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76444622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4-01-10
목차
제1장 전략적 기획의 이해 17
제1절 공공조직 환경의 변화 17
1. 사회의 변화와 과제/17
2. 변화에 대응으로서 전략적 기획/19
제2절 전략적 기획의 의의 20
1. 전략의 의의/20
2. 기획의 의의/24
3. 전략적 기획의 의의/26
4. 전략적 기획의 유형/34
제3절 전략적 기획의 전개 과정 36
1. 관리기법의 전개 과정/36
2. 공공 부문에서 전략적 기획의 전개 과정/38
3. 우리의 전략적 기획제도/41
제4절 전략적 기획의 도입 목적, 이점, 한계 43
1. 도입의 목적/43
2. 도입의 이점/44
3. 전략적 기획의 한계/47
제5절 전략적 사고 49
1. 전략적 사고의 의의/49
2. 전략적 사고의 향상 방법/52
3. 창의적 사고와 육성/53
제6절 전략적 기획에 대한 접근 방법 54
1. 민츠버그 등의 분류/54
2. 기계론적 접근 방법과 유기론적 접근 방법/57
3. 데일의 접근 방법 분류/59
4. 토프트의 접근 방법 분류/61
제7절 전략적 기획의 공공조직에 도입 66
1. 전략적 기획의 도입 논쟁/66
2. 공공조직에 도입 시 고려할 사항/67
3. 공공조직에서 전략적 기획 운영의 기본 방향/74
제8절 전략적 기획의 성공 조건 80
1. 민간조직의 성공 조건/80
2. 공공조직에서 전략적 기획의 성공 조건/83
3. 전략적 기획 도입의 장애 요인/88
제9절 전략적 기획에서 리더십 94
1. 전략적 리더십/94
2. 성공한 조직의 공통적 리더십/95
3. 전략적 기획에서 최고관리자의 역할/96
제10절 전략적 기획 시스템의 구축 101
1. 전략적 기획 시스템/101
2. 전략적 기획 과정/106
3. 시스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09
제2장 기획을 위한 계획 111
제1절 기획을 위한 계획의 의의 111
제2절 전략적 기획의 추진 112
1. 전략적 기획의 도입 시기/112
2. 전략적 기획의 추진자/115
3. 전략적 기획의 추진에 대한 합의/116
제3절 전략적 기획 추진조직의 구성 117
1. 추진조직/117
2. 최고관리자/117
3. 전략기획위원회/118
4. 전략기획책임자/119
5. 전략기획팀/119
6. 전략기획자문위원회/121
7. 전략운영 서비스 조직/121
8. 외부 컨설턴트/122
제4절 기획을 위한 계획 단계의 과제 124
1. 추진 목적의 확인/124
2. 계획의 유형 및 범위 결정/125
3. 추진 준비성 평가/126
4. 기획의 일정 수립/127
5. 기획 과정의 참여자 선택/129
6. 계획 수립을 위한 자원 확보/133
제3장 외부 환경평가와 내부 능력평가 135
제1절 평가의 의의 135
1. 평가의 의미/135
2. 평가의 목적/136
3. 평가자/137
4. 평가 대상/138
5. 평가에서 고려할 사항/140
제2절 SWOT 분석 141
1. SWOT 분석의 의의/141
2. 외부 환경평가/143
3. 내부 능력평가/149
제3절 고객 및 이해관계자 분석 153
1. 고객 및 이해관계자 분석의 의의/153
2. 공공조직에서 고객과 이해관계자/155
3. 고객 및 이해관계자 분석/158
제4절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166
1. 종합적 환경평가 기법/166
2. 외부 환경평가 기법/171
3. 내부 능력평가 기법/176
4. 미래예측 기법/181
제4장 전략적 방향 설정 189
제1절 방향 설정의 의의 189
1. 방향 설정의 목적/189
2. 전략적 방향 설정의 기능/190
제2절 위임 사항의 확인 192
1. 위임 사항의 의의/192
2. 위임 사항의 확인/193
3. 위임 사항 확인 과정/194
제3절 조직의 임무 선언 196
1. 임무 선언의 의의/196
2. 임무선언서의 내용/200
3. 임무선언서의 조건/202
4. 임무선언서 작성 과정/203
제4절 조직의 비전 선언 206
1. 비전의 의의/206
2. 비전의 기능/208
3. 비전선언서의 조건/210
4. 비전 설정 과정/212
제5절 운영 원리 215
1. 의의/215
2. 운영 원리의 기능/216
3. 운영 원리의 내용/219
4. 운영 원리의 설정 과정/220
제6절 전략적 목적 선언 221
1. 전략적 목적의 의의/221
2. 전략적 목적의 기능/224
3. 전략적 목적의 조건/225
4. 전략적 목적 설정의 과정/227
제7절 전략적 이슈 확인 231
1. 전략적 이슈의 의의/231
2. 전략적 이슈 확인의 목적/232
