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서양음악(클래식)
· ISBN : 9788977151987
· 쪽수 : 471쪽
· 출판일 : 2008-10-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 왜 이 음악은 아름다울까?
1부 매혹의 교향곡
1. 교향곡 제45번 F#단조 <고별> 하이든 _ 후작의 마음을 움직인 음악 묘책
2. 교향곡 제39번 Eb장조 K. 543 모차르트 _ 우아한 모습을 띠고 있는 백조처럼
3. 교향곡 제40번 G단조 K. 550 모차르트 _ 감춰진 슬픔의 멜랑콜리
4. 교향곡 제6번 F장조 <전원> 작품 68 베토벤 _ 전원의 심포니, 시골의 생활과 추억
5. 교향곡 제9번 D단조 <합창> 작품 125 베토벤 _ 온 인류여, 서로 굳게 포옹하라
6. 교향곡 제8번 D단조 <미완성> D. 759 슈베르트 _ 마음을 흔드는 유연한 사랑의 물결
7. 환상 교향곡 C장조 작품 14 베를리오즈 _ 어느 예술가의 생애에서의 삽화
8. 교향곡 제3번 A단조 <스코틀랜드> 작품 56 멘델스존 _ 메리 여왕을 추억한 아련한 시적 판타지
9. 교향곡 제3번 Eb장조 <라인> 작품 97 슈만 _ 목가적이고 로맨틱한 친숙한 정감
10. 교향곡 D단조 프랑크 _ 중후한 울림의 고결한 아름다움
11. 교향곡 제4번 Eb장조 <로맨틱> 브루크너 _ 자연에 대한 애정이 담긴 목가
12. 교향곡 제2번 B단조 작품 5 보로딘 _ 러시아의 대지를 비추는 태양에 대한 찬가
13. 교향곡 제1번 C단조 작품 68 브람스 _ 등 뒤에서 베토벤의 발소리를 들으면서
14. 교향곡 제4번 E단조 작품 98 브람스 _ 인생의 가을에 선 고독감과 체념
15. 교향곡 제5번 E단조 작품 64 차이코프스키 _ 슬픈 듯 달콤한 센티멘털리즘의 정수
16. 교향곡 제6번 B단조 <비창> 작품 74 차이코프스키 _ 탄식의 애가, 절망의 슬픈 아다지오
17. 교향곡 제9번 E단조 <신세계로부터> 작품 95 드보르자크 _ 신대륙에서 보낸 망향의 음악 편지
18. <대지의 노래> 말러 _ 중국의 시를 다룬 영혼의 서書
19. <알프스 교향곡> 작품 64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_ 한 폭의 그림 같은 영화풍의 음악
20. 교향곡 제2번 D장조 작품 43 시벨리우스 _ 한편의 핀란드 전원의 시
21. <화가 마티스> 힌데미트 _ 음악으로 흐르는 마티스의 벽화
22. 교향곡 제5번 D단조 <혁명> 작품 47 쇼스타코비치 _ 밝은 환희의 세계로의 지향
2부 화려한 관현악곡
1. 관현악모음곡 제2번 B단조 BWV 1067 바흐 _ 소박한 울림, 따뜻한 인간미
2. 모음곡 <수상 음악> 헨델 _ 국왕의 뱃놀이 잔치를 위해
3. 디베르티멘토 제17번 D장조 K. 334 모차르트 _ 로비니히의 음악
4. 발레음악 <백조의 호수> 작품20 차이코프스키 _ 고전 발레음악의 정수
3부 조화의 협주곡
1.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작품 8의 1~4 비발디 _ 사계절의 아름다운 시정
2.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바흐 _ 바로크 협주곡의 집대성
3. 트럼펫 협주곡 Eb장조 하이든 _ 트럼펫 예술의 극치
4. 피아노 협주곡 제20번 D단조 K. 466 모차르트 _ 슬픔마저 달관한 우수 어린 정서
5.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 622 모차르트 _ 음악으로 승화된 죽음의 노래
6. 호른 협주곡 제3번 Eb장조 K. 447 모차르트 _ 웅대하면서도 은은한 친화적인 음색
7. 피아노 협주곡 제5번 Eb장조 <황제> 작품 73 베토벤 _ 수준 있게 승화된 한편의 인생의 찬가
8.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61 베토벤 _ 깨끗한 선율로 정제된 사랑의 빛깔
9.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D장조 작품 6 파가니니 _ 서정적인 감미로움에 화려한 비르투오조
10.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작품 64 멘델스존 _ 여성미로 다가오는 세련된 균형
11.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 멘델스존 _ 독자적인 피아니즘과 관현악의 조화
12.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단조 작품 11 쇼팽 _ 고국을 떠나는 자신만의 이별 의식
13. 피아노 협주곡 제2번 F단조 작품 21 쇼팽 _ 선율로 고백된 애틋한 순정
14.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b장조 리스트 _ 최고도로 발휘된 피아노의 기능
15.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A단조 작품 37 비외탕 _ 단일악장으로 된 새로운 예술미
16. <스페인 교향곡> 작품 21 랄로 _ 다채로운 물결로 다가오는 매혹적인 정서
17. 피아노 협주곡 제2번 Bb장조 작품 83 브람스 _ 중후함 속에 흐르는 명랑함
18.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77 브람스 _ 요아힘과의 친밀한 우정 속에서
19.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G단조 작품 26 브루흐 _ 명상적인 요소와 우수적 낭만
