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효

원효

(한국의 사상가 10인, 예문동양사상연구원총서 1)

고영섭, 고익진, 이평래, 조명기, 최유진, 이기영, 김영태, 박태원, 은정희, 이종익, 박성배, 정영근 (지은이)
예문서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660원
21,1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원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효 (한국의 사상가 10인, 예문동양사상연구원총서 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6461469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02-01-20

목차

'한국의 사상가 10인'을 출간하며
일러두기

해제 : 원효 연구의 어제와 오늘 - 고영섭

제1부 원효의 일심학
불교의 총화성과 원효의 근본 사상 - 조명기
원효의 '기신론소.별기'를 통해 본 진속원융무애관과 그 성립 이론 - 고익진
원효의 삼세.아라야식설의 창안 - 은정희
여래장설과 원효 - 이평래
원효의 통일학 - 고영섭

제2부 원효의 화회론
원효의 '십문화쟁론' 연구 - 이종익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화회의 세계 - 김영태
원효 사상 전개의 문제점 - 박성배
원효에 있어서 화쟁과 언어의 문제 - 최유진
'대승기신론' 사상을 평가하는 원효의 관점 - 박태원

제3부 원효의 무애행
원효의 윤리관 - 이기영
원효의 사상과 실천의 통일적 이해 - 정영근
원효의 화엄학 - 고영섭

부록
원효 관련 연구물 목록
수록 논문 원게재지
필진 약력

저자소개

고영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서울 보성고 졸업 동국대학 불교학과(불교학 인도철학) 졸업 동국대학 대학원 석박사(인도불교 한국불교) 졸업 고려대학 철학과 대학원(동양철학 한국철학) 박사수료 미국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연구학자 역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외국인연구원 역임 동국대, 서울대, 서울대대학원, 서울시립대, 강원대, 한림대 외래교수 역임 사)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역임 한국불교사학회 회장 겸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 교수 (현재) 유튜브: 고영섭교수의 문사철대학 한국불교사연구소TV 『한국사상사』, 『한국의 불교사상』, 『한국불교사』, 『한국불학사』(3책), 『붓다와 원효의 철학』,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분황 원효』,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2책), 『분황원효불교사상사』 등 한국불교사, 한국불교사상사 관련 논저 다수
펼치기
고익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 의대와 동국대 불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와「한국불교전서」편찬실장을 지냈다. 지은책에 <아함법상의 체계성 연구>, <삼국의 불교사상>, <한국고대불교사상사>, <현대 한국불교의 방향> 등이 있고, 옮긴 책에 <한글아함경> 등이 있다.
펼치기
이평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1968), 일본 코마자와 대학(駒澤大學)에 유학. 석・박사학위(1988)를 취득. 여래장사상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타카사키 지키도(高崎直道)교수 지도로 여래장사상 전공. 「新羅佛敎如來藏思想硏究 -元曉の如來藏思想を中心として-」로 박사학위 취득. 1982학년도부터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2007년 2월에 정년퇴임, 충남대학교 명예교수. 인도 정부 초빙교수로 India, New Delhi, Jawaharlal Nehru University(1989~1991)에서 2년간 강의・연구생활.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이사장(2003~2008), 제4차 한국불교학결집대회 대회장(2006~2008), 동국대학교 불교대학발전위원회 위원(2004~2007)을 역임하였으며, 원효학연구원 원장(2002~2016) 역임. 저서로는 『신라불교여래장사상연구』(민족사), 『대승기신론강설』(민족사). 번역서로는 『열반경종요』, 『무량수경종요』. 논문으로는 「大乘起信論硏究」, 「『涅般宗要』の如來藏說」, 「여래장설과 원효」, 「화엄교학의 기초로서의 여래장설에 관한 연구」, 「원효의 열반사상에 관한 연구」, 「알라야식과 여래」, 「『대승기신론』에서의 깨달음」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양대학 문학부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종교학연구실 전공과에 입학한 뒤 부수와 조수를 지냈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를 거쳐 부총장 및 총장을 지냈고, 경기학원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과 옮긴 책으로 <원효전집>, <장외잡록>, <신라불교의 이념과 역사>, <고려 대각국사와 천태사상>, <지혜의 완성>, <불교복지론>, <법화경신초>, <법화경과 나>, <조화의 원리>, <한국불교관계잡지논문목록>, <한국불교사학논집>, <한국불교사학대사전>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기의 다른 책 >
