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6333797
· 쪽수 : 163쪽
· 출판일 : 2008-06-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산업화를 넘어서 부강국가가 되려면
1 시장경제가 부강의 길
분업의 확대과정이 경제발전|시장경제의 시작은 자유와 재산권|경제발전은 교환의 증진으로
시장경제는 불평등을 낳는가?|부강의 길
2 최초의 근대산업국가 영국
시장경제의 조기 정착|영국 산업혁명의 문화적 배경|영국 산업혁명의 물적 배경|영국의 근대화가 주는 교훈
3 개인의 자유가 낳은 초강대국 미국
자유의 나라, 미국|시장경제의 토착화|미국의 기업|미국의 21세기 금융경제
미국사회의 회춘력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서
4 과학혁명에서 낙오한 동아시아
산업혁명 이전의 동아시아와 서구|서구 산업혁명을 가져온 과학혁명|동아시아의 과학기술을 뒤처지게 만든 과거제도|동아시아의 과학 정체에서 얻은 교훈
5 일본을 선진국으로 만든 개방정신
일본의 근대화, 메이지유신|일본 근대화 성공의 원인|선린(善隣)으로 활용해야 할 일본
6 중국과 한국의 근대화
중국의 근대화 노력, 양무운동과 변법유신운동|조선의 개화운동|중국과 조선의 19세기 근대화가 실패한 이유
개화운동과 한국의 성공적 산업화|향후 한국의 과제
에필로그 부강 한국의 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국 기업의 경영은 능력을 위주로 한다. 봉급 인상은 물론 채용이나 승진에 있어서도 연령, 학력, 성별, 인종이 아니라 실적이나 능력을 중요시한다. 능력이 인정된 사람이 입사 선배를 건너뛰어 과감하게 발탁되는 것을 전혀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태만한 근로자는 몇 번의 경고를 받은 후 '정당한 사유에 의한' 해고를 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회사에 필요한 인재를 국내에서 구할 수 없으면 외국에서 구해오기도 한다. 그리고 아이디어를 상품화하고 기업화하는 것이 전혀 어렵지 않다.-본문 83p 중에서
개방적 자세의 효과는 21세기 한국의 일본에 대한 관계에도 적용된다. 우리의 전통과 문화적 주체성을 견지하면서 한.일간 선린관계를 돈독히 하여 일본의 앞선 것을 계속 배워나가는 것이 한국의 발전에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본문 130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