20. 피아노 협주곡 제1번 Bb단조 작품 23 차이코프스키 _ 슬라브 채취의 강렬한 야성미
21. 첼로 협주곡 B단조 작품 104 드보르자크 _ 민족 감성의 음의 무늬로 그린 노스탤지어
22.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16 그리그 _ 순수한 리리시즘과 북구의 색조 깊은 정취
23. 첼로 협주곡 E단조 작품 85 엘가 _ 노 예술가의 고매한 예술 정신
24.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 47 시벨리우스 _ 음울한 빛이 환상으로 다가오는 대자연의 시정
25. 피아노 협주곡 제2번 C단조 작품 18 라흐마니노프 _ 친근미를 주는 정서 깊은 서정
26. 피아노 협주곡 G장조 라벨 _ 정교한 구성의 프랑스적 에스프리
27. <아랑훼즈 협주곡> 로드리고 _ 섬세한 음감의 시정 넘치는 남국의 향수
4부 친밀한 실내악곡
1. <음악의 헌정> BWV 1079 바흐 _ 프리드리히 대왕에게 바친
2. <푸가의 기법> BWV 1080 바흐 _ 미완성된 대위법 작품의 최고봉
3. 현악4중주곡 D장조 <종달새> 작품 64의 5 하이든 _ 종달새가 하늘에서 지저귀는 듯한 울림
4. 현악 4중주곡 제17번 Bb장조 <사냥> K.458 모차르트 _ 약동하는 주제와 특유의 위트
5. 바이올린소나타 제9번 A장조 <크로이처> 작품 47 베토벤 _ 가슴을 진동시키는 강렬한 정서
6. 현악4중주곡 제7번 F장조 <라주모프스키 제1번> 작품 59의 1 베토벤 _ 하늘에서 내려온 3개의 기적
7. 피아노3중주곡 제7번 Bb장조 <대공> 작품 97 베토벤 _ 웅장하면서도 고상한 품위
8. 첼로 소나타 A단조 <아르페지오네> D. 821 슈베르트 _ 헝가리풍으로 전개되는 가을 빛 우수
9. 현악4중주곡 제14번 D단조 <죽음과 소녀> D. 810 슈베르트 _ 미적으로 표현된 죽음이라는 명제
10. 피아노 5중주곡 A장조 <송어> 작품 114 슈베르트 _ 로맨틱한 정감과 샘솟는 듯한 멜로디
11. 클라리넷 5중주곡 B단조 작품 115 브람스 _ 만년의 차분히 가라앉은 체관과 흐느낌
12. 현악4중주곡 제6번 F장조 <아메리카> 작품 96 드보르자크 _ 면면한 정서가 넘쳐흐르는 향수의 테마
부록 : 클래식 악기 소개, 빠르기 말, 음악을 감상하는 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보로딘은 “나의 일은 과학이고 음악은 취미다.”라고 했으며 스스로를 ‘일요 작곡가’라 칭하기도 했습니다. 그에게 음악 활동은 과학 연구에서 오는 긴장을 푸는 여가 활동에 지나지 않았죠. 이렇게 그에겐 작곡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심지어는 “병들어 누워 있을 때만 작곡을 했다.”라는 얘기가 전해질 정도입니다.
-'매혹의 교향곡' 교향곡 제2번 B단조 작품 5 보로딘
_ 러시아의 대지를 비추는 태양에 대한 찬가 中
파가니니의 대단한 테크닉은 무대 위에서 전율을 흐르게 했고, 그것은 광기 어린 모습으로 비춰지기도 했죠. 소름이 끼친 청중들은 그의 악마적인 풍모를 두고 ‘바이올린의 마왕’이라는 칭호를 달아 주었습니다. 당시 미신을 믿었던 사람들은 “파가니니가 악마와 계약을 맺고 있다.”는 소문으로 인해 그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었죠. 그 공포는 그의 사후 유해를 둘러싸고 일어난 일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는 1840년 5월 27일 프랑스의 니스에서 숨을 거두었는데, 악마의 재앙이 따른다고 고향인 제노바에서도, 숨을 거둔 니스에서도 그의 무덤을 만들기 거절했죠. 결국 그는 지중해의 한 고도에서 겨우 안식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조화의 협주곡' 바이올린협주곡 제1번 D장조 작품 6 파가니니
_ 서정적인 감미로움에 화려한 비르투오조 中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정성인데, 그것은 풍부하고 부드러운 선율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그 선율법의 기초에는 라흐마니노프의 특성인 가요적인 억양이 가로놓여 있다. 그의 선율은 가요성, 유동성, 경쾌함, 넓은 폭 등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아사피에프는 라흐마니노프에 대해 이렇게 평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적 특성은 피아노협주곡 '제2번'에 가장 잘 나타나 있습니다.
1905년에 글린카 상을 받은 이 곡은 차이코프스키 피아노협주곡 '제1번'과 함께 20세기에 작곡된 피아노협주곡 가운데 굴지의 명작으로 통합니다. 구조적인 완벽성을 보이는 이 곡은 풍부한 선율과 섬세하게 다듬은 악상에 정서가 깊고, 천재 피아니스트답게 피아노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요. 피아노가 가진 기능이 최고도로 발휘되는 이러한 면은 위대한 피아니스트였던 리스트의 피아노협주곡 '제1번'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 본문 4부 조화의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제2번 C단조 작품 18 라흐마니노프 _ 친근미를 주는 정서 깊은 서정'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