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6462374
· 쪽수 : 178쪽
· 출판일 : 2008-04-26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一.원효의 삶과 사상
1.밤나무 밑에서 태어난 아이,당대의 고승들을 만나다
2.당을 향한 발걸음,다시 고국으로 되돌리다
-마음이 멸하니 땅막과 무덤이 둘이 아니더라
3.대·소승,경·율·논을 망라한 저술활동
4.무애박을 두드리며 대중 속으로
-인류의 영원한 구제를 염원하다
二.『대승기신론』해제
1.『대승기신론』의 성격
2.『대승기신론』의 구조
3.『대승기신론』의 제명
4.『대승기신론』의 대의
三.대승기신론 강의-기신론 원문 중심으로 번역 및 해설
【귀경게】
Ⅰ.인연분
Ⅱ.입의분
Ⅲ.해석분
1.대승의 바른 뜻을 드러냄
2.사집을 대치함
3.도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양을 분별함
Ⅳ.수행신심분
1.사신四信
2.오행五行
3.지관문止觀門
Ⅴ.권수이익분
【화양송】
저자소개
책속에서
먼저 여실공이라 할 때 공이란 본래부터 모든 염법(번뇌)이 없다는 뜻이다. 진여에는 주객의 분별이 없기 때문에 인식 주관이 대상으로 삼을 만한 상도 없으며 외부대상을 인식하는 인식주체도 없다. 그러므로 진여의 자성은 모양이 있는 것도 아니요, 모양이 없는 것도 아니다.
모양이 있지 않은 것도 아니요, 모양이 없지 않은 것도 아니며, 모양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것도 아니다. 또한 같은 모양도 아니요 다른 모양도 아니며, 같은 모양이 아닌 것도 아니요 다른 모양이 아닌 것도 아니며, 같고 다른 모양을 함께 갖춘 것도 아니다.
이리하여 전체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중생은 번뇌의 마음이 있음으로 생각할 때마다 분별하여 다 진여와 상응하지 않기 때문에 공空이라 말한다. 그러나 만약 이 번뇌망상심을 떠난다면 실로 공이라 할 것도 없다. (60쪽, '三. 대승기시론 강의-기신론 원문 중심으로 번역 및 해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