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과 차, 그 사색의 열린 공간

한국인과 차, 그 사색의 열린 공간

(문화의 향기 4)

정동주 (지은이)
다른세상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인과 차, 그 사색의 열린 공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과 차, 그 사색의 열린 공간 (문화의 향기 4)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술/음료/차 > 다도/차
· ISBN : 9788977660571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04-12-01

책 소개

약효와 맛, 향기, 색에서 중국과 일본의 차를 능가했던 한국의 차와 일본 다기의 원형이 되었던 한국 다기. 이렇게 우수성을 인정받고도 21세기에 거의 잊혀져버린 한국 고유의 차문화를 돌아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지은이는 과거 차문화의 궁금증에 대한 답과 함께 차에 얽힌 한.중.일 삼국의 관계를 돌아보고, 한국 차문화의 미래를 논한다. 다양한 컬러 도판을 실어 이해를 돕고 있다.

목차

Ⅰ. 차와 차살림론

1. 차란 무엇인가

2. 차살림론
정화수 살림┃부엌 살림┃동제 살림┃고수레 살림

Ⅱ. 차의 기원
1) 조로아스터교와 하오마Haoma
2) 힌두교와 소마Soma
3) 불교와 알가Argha
4) 산스크리트 다Dha와 불교
5) 《묘법연화경》의 영산회상과 영산재

Ⅲ. 차의 역사

1. 불교의식과 차

2. 중국 불교와 차
1) 불교 전래 이전의 중국과 차
2) 불교 전래 이후의 중국 차
3) 중국인과 차문화
4) 중국 선불교와 차-백장 청규를 중심으로

3. 한국의 차살림
1) 정화수 사상
칠성각┃칠성당┃삼신상┃천도교의 청수의식┃대종교의 천수의식┃조왕신앙
2) 풍류와 팔관회
3) 가야의 난액蘭液과 변방便房
4) 백제의 옥천玉泉과 마라난타
5) 중국 구화산의 지장보살 김교각과 금지차金枝茶
6) 경주 남산 삼화령 미륵불과 충담의 차
7) 차례문화
차례茶禮┃다례茶禮
8) 선비의 차문화
목은 이색의 ‘산중사山中辭’┃도은 이숭인의 차시茶詩┃점필재 김종직의 차┃매월당 김시습의 차와 삶┃한재 이목의 ‘다부茶賦’
9) 불교의 차 정신과 상생相生의 철학
원효의 무애차┃혜소의 상생차┃의천의 대승차┃혜심의 일심차┃충지의 다선일미차┃휴정의 보살차┃언기의 중생차┃유일의 화일차┃초의의 구원차

4. 일본의 다도茶道
1) 끽다문화의 일본 전래
2) 선종과 말차법
3) 가마쿠라시대의 차문화
4) 쇼인즈쿠리 건축양식과 차

Ⅳ. 한국 차살림과 일본 다도의 관계

1. 초암차草庵茶 시대의 전개와 조선문화
1) 무라타 쥬코의 와비차풍
2) 교토, 사카이의 상공업자들
3) 다케노 조오의 차실과 차도구 개혁
4) 센노 리큐의 다도 확립

2. 일본의 조선문화 배워 가기
1) 삼포왜관 설치와 일본 국왕사 승려들의 비밀
2) 김시습을 찾아온 일본의 외교관들
3) 일본 승려들의 조선문화 배워 가기
4) 조선 승려의 발우공양법과 농차

Ⅴ. 한국의 차와 찻그릇의 세계

1. 찻그릇의 역사와 문화

2. 전통시대의 찻그릇
1) 토기-가야시대 찻그릇과 선사시대
2) 신라와 백제의 찻그릇
3) 불교문화와 찻그릇-탑, 불상에 새겨진 찻그릇 석굴암의 차 공양상과 법 공양상┃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상 광대부의 차 공양상┃승안사지 삼층석탑 기단부의 보살 차 공양상┃청량사 석조석가여래좌상 중대석의 보살 차 공양상┃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의 보살 차 공양상┃충주 중원 봉황리 마애불상군의 보살 공양상
4) 청자와 백자
청자시대와 고려의 차문화┃백자시대와 조선의 차문화
5) 이도찻사발

