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75995743
· 쪽수 : 470쪽
· 출판일 : 2016-03-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작전술의 개념
1. 용병술 체계 17
가. 용병술의 체계 17
나. 전략.작전술.전술의 개념 18
2. 작전술이란 무엇인가 21
가. 작전술 개념 21
나. 작전술의 역할 31
3. 전쟁의 수준 43
가. 전쟁의 수준별 개념 43
나. 전쟁 수준의 유용성과 구분 47
다. 전쟁의 수준을 구분하는 기준 49
4. 작전구상과 요소 52
가. 작전구상 52
나. 작전구상 요소 57
다. 작전구상과 지휘관 72
5. 작전적 수준의 지휘관 75
가. 지휘관의 시각 75
나. 위임과 지원 81
6. 작전수행과 이론 82
가. 작전수행 82
나. 작전수행 이론 88
제2장 작전술의 태동과 변화
1. 작전술의 대동 103
가. 작전술의 등장 배경 103
나. 작전술의 인식 과정 107
2. 소련군의 작전술 적용과 발전 114
가. 소련군 군사술의 구성요소 114
나. 소련군의 작전술 인식 117
다. 작전술 적용과 발전 123
라. 소련군 작전수행 이론 138
마. 소련군 작전술의 특징 143
3. 미군의 작전술 적용과 발전 145
가. 미군의 작전술 인식 145
나. 미군 작전술 적용과 발전 150
4. 기타 국가의 작전술 152
가. 독일 및 프랑스 153
나. 영국 154
다. 캐나다 154
라. 이스라엘 154
5. 작전술의 변화 155
가. 용병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157
나. 작전술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3
제3장 미군 작전술의 변화와 발전
1. 1980년대 냉전기 169
가. 냉전기 작전술 이론의 변화 169
나. 주요 전쟁에서의 작전술 적용 사례 169
다. 냉전기 작전술 변화의 특징과 결정 요인 198
2. 1990년대 탈냉전기 206
가. 탈냉전기 작전술 이론의 변화 206
나. 주요 전쟁에서의 작전술 전용 사례 233
다. 탈냉전기 작전술 변화의 특징과 결정요인 240
3. 2000년대 대테러전기 247
가. 대테러전기 작전술 이론의 변화 247
나. 주요 전쟁에서의 작전술 전용 사례 293
다. 대테러전기 작전술 변화의 특징과 결정 요인 311
4. 미군 작전술의 변화와 특징 319
가. 미군 작전술의 특징과 변화 319
나. 미군 작전술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 330
다. 작전술 변화 결정요인 338
제4장 북한군의 작전술
1. 북한군의 작전술 수용 343
가. 북한군의 작전술 수용 343
나. 북한군 작전술의 발전 348
다. 북한군 용병술의 이론과 실제 350
라. 북한군 작전술의 실제 : 기계화군단 및 전차군단 353
2. 북한군 작전술의 특징 356
가. 소련군 작전술의 수용 356
나. 북한군 작전술의 특징 357
제5장 한국군의 작전술
1. 한국군의 작전술 수용 363
가. 작전술 수용 과정 363
나. 작전수행개념의 변화 387
다. 한국군 작전술 적용상의 특징 401
2. 작전술과 작전통제권 413
가. 작전통제권의 개념 413
나. 작전통제권의 변화과정 414
다. 평시 작전통제권의 전환 416
라. 전시 작전통제권의 전환준비 417
마. 작전통제권의 미래 421
3. 한국군 작전술 발전 방안 423
가. 한국군의 작전술 적용 여건 424
나. 미래전 양상 428
다. 한국적 작전술 발전방안 431
【 참고문헌 】 441
【 부록 】
1. 합동참모본부 451
2. 한미연합군사령부(CFC) 453
3. 합동군사전략능력기획서(JSCP) 455
4. 작전계획의 종류와 구분 458
5. 신속억제방안(FDO) 462
6. 영어 약어표 467
저자소개
책속에서
작전술을 포함한 소련군 군사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했던 장군들과 이론가들이 스탈린의 1인 독재를 위협하는 인물들로 인식되어 1937년 스탈린에 의해 대규모로 숙청되었다. 이때 투하체프스키, 스베친 등 기동전 학파가 제거되자 그들이 주장하던 종심전투이론과 작전술 개념들의 인식이 약화되고 한창 확장되어가던 기동전 이론과 작전술은 침체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련 군부에 대한 탄압과 숙청 과정에서 소련군 군사사상의 원형도 훼손되었다. 투하체프스키가 제거된 후, 1940년 새로운 『야전근무규정』이 발간되고, 보병이 기본병과가 되었으며 다른 모든 병과들은 보병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종심타격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별히 편성되었던 2개의 기계화군단은 해체되었다. 이러한 종심전투개념의 약화는 2차 세계대전에서 혹독한 시련을 가져왔다.
[ 저자서문 ]
한국군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축에 중심을 두고 있다. 동북아는 미국이 직면한 위협과는 상이하다. 120만 명의 정규군을 지닌 북한군, 대규모 기갑부대와 20만 특수부대를 가진 북한군은 알 카에다와는 다르며, 빈 라덴과도 다르다. 전후방이 구분된 대치 국면에서 공격과 방어를 수행해야 하며, 깊은 종심과 측.후방 타격이 요구되는 전쟁수행 방식이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는 미군의 변화하는 방식과 다르게 변화해야 한다.
한반도 특성에 맞는 한국적 교리가 발전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합동성을 바탕으로 하는 작전술이 우선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유사시 적 지역으로 전장을 확대하기 위해서 작전술이 발전되어야 한다. 선진국 교리 의존성을 벗어나 스스로 일어서려고 할 때에 교리가 발전될 수 있고, 군사에서의 한류가 가능해 진다. 훌륭한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군에서 가장 부족한 부분, 앞으로 가장 발전시켜야 할 분야가 작전술이라 생각했다. 가까운 시기에 전시 작전통제권이 전환되고, 한국군이 한국방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필요한 것이 작전술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의도에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