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3366
· 쪽수 : 663쪽
· 출판일 : 2010-02-20
목차
제1부 행정의 개념과 발달 과정
제1편 행정의 개념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제1절 행정을 보는 시각
1. 행정학의 발달 과정에 입각한 시각
2. 행정학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시각
3. 행정의 범위와 관련한 시각
4. 행정학의 접근 방법에 입각한 시각
제2절 행정의 구성 요소와 개념
1. 행정의 구성 요소
2. 행정의 개념
제2장 이론이란 무엇인가
제1절 이론의 의의와 기능
1. 이론의 의의
2. 이론의 기능
3. 이론의 유형
제2절 이론과 유사 개념
1. 모형
2. 패러다임
제2편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제1장 유럽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제1절 유럽 행정이론의 등장 배경
제2절 독일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1. 관방학의 등장과 쇠퇴
2. 행정학의 부흥과 발전
제3절 영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1. 행정이론의 구축 시기
2. 현대 행정학의 등장 시기
3. 미국 행정학의 도입 시기
4. 행정이론의 확장 시기
제4절 프랑스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1. 절대주의 시대의 행정
2. 나폴레옹 시기의 행정
3. 제2차 세계대전기의 행정
4. 지방분권화 시기의 행정
제2장 미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제1절 미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을 바라보는 시각
1. 정치ㆍ정치사상에 기초한 계보
2. 조직이론과 관리적 측면에 기초한 계보
3. 패러다임에 기초한 계보
4. 연대기적 관점에 기초한 계보
제2절 미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1. 건국부터 제1차 세계대전기의 행정이론
2.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시기의 행정이론
3.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시기의 행정이론
4. 번영기의 행정이론
5. 반전의 행정이론
6. 보수주의화 행정이론
제3장 한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제1절 한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을 바라보는 시각
1. 학문의 발전 단계에 기초한 계보
2. 패러다임이나 개념사에 기초한 계보
3. 시대적 특성에 기초한 계보
4. 연대기적 관점에 기초한 계보
제2절 한국 행정이론의 발달 과정
1. 건국부터 초기 개발 연대 시기의 행정이론
2. 개발 연대 중기부터 민주화 이전 시기의 행정이론
3. 민주화 이후 시기의 행정이론
제 2 부 행정이론
제1편 행정의 가치나 패러다임과 관련된 행정이론
제1장 관리이론
제1절 관리이론의 등장 배경
1. 시대적 배경
2. 이론적 배경
제2절 관리이론의 내용과 특성
1. 과학적 관리론의 내용과 특성
2. 행정관리론의 내용과 특성
제3절 관리이론의 이론적 적실성
1. 관리이론에 대한 비판
2. 관리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2장 관료제이론
제1절 관료제이론의 등장 배경
1. 관료제의 어원
2. 관료제 개념의 확산
3. 관료제 개념의 전환
제2절 관료제이론의 내용과 특성
1. 관료제의 개념
2. 베버의 관료제이론
3. 관료제의 역기능
제3절 관료제이론의 이론적 적실성
1. 관료제이론에 대한 비판
2. 관료제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3장 비교행정이론
제1절 비교행정이론의 등장 배경
1. 비교행정이론의 대두 배경
2. 비교행정이론의 발전 요인
제2절 비교행정이론의 내용과 특성
1. 비교행정이론의 개념
2. 비교행정이론의 연구 목적
3. 비교행정이론의 발전 과정
4. 비교행정 연구를 위한 접근 방법
제3절 비교행정이론의 적실성
1. 비교행정이론의 한계
2. 비교행정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4장 발전행정이론
제1절 발전행정이론의 등장 배경
1. 발전행정이론의 등장
2. 발전행정이론의 전개 과정
제2절 발전행정이론의 내용과 특성
1. 발전행정의 개념
2. 발전행정의 특징
3. 발전행정의 접근 방법
제3절 발전행정이론의 적실성
1. 발전행정이론에 대한 비판
2. 발전행정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5장 신행정이론
제1절 신행정이론의 대두 배경
1. 신행정이론의 등장 원인
2. 신행정이론의 전개 과정
제2절 신행정이론의 내용과 특징
1. 신행정이론의 개념
2. 신행정이론의 특성
3. 신행정이론의 위치
4. 신행정이론이 추구하는 가치
제3절 신행정이론의 적실성
1. 신행정이론의 한계
