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책평가론

정책평가론 (박홍윤)

(실제와 사례, 개정판)

박홍윤 (지은이)
대영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32,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200원
2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2,000원 -10% 1600원 27,200원 >

책 이미지

정책평가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책평가론 (박홍윤) (실제와 사례,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8743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3-02-15

목차

개정판 머리말 / 3
초판 머리말 / 5

제1장 정책평가의 이해 15

제 1 절 정책평가의 의의 16
1. 왜 평가를 하는가? / 16
2. 정책평가의 개념 / 17
3. 정책평가의 특징 / 18
4. 유사 개념과의 구분 / 20
5. 정책과정에서 정책평가 / 25
6. 정책평가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 26

제 2 절 정책평가의 목적과 한계 28
1. 평가의 기능과 가치 / 28
2. 증거기반 정책과 평가 / 29
3. 정책평가의 목적 / 31
4. 정책평가를 등한시하는 이유와 정책평가의 한계 / 39

제 3 절 정책평가의 유형 43
1. 누가 평가하는가? / 43
2. 평가가 강제적인가? / 46
3. 언제 평가하는가? / 47
4. 평가 목적이 무엇인가? / 49

제 4 절 우리나라의 평가제도 53
1. 심사분석 및 심사평가 시기(1961년~1998년 2월까지) / 54
2. 평가의 발전 단계(1998년 3월~2004년 말까지) / 54
3. 프로그램 및 기관평가 시기(2005년 이후) / 55
4. 현행 정책평가 체계 / 55

제2장 평가이론 및 접근방법 65

제 1 절 평가연구의 전개과정 66
1. 평가연구와 학문적 속성 / 66
2. 정책평가의 역사와 미래 / 67
3. 평가 패러다임 / 74
4. 평가이론 나무 / 77

제 2 절 평가 접근방법 81
1. 평가 접근방법 분류 / 81
2. 준평가 접근방법 / 84
3. 프로그램 개선/책임성 지향 평가 접근방법 / 94
4. 사회적 어젠다/옹호 접근방법 / 103
5. 활용에 초점을 두는 실용주의적 평가 접근방법 / 109
6. 바람직한 평가 접근방법의 선택 / 111

제 3 절 주요 평가 방법 112
1. 평가성 사정 / 112
2. 욕구사정 / 118
3. 사전평가 / 124
4. 형성평가/과정평가 / 128
5. 성과평가 / 130
6. 영향평가 / 138
7. 경제성 평가 / 140
8. 기관평가 / 144
9. 진단 검토 / 154
10. 모니터링 / 157
11. 메타평가 / 164

제3장 정책평가 과정과 기준 171

제 1 절 정책평가 과정 172
1. 정책평가 시스템 / 172
2. 정책평가 과정 / 176
3. 정책평가 과정의 정치성 / 178

제 2 절 평가 기준 179
1. 교육평가기준 합동위원회의 기준 / 179
2. UNEG(유엔평가그룹)의 평가 규범 / 182
3. 영국평가협회의 기준(2019) / 185
4. 평가의 윤리적 기준 / 186

제4장 정책평가 계획과 관리 191

제 1 절 정책 평가정책과 평가계획 수립 192
1. 정책평가의 제도적 틀 / 192
2. 평가계획 / 196

제 2 절 정책평가 조직 202
1. 국가적 차원의 평가조직 / 202
2. 평가관리 조직 / 204
3. 평가위원회 / 206
4. 평가팀 및 실무위원회 / 209
5. 평가 지원조직 / 210

제 3 절 평가 인력관리 211
1. 평가역량 / 211
2. 평가 책임자 / 214
3. 평가자 / 215
4. 외부 평가자 / 217

제 4 절 평가예산 및 계약관리 220
1. 평가예산 / 220
2. 평가 계약관리 / 223

제 5 절 평가 문화관리 225
1. 평가문화의 의의 / 225
2. 바람직한 평가문화 / 226
3. 바람직한 평가문화 형성 / 227

제 6 절 평가 시기와 일정관리 228
1. 평가 시기 / 228
2. 평가 일정관리 / 229

제 7 절 평가의 참여관리 230
1. 평가에서 참여의 의의 / 230
2. 참여의 이점 및 한계와 사용환경 / 232
3. 참여 방법 / 234
4. 참여 활성화 방안 / 238
5. 사례 / 239

