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8897715278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2-07-17
책 소개
목차
여는 글_ '동아시아사'를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
1부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01 동아시아란 무엇인가
02 선사 문화의 전개
03 농경과 목출
04 나라가 세워지다
2부 인구 이동과 문화 교류
01 인구의 이동과 전쟁
02 불교가 동아시아에 전파되다
03 율령과 유교에 기반한 통치 체제
04 국제 관계
3부 생산력의 발전와 지배층의 교체
01 북방민족의 성장
02 생산력의 발전과 소농 경제의 성장
03 문신과 무인
04 성리학
4부 국제질서의 벼화와 독자적 전통의 형성
01 17세기 전후 동아시아 전쟁
02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03 인구 증가와 도시화
04 전통사회의 완성
5부 근대국가 수립의 모색
01 개항과 근대 국가 수립 노력
02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과 민족운동
03 국제적 연대와 평화를 위한 노력
04 서구 문물의 수용과 사회변화
6부 오늘날의 동아시아
01 냉전의 전개와 그 영향
02 경제 성장과 역내 교역
03 각국의 정치ㆍ사회적 변화
04 갈등과 화해를 위한 노력
동아시아사 연표
찾아보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전을 보면 ‘아시아Asia’란 원래 그리스인들이 동쪽을 가리키던 ‘아수asu’라는 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오리엔트Orient’가 그리스의 동쪽을 가리키는 말이었다는 것과 비슷합니다. 그 영역이 점차 넓어져 오늘날은 우랄 산맥과 카스피 해 동쪽의 유라시아 대륙까지를 지칭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중앙에 위치해 있고, 세계 인구의 60퍼센트 가까이가 모여 살고 있으니 사실은 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는 크게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로 나뉩니다. …… 엄밀히 따지면 동아시아는 동남아시아까지 포함하는 것이 맞지만, 대체로 동북아시아를 일컫는 말로 쓰입니다. 그런데 문화권을 중심으로 한자문명권인 베트남을 합쳐서 부르기 때문에 동북아시아가 아닌 동아시아라고 하는 것입니다.
_1부 1장 「동아시아란 무엇인가」 중
성리학은 신분제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데 근본이 되는 명분론名分論을 중시하였습니다. 명분론은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라는 공자의 가르침을 발전시킨 것으로, 저마다 처해 있는 현실 사회의 상하관계를 인정하고, 지위와 차별을 정당화하였습니다. 사대부는 지배하고, 농민은 농사에 힘쓰고, 노비는 노비로서 자기 일을 하는 게 당연하다는 것이지요. 오늘날의 평등 사상과는 대립되는 개념입니다. 명분론은 군신ㆍ부자ㆍ부부관계 등에도 모두 적용되었습니다.
인간의 욕구를 부정하고 명분론을 강조하는 성리학은 여성의 정절을 강요하였습니다. 정절을 지키는 것을 여성의 미덕으로 삼은 것입니다. 국가는 이들을 적극적으로 찾아 기리고 표창하였습니다. 남편을 여읜 여성은 평생 과부로 살아야 했고, 심지어 자결을 강요받았습니다. 이렇게 되자 자연히 사회는 남성 중심이 되고, 남녀 차별이 일반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차별은 이민족에 대한 차별로 이어졌습니다.
송은 북방민족의 침입에 시달렸기 때문에 자신들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유목민족과 차별하였습니다. 따라서 중원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곳인 중화中華가 되고, 다른 민족들은 오랑캐로 치부하였던 것입니다. 이러한 사상을 ‘화이華夷 사상’이라고 합니다.
_3부 1장 「성리학」 중
서구 열강의 침략을 받은 동아시아는 그들이 강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그들을 배척하였지만 점차 그들의 우월함을 인정하고 기술과 제도를 받아들이려 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근대국가 수립 노력’이라 하지요. 근대국가를 수립하기 위해서 기존의 체제를 바꾸어야 했는데 이때 두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였습니다. 내부적으로 기득권 세력과 일반 민중의 반발을 막아야 했고, 외부적으로는 제국주의 침략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동아시아 대부분의 나라가 서구 세력의 침략에 저항하다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였습니다. 그 결과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일본은 제국주의 국가로, 중국은 반제국주의로, 대한제국과 베트남은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_5부 1장 「개항과 근대국가 수립 노력」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