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제3판)

박홍윤, 박규동 (지은이)
대영문화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1,600원
30,400원 >
32,000원 -0% 0원
0원
3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2,000원 -10% 1600원 27,200원 >

책 이미지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76449252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4-03-04

목차

제3판 머리말/3
개정판 머리말/5
초판 머리말/7

제1장
전략적 기획의 이해
제1절 사회변화와 전략적 기획 및 성과관리 20
1. 전략적 기획에서 전략적 관리로의 전환/21
2. 성과측정에서 성과관리로의 전환/22
3. 보다 효과적으로 전략과 성과관리를 연계/22
제2절 전략적 기획의 의의 23
1. 전략의 의의/23
2. 기획의 의의/26
3. 전략적 기획의 의의/28
4. 전략적 기획의 유형/30
5. 전략적 기획과 전략적 관리/32
6. 전략적 기획과 전략적 사고/34
7. 전략적 기획의 사례/39
제3절 전략적 기획의 도입 목적, 이점, 한계 45
1. 공공조직에 전략적 기획의 도입 과정/45
2. 전략적 기획의 도입 목적과 이점/47
3. 전략적 기획의 한계/50
제4절 전략적 기획의 성공 조건 52
1.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전략적 기획/52
2. 공공조직에서 바람직한 전략적 기획의 조건/56
3. 전략적 리더십/62
4. 참여적 전략적 기획/65
5. 전략적 기획의 저항과 극복방법/73
제5절 전략적 기획 접근방법과 과정 76
1. 전략적 기획 접근방법/76
2. 전략적 기획과정/78
3. 전략적 기획 단계/85
제6절 전략적 기획과정에 필요한 기술 89
1. 브레인스토밍/90
2. 스노 카드 기법/91
3. 우선순위 비교 방법/92

제2장
전략적 기획의
준비 단계
제1절 전략적 기획의 추진 100
1. 법적․제도적 장치/100
2. 전략적 기획의 추진 결정/101
3. 전략적 기획의 추진자/104
4. 전략계획 추진에 대한 합의/104
제2절 전략적 기획 추진조직 106
1. 국가 총괄기관/106
2.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추진조직/107
3. 외부 컨설턴트/113
제3절 전략적 기획을 위한 계획 116
1. 의의/116
2. 사례/117
3. 전략계획 추진 목적의 확인/119
4. 전략계획의 유형 및 범위 결정/120
5. 전략적 기획의 일정 수립/120
6. 전략계획 수립에서 고려할 것/121

제3장
외부 환경평가와
내부 능력평가
제1절 외부 환경평가와 내부 능력평가의 의의 124
1.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124
2. 평가의 목적/125
3. 평가의 기본 틀로 SWOT 분석/125
제2절 외부 환경평가 127
1. 외부 환경평가의 의의/127
2. 사례/128
3. 평가 대상/130
4. 평가방법/132
5. 고객과 이해관계자 분석/134
제3절 내부 능력평가 141
1. 내부 능력평가의 의의/141
2. 사례/142
3. 평가 대상/144
4. 평가방법/145
제4절 외부 환경평가와 내부 능력평가를 위한 도구 146
1. 종합적 분석도구/146
2. 외부 환경평가 도구/151
3. 고객 및 이해관계자 분석/156
4. 내부 능력평가 도구/158
제5절 외부 환경평가와 내부 능력평가에서 고려할 것 161

제4장
전략 방향설정
제1절 전략 방향설정의 의의 166
1. 전략 방향설정의 개념과 기능/166
2. 전략 방향으로 목표체계/168
3. 사례/171
제2절 조직의 임무 선언 173
1. 임무의 의의/173
2. 사례/175
3. 임무 선언의 주요 준거/176
4. 임무 선언의 특징과 기능/177
5. 임무 선언서의 작성방법/178
제3절 조직의 비전 선언 182
1. 비전의 의의/182
2. 사례/182
3. 비전 선언의 특징과 기능/183
4. 비전 선언서의 작성방법/185
제4절 조직의 가치 선언 187
1. 가치 선언의 의의/187
2. 사례/188
3. 가치 선언의 특징 및 기능/190
4. 가치 선언서의 작성방법/191
제5절 전략적 이슈 확인 194
1. 전략적 이슈의 의의/194
2. 사례/196
3. 전략적 이슈의 판단기준/198
4. 전략적 이슈의 확인 과정/202
5. 전략적 이슈 확인 과정에서 고려할 것/203
제6절 전략목적 설정 205
1. 전략목적과 전략목표/205
2. 사례/207
3. 전략목적의 기능/209
4. 전략목적의 설정방법/210
5. 전략목적 설정에서 고려할 것/214
제7절 전략목표 설정 216
1. 전략목표의 의의/216
2. 사례/218
3. 바람직한 전략목표/221
4. 전략목표의 설정 과정/225
5. 전략목표의 우선순위 결정/226