3. 한국의 찻그릇 세계
크고 둥근 맛의 사기장, 토우 김종희
한국 찻사발의 크고 깊은 샘물, 도천 천한봉
양반 사기장의 찻사발과 다양성, 도봉 김윤태
전통에 대한 견고한 믿음, 백산 김정옥
종교적 상징의 보편화와 그 형식, 연파 신현철
전통과 현대의 분리 혹은 조화, 우동진
한국 산과 암벽의 상징 마애불꽃병, 죽연 서영기
비교도자학의 세계, 청마 유태근
옛것을 새롭게 읽는 힘과 고뇌, 박성욱

Ⅵ. 차의 덕德과 계율戒律

1. 차와 덕성론德性論
1) 겸(謙, humble)
2) 자(慈, benevolence)
3) 검(儉, frugality)
4) 향(香, fragrance)
5) 정(淨, purity)
6) 선(仙, fairy)
7) 예(禮, propriety)

2. 차와 계율
1) 십악十惡을 범하지 않기 위한 계율
2) 세 가지 업業을 범하지 않기 위한 계율

Ⅶ. 차살림의 실제와 미래

1. 차농사의 문제
1) 차나무의 역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2) 백화차白樺茶를 어떻게 볼 것인가
3) 일제시대 인도산 차 종자의 보급
4) 차농사와 외국 차의 수입

2. 차 만들기
1) 옛 한국의 차 만들기
2) 1960년대의 덖음차 만들기
3) 혼돈의 시대
찻잎 시들리기┃비비기의 문제┃덖는 횟수의 문제┃발효 방법의 문제

3. 차살림의 병폐
1) 차인茶人의 문제
차살림의 예법┃평상심으로 펴는 차살림┃차인이란 뭘 하는 사람인가
2) 외국 차문화의 범람과 문화적 종속
3) 차살림을 왜곡시키는 몇 가지 원인
4) 차살림 교육론

Ⅷ. 동다문화론東茶文化論
1) 미래 산업으로서의 차-농업과 농민
2) 찻그릇의 미래와 차
3) 한국 땅은 아직도 축복이다

저자소개

정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차살림학자, 동다헌 시자 1948년생, 서사시 「논개」, 장편시 「순례자」 등 7권의 시집과 대하소설 「백정」, 「단야」, 「민적」, 장편소설 「콰이강의 다리」 등 30여 권의 소설을 썼다. 마당극 「진양살풀이」, 오페라 「조선의 사랑」, 「논개」의 대본을 썼다. 그 가운데 「논개평전」, 「까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신의 지팡이」는 일본에서 출판되었다. 그 후 한국문화론을 심화한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여 「한국의 솔」, 「어머니의 전설」,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 등 10권을 썼다. 특히 「까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부처 통곡하다」는 민족이론과 종교사회사의 영역에 대한 비평적 탐구의 산물로 평가받았다. 2013년 차살림학을 창안하여 한국의 차문화사 영역에 대한 연구와 강의에 전념하면서 「비교차론」, 「차살림법의 미학」, 「선비차의 사회사」, 「기울지 않는 마음과 중정의 역사」, 「선원청규 차법의 미학」, 「불교와 차」 등 차문화사 관련 30여 권의 저술과 글을 발표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같은 차의 덕성론은 종교와는 또 다른 생활철학으로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아름답게 유지시킨다. 삶의 조건이 크게 변화한 현대인에게도 차의 덕성론은 유효하다. 물론 현실에 맞게 구체적인 내용은 달라져야 할 것이고, 우리의 먹거리와 가족공동체의 건강에 직접적인 기여를 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논의를 위해 차의 현대적 덕성론을 제안해 보려고 한다. - 본문 384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