3. 전략적 이슈의 조건/233
4. 전략적 이슈의 확인 과정/237
5. 전략적 이슈 확인 방법/240
제8절 전략적 목표 선언 249
1. 전략적 목표의 의의/249
2. 전략적 목표의 기능/250
3. 전략적 목표의 조건/251
4. 전략적 목표 설정 과정/255
제5장 전략 형성 259
제1절 전략 형성의 의의 259
1. 전략 형성의 의미/259
2. 전략 형성의 특성/260
3. 전략 형성의 기능/261
제2절 전략의 유형 262
1. 성장?안정?축소전략/262
2. 전략의 대상에 따른 유형/269
3. SWOT 매트릭스 전략/271
4. 전략적 갭 분석과 전략/273
5. 앤드리슨과 코틀러의 전략 유형/275
6. 맥밀란 매트릭스 전략/277
7. 오스본과 플라스트릭의 전략/279
8. 블루오션 전략/279
9. 기타 민간기업의 전략/280
제3절 전략 형성의 과정 282
1. 전략 형성 과정/282
2. 전략 형성 과정에서 고려할 것들/285
제4절 전략적 대안의 탐색과 평가 287
1. 대안 탐색 방법/287
2. 너트의 전략대안 탐색 접근 방법/288
3. 창의적 대안 탐색 기법/290
4. 전략대안의 평가/299
5. 전략대안 평가의 기법들/302
제5절 전략의 선택 308
1. 전략 선택과 전략 설명서/308
2. 전략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309
3. 전략 선택의 정치/312
4. 최종 전략 선택에서 고려할 것들/314
제6절 전략계획서 작성 315
1. 전략계획서의 의의/315
2. 전략계획서의 작성 방법/316
3. 전략계획서 작성에서 고려할 것들/319
제6장 전략적 계획의 집행 321
제1절 집행의 의의 321
1. 집행의 특성/321
2. 집행 방법/322
제2절 전략적 행동계획의 수립 325
1. 행동계획의 수립/325
2. 행동계획서 작성/329
3. 연차별 성과 목표의 설정/332
4. 성과지표와 측정 방법/335
제3절 집행의 성공과 실패 338
1. 전략 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338
2. 계획의 책상서랍증후군과 극복 방법/340
3. 전략 집행에 나타나는 장애 요인과 극복 방법/343
4. 집행의 성공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것들/346
제4절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349
1. 전략적 기획에서 성과관리/349
2. 성과관리 시스템/358
3. 성과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363
4. 통합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364
제5절 집행과 예산 376
1. 전략적 계획과 예산/376
2. 전략적 계획과 예산 과정의 통합/377
3. 성과 지향 예산제도/379
제6절 집행과 조직구조 381
1. 전략적 기획에 적합한 조직구조/381
2. 팀 중심의 접근 방법/382
3. 집행조직구조/384
4. 전략적 조직구조의 설계/388
제7절 사람에 대한 관리 390
1. 집행에서 사람의 중요성/390
2. 갈등관리/390
3. 인센티브 제도/393
4. 교육훈련/395
제8절 기타 전략적 관리 396
1. 조직문화와 집행/396
2. 커뮤니케이션 관리/398
3. 거버넌스 관리/400
제7장 전략적 기획의 평가와 통제 402
제1절 평가와 통제의 의의 402
1. 평가와 통제의 중요성/402
2. 평가와 통제의 목적/403
3. 책임성 확보/406
4. 평가 및 통제에서 고려할 점/410
제2절 전략적 평가 412
1. 전략적 평가 시스템의 의의/412
2. 전략평가 시스템의 구성 요소/412
3. 효과적 전략평가 시스템의 특성/414
제3절 성과평가 415
1. 성과평가의 과정 /415
2. 전략적 기획의 평가 내용/416
3. 자료 처리 계획 수립/419
4. 자료 수집 및 정리/421
5. 자료의 분석/428
6. 성과정보의 보고 및 공개/432
제4절 성과정보의 활용 435
1. 성과정보 활용의 영역/435
2. 평가정보의 이용 촉진 방법/437
제5절 전략적 계획의 변화 440
1. 전략적 계획 변화의 의의/440
2. 전략 변화의 유형/441
3. 전략 변화에서 고려해야 할 것들/444
제6절 전략적 기획 과정의 지속적 개선 활동 445
1. 의의/445
2. 과정 개선으로 리엔지니어링/446
3. 전략적 기획 시스템의 유지 관리/447
참고 문헌/449
찾아보기/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