 요사승의 본신은 여우다. 앞서 고전소설에서 악승의 본형을 인간이 아닌 여우로 서정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언급한 바 있는데, 이 같은 양상은 요사승 유형의 악승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이다. 그런데 이들 요사슬은 여우가 둔갑한 존재일 뿐만 아니라 여우의 속성을 그대로 지니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