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5031442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제1장 섬 주민의 삶의 변화 …11
1. 들어가며 …11
2. 허베이 스프리트호 유류유출사고의 사회영향의 발생 경로 …13
3. 가의도 섬마을 개관과 생업활동 …16
4. 가의도 주민들의 사회영향 …22
5. 나가며 …37
제2장 마을공동체의 갈등과 사회자본 …43
1. 들어가며 …43
2. 사회자본과 어촌마을 …46
3. 마을의 사회자본 …53
4. 마을별 주민갈등의 정도와 양상 …62
5. 주민갈등에 있어 사회자본의 효과 …74
6. 나가며 …81
제3장 해녀들이 경험한 유류유출사고 …87
1. 태안의 해녀 …87
2. 문화생태학의 개념과 함의 …89
3. 구포리 해녀공동체의 형성과 물질노동 형태 …93
4. 유류유출사고에 의한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영향 …99
5. 나가며 …120
제4장 재난의 트라우마 …125
1. 들어가며 …125
2. 재난의 심리적 충격 …126
3. 연구내용 및 방법 …131
4. 분석 …135
5. 나가며 …149
제5장 갈등과 피해공동체의 복원력 …155
1. 들어가며 …155
2. 재난관리 거버넌스와 재난복원력 …157
3.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관계 …160
4. 허베이 스프리트호 유류유출사고의 기술재난적 특징 …162
5. 재난관리 거버넌스 행위자들의 이해와 대응 …165
6.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실패에 따른 재난 복원력의 약화 …179
7. 나가며 …184
제6장 사고발생 7년 후 어촌마을 …189
1. 들어가며 …189
2. 조사마을 개관 …191
3. 장기적 사회영향의 양상 …193
4. 사회관계의 변화 …205
5. 나가며 …213
제7장 사고발생 11년 후 어촌마을 …219
1. 들어가며 …219
2. 오염공동체의 사회영향과 복원력 …221
3. 사회영향의 복구과정 …225
4. 나가며 …248
참고문헌 …255
책속에서
사고 발생 하루 후인 8일 저녁 시간에 가의도 연안을 시커먼 유류띠가 덮쳤다. 바다로 유출된 유류는 섬을 빙 둘러쌓고 암석해안과 연안바다를 오염시켰다. 가의도 주민들이 받은 사회영향은 바로 삶의 터전인 바다생태계의 붕괴로부터 출발한다 (… …) 주민들은 자신들의 노동능력과 삶이 바다생태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 이후 바다생태계와 자신들이 하나의 운명공동체임을 인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