제5장
전략형성
제1절 전략형성의 의의 230
1. 전략형성의 개념/230
2. 전략형성의 기능/230
3. 사례/231
4. 전략의 유형/235
5. 바람직한 전략의 조건/241
6. 전략형성 과정/244
제2절 전략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이해 248
1. 프로그램 논리모형의 의의/248
2. 사례/249
3. 프로그램 논리모형의 구성요소/250
제3절 전략 대안의 탐색 252
1. 전략 대안 탐색의 의의/252
2. 전략 대안 탐색방법/253
3. SWOT 매트릭스 전략/254
4. 혁신적 창의적 대안 탐색기법/257
제4절 전략 대안의 분석 259
1. 전략 대안 분석의 의의/259
2. 전략 대안의 평가기준/259
3. 전략 대안 평가의 기법들/261
제5절 전략 선택 264
1. 전략 선택의 의의/264
2. 전략 선택의 정치적 특성/265
3. 최종 전략 선택에서 고려할 것/268
제6절 전략계획서 작성 269
1. 전략계획서의 의의/269
2. 전략계획서의 내용/270
3. 사례/271
4. 전략계획서의 작성방법/274
5. 전략계획서의 공개/278

제6장
전략계획의 집행과 성과관리
제1절 전략계획 집행 282
1. 전략집행의 의의/282
2. 전략집행의 성공과 실패/283
제2절 전략집행으로 성과관리 286
1. 성과관리의 의의/286
2. 성과관리의 목적/288
3. 바람직한 성과관리의 조건/289
4. 성과관리 과정/293
제3절 성과목표와 성과목표체계 295
1. 성과목표/295
2. 성과지표/301
3. 성과목표 기준점/310
4. 성과목표 설정/311
5. 성과 측정방법/315
6. 성과지표 설정에서 고려할 것/315
제4절 전략집행계획의 수립 316
1. 전략집행 활동/316
2. 전략집행계획/317
3. 전략집행계획서 작성/320
4. 사례/322
제5절 전략집행과 조직구조 325
1. 전략집행에 적합한 조직구조/325
2. 전략적 사업 조직구조/327
3. 프로젝트팀 중심의 구조/327
제6절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331
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의의/331
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주요 이슈와 원칙/332
3. 공무원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육훈련/334
4. 인센티브 제도/337
제7절 전략계획과 성과예산제도 339
1. 전략계획과 예산/339
2. 성과지향 예산제도/340
3. 우리의 재정부문 성과관리제도/347
제8절 전략집행 모니터링 355
1. 모니터링의 의의/355
2. 중앙행정기관의 모니터링 제도/358
3. 모니터링에서 고려할 것/360

제7장
전략적
평가와 활용
제1절 전략적 평가의 의의 364
1. 전략적 평가의 개념과 특징/364
2. 전략적 평가의 유형/365
3. 바람직한 평가를 위해 고려할 것/369
제2절 성과평가 371
1. 성과평가의 의의/371
2. 성과평가의 기능과 목적/373
3. 성과평가의 한계와 문제점/375
4. 바람직한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할 것/376
5. 성과평가 과정/377
6. 성과평가의 평가자/383
7. 우리나라의 주요 성과평가/386
8. 메타평가/394
제3절 공무원 성과평가 397
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에서 성과평가/397
2. 공무원 성과평가 방법/399
3. 우리나라 공무원 성과평가/401
제4절 성과평가 보고서 작성과 보고 404
1. 성과평가 보고서의 작성/404
2. 성과평가 보고서의 보고와 공개/406
제5절 성과정보의 활용 411
1. 성과정보 활용의 의의/411
2. 성과정보의 활용 영역/412
3. 성과정보 활용 촉진방법/414
4. 우리나라 성과정보의 활용/416
제6절 전략계획의 변화 421
1. 전략계획 변화의 의의/421
2. 전략 변화의 유형/422
3. 전략계획 변화에서 고려할 것/425

참고문헌/427
찾아보기/447

저자소개

박홍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부 명예교수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996~2020) ∙한국교통대학교 기획협력처장/기획연구처장, 교무처장 역임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
펼치기
박규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조교수로 근무 중이다. 미국 콜로라도대학교에서 정책이론을 전공하고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형사사법 절차상 인공지능(AI)시스템 도입의 주요 논점”, “자동안면인식(AFR)기술 규제 방안 연구”, “형사정책 시스템 알고리즘 구축 과정에서의 편향성”, “AI 시스템의 위험 완화를 위한 정책적 접근방안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전략적 기획과 성과관리』, 『정책평가론』을 저술했다. 대학에서 인문사회과학 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강의하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하는 인공지능의 편향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에 관심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9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