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88975995903
· 쪽수 : 651쪽
· 출판일 : 2016-08-31
책 소개
목차
제1편 무역의 기초
Chapter01 무역의 개념
1. 상품과 서비스의 세계적 교류와 협력 _ 24
2. 무역의 정의 _ 25
3. 무역의 필요성 _ 29
4. 국제무역과 국제통상간의 관계 _ 31
Chapter02 무역의 형태
1. 수출무역·수입무역·통과무역 _ 33
2. 직접무역과 간접무역 _ 34
3. 유형무역과 무형무역 _ 37
4. (일반)가공무역·수·위탁가공무역·수·위탁판매무역 _ 38
5. 외국무역과 내국무역 _ 41
6. 민간무역과 국영무역 _ 43
7. 남북무역과 동서무역 _ 45
8. 수평무역과 수직무역 _ 46
9. 육상무역·해상무역·연안무역·하천무역 _ 48
10. 자유무역·보호무역·관리무역·협정무역 _ 50
11. 구상무역(바터무역·대응구매·보상무역·제품환매거래·상쇄무역) _ 56
12. 삼각무역과 다각무역 _ 58
13. 기타 무역형태 _ 59
Chapter03 무역과 국민경제
1. 무역과 국민생활 _ 70
2. 무역과 국내산업 _ 71
3. 무역의존도와 국민경제 _ 72
Chapter04 무역관련 지수
1. 무역지수 _ 75
2. 교역조건과 교역조건지수 _ 80
3. 외화가득률 _ 88
4. 수입자유화율 _ 89
5. 수출입 가격 및 소득 탄력성 _ 90
6. 무역결합도 _ 93
7. 수출 수입 특화지수 _ 96
8. 무역승수 _ 97
Chapter05 한국경제와 한국무역
1. 세계경제 _ 103
2. 한국경제 _ 106
3. 한국무역 _ 106
제2편 무역의 이론
Chapter01 국제무역이론
1. 국제무역이론 연구의 기초적 분석 _ 112
2. 전통적 무역이론 _ 116
3. 현대적 무역이론 _ 158
Chapter02 국제무역정책
1. 국제무역정책의 본질 _ 178
2. 자유무역정책과 보호무역정책의 비교 _ 187
3. 국제무역정책의 수단 _ 227
Chapter03 국제금융
1. 외국환이론 _ 272
2. 국제수지 _ 315
3. 국제금융시장 _ 361
4. 선물환제도론 _ 366
Chapter04 국제무역환경
1. 국제무역의 어제와 오늘 _ 374
2. GATT체제와 UR _ 381
3. WTO체제와 DDA _ 412
4. 지역무역협정 _ 436
5. 한국경제, 한국무역 및 FTA _ 466
제3편 무역의 실제
Chapter01 무역계약의 체결
1. 해외시장 조사 _ 478
2. 회람장 발송과 신용조회 _ 496
3. 거래제의와 무역조회 _ 502
4. 오퍼와 승낙 _ 508
2. 무역계약서 작성 _ 515
3. 무역전시 _ 535
Chapter02 무역계약의 이행
1. 무역대금결제 방식 _ 543
2. 매수인의 신용장 개설과 통보 _ 553
3. 수출업자의 계약물품 조달 _ 560
4. 운송계약과 보험계약 체결 _ 568
2. 수출입통관과 선적 _ 574
3. 운송서류 준비와 대금결제 _ 581
Chapter03 무역계약의 완료
1. 무역클레임 _ 586
2. 상사중재 _ 590
제4편 무역의 실행
Chapter01 무역회사의 설립
1. 사업자 등록 _ 596
2. 무역의 형태 _ 599
3. 무역회사 창업 시 주의사항 _ 600
Chapter02 무역업의 종류
Chapter03 무역업 관련 정보
1. 회사 설립(가상) _ 606
2. 무역회사 창업 자금 _ 607
3. 수출입의 흐름 _ 607
4. 전문 무역상사제도 _ 608
5. 무역관련 국제규칙 _ 609
6. 무역관련 국내법규 _ 610
Chapter04 수출입업 창업
1. 수출입 대상 물품 선정과 주의사항 _ 612
2. 『수출입 통관 편람』 : 품목별로 수출입요령을 수록한 책 _ 613
Chapter05 무역에이전트 창업
1. 무역에이전트의 개념 _ 622
2. 무역에이전트의 종류 _ 624
3. 무역에이전트의 역할 _ 627
4. 무역에이전트를 필요로 하는 업체 발굴 수단 _ 629
5. 무역에이전트 계약 체결 _ 629
· 참고문헌 _ 631
· 색인 _ 632
책속에서
만일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면서부터 잠자리에 들 때까지 사용하게 되는 일상생활 용품 중에서 모국에서만 생산한 것을 사용하고 외국에서 생산한 것은 전혀 사용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하루를 시작해 보자. 아마 눈은 뜨겠지만 일어나지도 못할 것이다. 깔고 덮고 잔 요, 이불, 베개, 침대들이 거의 모두 외국산이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이와 같이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아주 외딴 외국에 살고 있는 친지에게 생일 선물을 보내려면 국제우편을 이용해야 하는데 너무 외지라서 자국 우편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면 그곳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 우편서비스회사를 이용해야 할 것이다. 수출품을 선박에 실어 보낼 때에도 자국 선박이냐 아니냐를 따지지 않고 오직 운송서비스가 양호하고 운송비용이 저렴한 회사를 선택하게 되고, 해상보험에 가입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품질 좋은 서비스와 저렴한 보험료를 요구하는 보험회사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오늘날 전 세계인들의 매일매일 일상생활은 알게 모르게 물품과 서비스를 서로 제공하고, 제공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즉, 오늘날 지구상에는 어떠한 나라도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다른 나라로부터 가져와서 사용하는 경우는 하나도 없이 순전히 자기네 나라가 스스로 만들어 사용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사전 상에서는 폐쇄경제(Closed Economy), 시사용어로서는 로빈슨 크루소 경제(Robinson Crusoe Economy)라고 하며, 학문적으로는 자립경제(Autarky Economy)라고 일컫는다.
[ 저자서문 ]
주지하다시피 태생적으로 부존자원이 빈약한 한국은 ‘수출입국’(輸出立國)이 불가피하여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때부터 수출을 강조해 오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입의 중요성도 강조하기 시작했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초기에는 종합무역상사제도를 도입하여 모든 수출입은 종합무역사사를 통하여 수행하도록 하여 수출주도형, 정부주도형 및 종합무역상사 주도형 경제발전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오늘의 한국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부존자원은 영구적으로 희소하고, 생산과 소비가능 인구는 줄어들고 있고, 노령화가 가속되고 있는 현실로서는 생산성 향상이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국회, 정부, 민간부문 등 사회 각 분야에서의 뼈를 깎는 개혁이 불가피하다.
지정학적으로 보아 한국은 영원히 무역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밖에 없다. 내수부문 의존도는 지금보다 늘려나가야 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것은 해외부문(무역)이다. 결국 무역 분야에서의 생산성 향상으로 국제경쟁력을 높여 수출을 확대하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역학원론을 국책과목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한국 전 국민들이 무역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기능과 역할을 숙지하여야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저서가 한국의 미래를 밝게 하고, 한국경제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