제 8 절 평가의 적정성 관리 240
1. 평가의 신뢰성과 독립성 확보 / 240
2. 평가의 투명성과 공개성 확보 / 244
3. 평가에서 인간 권리와 존엄성 확보 / 245

제 9 절 평가에 대한 저항관리 246
1. 의의 / 246
2. 저항의 원인 / 246
3. 평가에 대한 저항 극복 방법 / 250

제5장 정책평가의 준비 253

제 1 절 평가설계 254
1. 평가설계의 의의 / 254
2. 평가설계의 유형 / 257
3. 양적 평가설계 / 258
4. 질적 평가설계 / 271
5. 평가설계의 타당성과 신뢰성 / 277
6. 평가설계 방법의 선택 / 283
7. 평가설계의 선택 기준과 방법 / 285

제 2 절 평가 대상과 범위의 설정 287
1. 정책평가의 대상 설정 / 287
2. 정책평가의 범위 설정 / 288
3. 평가 대상과 범위 선정의 기준 / 289

제 3 절 평가 목적의 확인 293
1. 평가 목적 확인의 의의 / 293
2. 평가 시기와 평가 목적 / 293
3. 평가 이용자와 평가 목적 / 294
4. 평가 목적의 확인 방법 / 295

제 4 절 이해관계자 확인 295
1. 이해관계자의 의의 / 295
2. 이해관계자 확인과정 / 298
3. 이해관계자의 참여 활성화 방법 / 299
4. 이해관계자 참여에서 고려할 사항 / 299

제 5 절 정책 및 프로그램의 이해 300
1. 정책 및 프로그램 이해의 의의 / 300
2. 프로그램 논리모형 / 302
3. 변화이론 / 311

제 6 절 정책평가의 기준 318
1. 평가 기준의 의의 / 318
2. 정책평가 기준 / 320

제 7 절 정책 평가질문의 구성 329
1. 평가질문의 의의 / 329
2. 평가질문의 유형과 내용 / 329
3. 평가질문 작성에서 고려할 사항 / 334

제 8 절 정책 평가지표 및 판단 기준의 설정 334
1. 평가지표 및 판단 기준의 의의 / 334
2. 판단 기준 / 342

제6장 평가자료 수집 345

제 1 절 평가자료 수집의 의의와 계획 346
1. 평가자료 수집활동의 의의 / 346
2. 평가자료 수집계획 / 347

제 2 절 자료와 자료원 348
1. 평가자료와 자료 관리 / 348
2. 자료의 유형 / 349
3. 자료원과 자료원의 선택 / 352
4. 자료 수집활동 / 357
5. 자료의 질 통제 / 359

제7장 평가자료의 분석과 해석 363

제 1 절 자료의 분석과 판단 364
1. 의의 / 364
2. 자료분석과 판단과정에서 가치판단 / 366
3. 사례 / 367

제 2 절 평가자료의 처리와 분석 방법 368
1. 평가자료의 처리 / 368
2. 평가자료의 분석 / 369
3. 평가분석의 오류 / 378
4. 분석 결과에 대한 확증 / 382

제 3 절 해석과 결론의 도출 384
1. 분석 결과의 해석 / 384
2. 결론의 도출 / 387
3. 해석과 결론 도출에서 고려해야 할 것 / 390

제 4 절 권고안의 작성 391
1. 권고안의 의의 / 391
2. 권고안의 작성 / 392

제8장 평가보고서 작성과 활용 395

제 1 절 평가보고서 작성 396
1. 평가보고서의 의의 / 396
2. 평가보고서 작성 / 396
3. 최종 평가보고서의 형식 / 398
4. 평가보고서의 작성 방법 / 402

제 2 절 평가결과의 보고와 공유 404
1. 평가결과의 보고 / 404
2. 평가결과의 공유 / 406
3. 평가보고서의 보고와 공유에서 고려해야 할 것 / 407

제 3 절 평가결과의 활용 408
1. 평가결과 활용의 의의 / 408
2. 평가결과 활용 유형 / 409
3. 평가결과 활용에 미치는 요인 / 415
4. 평가결과 활용의 촉진 방법 / 416

■ [부록 1] 2021년도 고용노동부 성과평가 사례 419
■ [부록 2] 행정안전부 2022년도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지표 매뉴얼 424
■ 참고문헌 425
■ 찾아보기 447

저자소개

박홍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부 명예교수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996~2020) ∙한국교통대학교 기획협력처장/기획연구처장, 교무처장 역임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