2. 신행정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6장 신공공관리이론
제1절 신공공관리이론의 등장 배경
1. 신공공관리이론의 환경적 배경
2. 신공공관리이론의 이론적 배경
제2절 신공공관리이론의 내용과 특성
1. 신공공관리이론의 개념
2. 신공공관리이론의 유파
3. 신공공관리이론의 구성 내용
4. 신공공관리이론의 특성
제3절 신공공관리이론의 적실성
신공공관리이론에 대한 비판
신공공관리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7장 신공공서비스이론
제1절 신공공서비스이론의 등장 배경
1. 신공공서비스이론의 시대적 배경
2. 신공공서비스이론의 이론적 배경
제2절 신공공서비스이론의 내용과 특성
1. 신공공서비스이론의 개념
2. 신공공서비스이론의 구성 내용
3. 신공공서비스이론의 내용적 특성
제3절 신공공서비스이론의 적실성
1. 신공공서비스이론에 대한 비판
2. 신공공서비스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2편 행정 현상의 분석과 관련된 행정이론
제1장 행태이론
제1절 행태이론의 등장 배경
1. 행태이론의 등장 배경
2. 행태이론의 전개 과정
제2절 행태이론의 내용과 특성
1. 행태이론의 의미
2. 행태이론의 방향과 내용
3. 행태주의의 특성
4. 후기행태주의의 등장과 특성
제3절 행태이론의 이론적 적실성
1. 행태이론의 한계
2. 행태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2장 체제이론
제1절 체제이론의 등장 배경
1. 체제이론의 모태로서 기능주의
2. 체제이론의 모태로서 일반체제이론
제2절 체제이론의 내용과 특성
1. 일반체제이론의 내용과 특성
2. 정치체제이론의 내용과 특성
제3절 체제이론의 적실성
1. 체제이론에 대한 비판
2. 체제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3장 공공선택이론
제1절 공공선택이론의 등장 배경
제2절 공공선택이론의 내용과 특징
1. 공공선택이론의 개념
2. 공공선택이론의 내용적 특성
3. 공공선택이론의 계보
4. 공공선택이론의 기본적 공리
제3절 공공선택이론의 적실성
1. 공공선택이론에 대한 비판
2. 공공선택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4장 신제도이론 390
제1절 신제도이론의 등장 배경
1. 행태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신제도주의
2. 구제도주의와의 차별성을 강화한 신제도주의
제2절 신제도이론의 내용과 특성
1. 신제도주의의 의미
2. 신제도주의의 유형과 특징
제3절 신제도이론의 적실성
1. 신제도주의에 대한 비판
2. 신제도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5장 현상학이론
제1절 현상학이론의 등장 배경
1. 현상학이론의 시대적 배경
2. 현상학의 이론적 배경
3. 현상학의 전개 과정
제2절 현상학이론의 내용과 특성
1. 현상학의 개념
2. 현상학의 이념
3. 현상학의 방법
4. 생활세계
제3절 현상학이론의 적실성
1. 현상학이론에 대한 비판
2. 적용가능성
제6장 포스트모더니티 이론
제1절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의 등장 배경
1.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의 등장 배경
2. 포스트모더니티의 이론적 배경
제2절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의 내용과 특성
1.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의 내용과 특성
2. 포스트모더니티 행정이론의 내용과 특성
제3절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의 적실성
1.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에 대한 비판
2.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의 적실성
제7장 사회자본이론
제1절 사회자본이론의 등장 배경
1. 사회자본이론의 학문적 연원
2. 사회자본이론의 형성 배경
제2절 사회자본이론의 내용과 특징
1. 사회자본에 대한 개념적 시각
2. 사회자본의 구성 요소
3. 사회자본의 기능
제3절 사회자본이론의 적실성
1. 사회자본이론에 대한 비판
2. 사회자본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8장 딜레마이론
제1절 딜레마이론의 등장 배경
1. 딜레마이론의 등장 배경
2. 딜레마이론의 이론적 배경
제2절 딜레마이론의 내용과 특성
1. 딜레마의 개념
2. 딜레마의 구성 요소와 조건
3. 딜레마의 유형
4. 딜레마에 대한 대응 형태
5. 딜레마의 예방과 관리
제3절 딜레마이론의 적실성
1. 딜레마이론에 대한 비판
2. 딜레마이론의 적용 가능성
제9장 시차이론
제1절 시차이론의 등장 배경
제2절 시차이론의 내용과 특성
1. 시차이론의 의미
2. 시차이론에서 보는 시각의 관점
3. 시차이론에서의 핵심 요소와 특징
제3절 시차이론의 적실성
1. 시차이론에 대한 비판
2. 시차이론의 적용 가능성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