최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은 「원효의 화쟁사상연구」이다. 현재 경남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원효를 중심으로 한국의 불교사상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고 그 외에 죽음의 문제에도 관심이 있다. 저서로 『원효사상연구』, 『강좌 한국철학』(공저) 등이 있고 최근의 연구 논문으로는 「원효의 평화사상」, 「원효의 계율관」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제강점기 「서화」, 「고향」 등을 저술한 소설가. 호는 민촌(民村). 충청남도 아산 출신. 1904년 어머니가 죽고 가난한 가운데 서당을 다니다가, 1907년 사립영진학교에 입학하여 1910년에 졸업하였다. 1918년에는 논산 영화여자고등학교에서 교원생활도 하고, 약 3년간 호서은행 천안지점에 근무하기도 하였다.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세이소쿠영어학교[東京正則英語學校]를 고학으로 다녔다.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귀국한 뒤 창작에 몰두, 1924년 『개벽』 창간4주년기념 현상작품모집에 단편소설 「오빠의 비밀편지」가 당선되었다. 1925년에 조명희(趙明熙)의 알선으로 조선지광사(朝鮮之光社)에 취직하는 한편 카프(KAPF)에 가맹하였다. 1931년에는 카프에 대한 제1차 검거로 구속되었다가 이듬해 초에 집행유예로 석방되었다. 1945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연맹의 창립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월북 후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하였다. 월북 전의 작품 활동을 보면 단편소설 90여 편, 단행본 14권, 희곡 3편, 평론 40여 편으로 매우 활발한 문필 활동을 한 작가이다. 대표작으로는 1933년 5월 30일부터 7월 1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한 「서화(鼠火)」와 1933년 11월 15일부터 1934년 9월 21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한 「고향」이다.
펼치기
김영태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 경남 창녕 출생.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했으며, 일본 교토 붓교대학(佛敎大學)에서 박사학위(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와 불교문화연구소장, 한국불교학회장, 원효학회장, 원효학연구원장, 학교법인 금강대학교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동국대학교 명예교수와 원각불교사상연구원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박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 울산대 철학과에서 불교철학, 노자, 장자철학을 강의. 주요 저서로는 『원효전서 번역』, 『대승기신론사상연구』, 『원효, 하나로 만나는 길을 열다』, 『돈점 진리담론 –지눌과 성철을 중심으로』, 『원효의 화쟁철학 –문門 구분에 의한 통섭』, 『원효의 통섭通攝철학 –치유철학으로서의 독법』,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등이 있다.
펼치기
은정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 상임연구원과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역서로는 『대승기신론소기회본』,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연산군일기』, 『이장의』, 『서애집』, 『미수기언』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은정희 교수의 대승기신론 강의』, 『원효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의 사상가 10人 -원효』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임제전문학교 및 대정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대정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상고 교사를 거쳐 단국대, 건국대, 동국대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에 <동양철학개설>, <불교학개론>, <조계종학>, <조계종사>, <원효대사의 연구>, <보조국사의 연구>, <고려의 불교철학>, <조계종 중흥론>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梵我一如思想」)를 받았으며 지눌 연구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3년부터 1969년까지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9년 미국으로 건너가, 텍사스 댈러스에 있는 남감리교대학에서 신학공부를 하고,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원효 연구로 박사학위(「원효의대승기신론소연구」)를 받았다. 1977년부터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브룩) 종교학과의 불교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2015년 은퇴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에 <The Korean Buddhist Canon: Descriptive Catalogue>, <The Four-Seven Debate>, <Wonhyo's Commentary on the Treatise on Awakening of Mahayana Faith> 등이 있다.
펼치기
정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재 서울산업대학교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각의 두 가지 장애: 원효의 이장의를 중심으로」,「원측의 유식철학: 신.구 유식의 비판적 종합」,「의상화엄의 실천적 성격」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