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75996764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18-05-31
책 소개
목차
제 1 장 서론
서론 ····································································· 011
제 2 장 패권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권력의 개념과 국제정치이론 ···························· 020
2. 패권개념과 패권경쟁 전략 ································ 042
3. 패권순환이론 ··················································· 050
4. 대양주의와 대륙주의 패권론 ···························· 058
제 3 장 패권경쟁과 해양력
1. 패권경쟁에서 해양력의 역할에 관한 연구들 ····· 074
2. 해양력의 개념과 역할 ······································· 081
3. 패권경쟁에서 해양력의 역할 ···························· 091
제 4 장 동아시아 패권경쟁과 한반도
1. 한반도의 전략적 지위 ······································· 114
2. 근대 열강들의 한반도 해양에 대한 인식 ··········· 119
3. 동아시아 패권경쟁에서 한반도의 역할 ············· 135
제 5 장 러·일간 동아시아 패권경쟁과 해양력
1. 러·일간 패권경쟁체제의 특징 ···························· 142
2. 러·일간 패권목표 ·············································· 153
3. 러·일간 패권경쟁 전략과 해양력의 역할 ············ 155
제 6 장 미·일간 동아시아 패권경쟁과 해양력
1. 미·일간 패권경쟁 체제의 특징 ··························· 210
2. 미·일간 패권목표 ·············································· 223
3. 미·일간 패권전략과 해양력의 역할 ···················· 228
제 7 장 미·중간 동아시아 패권경쟁과 해양력
1. 미·중간 패권경쟁 체제의 특징 ··························· 308
2. 미·중간 패권목표 ·············································· 326
3. 미·중간 패권전략과 해양력의 역할 ···················· 331
제 8 장 결론
1. 동아시아 패권경쟁에서 해양력 역할과 시사점 ·· 380
2. 미·중간 패권경쟁에 대한 한국의 대비방향 ········ 393
참 고 문 헌 ········································································· 401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동아시아에서 미·중간 패권경쟁에 관한 논의는 국제정치의 핵심 담론이 되고 있다. 특히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 이후 미·중간의 상대적 권력이 급변하게 되자 미?중간 동아시아 패권경쟁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논의 되어 왔고, 최근에는 2013년 중국 5세대 지도자로 취임한 시진핑 (習近平) 주석의 ‘중국몽 (中國夢) ’ 실현을 위한 ‘일대일로 (一?一路) ’ 21세기 실크로드 전략과 2017년 ‘미국 우선주의 (America First) ’를 내걸고 취임한 트럼프 (Donald J. Trump) 미국 대통령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전략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 1) 에 따라 양 강대국이 태평양과 인도양에서 해양력을 공세적으로 운용하면서 이미 해양에서는 패권경쟁의 불꽃이 타오르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 책에서는 패권경쟁이 지니고 있는 시간적인 장기성과 지리적인 광역 성을 고려하여 거시적 흐름에 바탕에 두고 동아시아 지역체제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과거 동아시아 패권경쟁에서 해양력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가를 분석하고, 미래에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인가를 전망하여, 다가오는 안보환경의 변화에 대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세계정치에서 해양력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특히 패권을 쟁취하는 과정에서 또는 패권을 행사하는데 있어서 해양력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에 대한 연구는 오랜 옛날부터 진행되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