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75994838
· 쪽수 : 457쪽
· 출판일 : 2013-08-0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ⅳ
Ⅰ. 전략입문 (이종학) / 9
1. 역사와 전쟁 / 10
2. 전쟁이론의 연구 / 12
3. 군사이론·군사학 그리고 전략이론의 연구 / 15
4. 전쟁목적과 군사목표의 식별 / 18
5. 전략연구의 방법 / 22
Ⅱ. 현대전쟁의 성격 (이종학) / 27
1. 전쟁의 정의와 범위 / 28
2. 전쟁의 원인 / 37
3. 과거전쟁의 성격 / 40
4. 현대전쟁의 성격 / 43
5. 핵무기의 등장과 억지전략 / 49
6. 북한 사회주의자의 전쟁관 / 52
Ⅲ. 국력과 지정학설 (이종학) / 55
1. 국력 / 56
2. 지정학설 / 68
가. 마한의 학설 / 69
나. 매킨더의 학설 / 71
다. 스파이크만의 학설 / 74
라. 하우스호퍼의 학설 / 76
마. 항공세력과 지정학 이론 / 79
Ⅳ. 전략이란 무엇인가 (이종학) / 81
1. 전략의 어원과 변천과정 / 82
2. 전략의 본질 / 88
3. 전략의 구성 요소 / 96
4. 한반도의 전략이론 서설 / 99
Ⅴ. 국가전략 (이종학) / 81
1. 국가목적 / 129
2. 국가정책 / 131
3. 국가전략 / 132
Ⅵ. 군사전략 (이종학) / 171
1. 군사전략의 정의 / 172
2. 군사전략의 임무 / 173
3. 군사전략의 목표 / 178
4. 군사전략의 수단 / 183
5. 군사전략의 요소 / 185
Ⅶ. 작전술 (노양규) / 247
1. 작전술의 태동과 적용 / 249
2. 작전술의 개념 / 263
3. 작전구상과 작전구상 요소 / 276
4. 작전술의 미래 / 284
Ⅷ. 전술 (이종학) / 287
1. 전술의 원천 / 289
2. 전술개발의 여러 요소 / 295
3. 전술의 표준화 / 300
4. 전투 / 303
Ⅸ. 전쟁과 기술 (이성만) / 317
1. 군사기술 접근 / 319
2. 군사기술 체감 / 325
3. 군 혁신 논쟁 / 329
Ⅹ. 법·정치 그리고 무력의 사용 (이성만) / 353
1. 국제법 준수의 동기 / 356
2. 국제법의 진화 / 362
3. 전쟁법 / 365
4. 정전법 / 370
5. 전투법 / 377
ⅩⅠ. 북한 핵무기와 한반도 안보 (이성만) / 383
1. 북한 핵개발 현황과 능력 / 385
2. 북한 핵의 미래 / 397
3. 한국의 대응 / 404
ⅩⅡ. 미래를 위한 전략의 연구 (이성만) / 409
1. 전략연구의 발전 / 413
2. 전략·평화·안보 연구 / 416
3. 전략의 학문성 도전 / 420
4. 현실주의와 무력 / 426
5. 전략의 종언? / 431
◎ 마무리를 하면서 (이종학) / 444
※ 주요 참고문헌 / 447
책속에서
북한의 수뇌자들은 핵·미사일 전쟁의 점화단추를 누르기 전에 그 전쟁의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사전에 깊이 생각하기 바란다. 한반도에서 핵전쟁이 일어난다면 평양 금수산 기념궁전을 비롯하여 한반도는 완전히 폐허로 변할 것이고, 거기서 적화통일이 무슨 소용이 있으며, 외세의 개입으로 새로운 휴전선이 생기고, 한민족은 영원히 쇠망의 길로 접어들게 되리라. -이종학-
전쟁의 성격과 수행 그리고 전략은 시간과 상대측에 따라 반드시 변해야 하지만, 그러나 전쟁과 전략의 본질과 기능은 변하지 않는다. -콜린 그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