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5995279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5-01-31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서론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방법과 범위
Chapter 2 사회자본 이론과 정책적 의미
1. 사회자본에 관한 다양한 이론저 논의
2. 사회자본의 정책적 의미와 육성
Chapter 3 사회자본의 조사항목과 사례연구대상
1. 사회자본의 조사항목
2. 사례연구대상과 심층면접대상자
Chapter 4 대전광역시의 사회자본 증진정책
1. 사회자본의 확충 조례와 신천전략
2. 사회자본 확충을 위한 대표사업: 대전형 좋은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
Chapter 5 대전광역시 사회자본의 양적분석
1. 신뢰
2. 사회규범
3. 네트워크
4. 참여
5. 사회구조
Chapter 6 대전광역시 사회자본의 질적분석
1. 사회적기업의 사회자본
2. 마을기업의 사회자본
3. 문화예술활동의 사회자본
Chapter 7 결론: 정책적 제언
1. 통계분석 결과
2. 사례분석 결과
참고문헌
부록
책속에서
정책결정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정책과 기관의 신회를 확보하여 지방정부의 거버넌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결정에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고 특히 법규와 제도화를 통해서 정책결정의 투명성과 신뢰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문화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 등 빗물적 자원에 대한 관심은 점점 중요해지는 빗물적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며, 그런 점에서 사회자본에 대한 정책적 개입도 그것이 궁극적으로 시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정책목표를 가진다면 역시 문화자본, 인적자본 등 다른 자본과 관련해서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다.
[ 저자서문 ]
연구결과, 사회자본이 정부개입과 시장원리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우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경험적 수준에서 확인했다. 또한, 사회자본은 이질적인 집단과 개인을 연결하여 지역사회의 자원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경제자본과 사회자본, 인적자본과 사회자본,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서로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