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차와 차살림

차와 차살림

(생명을 살리는 우리의 차문화)

정동주 (지은이)
한길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차와 차살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차와 차살림 (생명을 살리는 우리의 차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35669639
· 쪽수 : 395쪽
· 출판일 : 2016-05-13

책 소개

한국의 차문화를 통해 전통과 다도의 개념을 되짚어본다. 저자는 1966년 처음 차를 마셔본 이래 50년째 차와 더불어 살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를 쉬지 않은 그는 도예가들과 긴 세월 토론을 거쳐 '보듬'이라 불리는 우리만의 찻그릇 형태를 만들어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생명을 살리는 한국의 차 5

1 한국 차문화, 독자성 확립을 위하여

차는 무엇인가 15
자연으로 돌아가는 길의 안내자·19 | 막힌 것을 뚫고 닫힌 것을 열어 함께 사는 것·25
느림의 시간표·27 | 차, 그 하나의 모든 것·31
차를 왜 마시는가 35
신과 소통하는 수단으로서의 차·35 | 정치적 소통 방법으로서의 차·37
화두 소통과 차·40 | 사람과 사람의 소통과 차·42
차문화의 독자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53
차문화의 독자성·54 | 다도의 내력과 차문화·56
한문의 힘과 짐·61 | 차의 정신성과 생활 속에서의 역할·68

2 제사 역사와 차문화의 원류

한국 차문화사의 새로운 바탕을 다지기 위하여 77
희미한 역사의 흔적 다시 읽기 83
백산차·83 | 「가락국기」의 난액·85
식물즙 제수의 종류와 역사 91
인도의 제사와 제수·92 | 잉카·마야 문명의 제사와 제수·97 | 고대 에티오피아의
제사와 제수·99 | 중국의 제사와 제수·99 | 고대 한국의 제사와 제수·101
식물즙, 정화수, 차의 관계 111
중국 차문화의 수입·111 | 정화수 신앙과 차·113 | 알가와 차·118

3 한국 차문화의 상징인 동다의 이해

동다란 무엇인가 133
동다 개념 정립의 필요성·133 | 동東, 한국의 정체성과 문화적 바탕·139
‘동인’과 ‘동다’에 관한 고뇌의 흔적들·145 | ‘차, 떼·데, 다’의 문화·170
조선시대 차문화와 동다 개념의 변화 177
조선 초기 차문화의 특징·177 | 16·17·18세기 조선의 차문화·216

4 차살림

살림의 본질 223
한국의 살림 정신 231
정화수살림: 생명의 관계 철학·231 | 부엌살림: 생명, 음식의 상대성·235
동제살림: 공존의 아름다움·237 | 고수레살림: 기도의 참뜻·247
살림의 내력 251
육식, 살생과 잘못된 포만·251 | 죽임의 문화·255
온생명, 적자생존과 약육강식의 폭력성을 극복한다·258
차살림 263
다도와 차살림·263 | 차살림의 조건·266
차살림의 갈래 271
길눈이·278 | 내외살림·281 | 오붓살림·285
모두살림·286 | 헌다살림·289

5 차살림법의 세계

‘보듬이’의 뜻과 만든 까닭 295
‘보듬이’의 미학적 원류와 응용 303
빗살무늬토기완과 빗살무늬보듬이-신神과의 소통·304 | 번개무늬토기완과
뱀문양보듬이-비와 풍요를 위한 기도·310 | 사람얼굴무늬토기완과
신라의미소보듬이-상생의 화엄 노래·314 | 연리문다완과 청마연리문보듬이-
모든 것의 관계·318 | 톱니무늬다완과 수壽자무늬보듬이-자연에의 귀의·322
흑도완과 회령유보듬이·328 | 흑유다완·330 | 청자철재다완과 석간주보듬이·332
인화문다완과 인화문보듬이·334
차살림법의 모습 337
차살림법의 역사ㆍ문화적 근원·339 | 차살림에서 쓰는 도구들·355
차살림법의 세계·363

참고문헌 389

저자소개

정동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차살림학자, 동다헌 시자 1948년생, 서사시 「논개」, 장편시 「순례자」 등 7권의 시집과 대하소설 「백정」, 「단야」, 「민적」, 장편소설 「콰이강의 다리」 등 30여 권의 소설을 썼다. 마당극 「진양살풀이」, 오페라 「조선의 사랑」, 「논개」의 대본을 썼다. 그 가운데 「논개평전」, 「까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신의 지팡이」는 일본에서 출판되었다. 그 후 한국문화론을 심화한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여 「한국의 솔」, 「어머니의 전설」,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 등 10권을 썼다. 특히 「까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부처 통곡하다」는 민족이론과 종교사회사의 영역에 대한 비평적 탐구의 산물로 평가받았다. 2013년 차살림학을 창안하여 한국의 차문화사 영역에 대한 연구와 강의에 전념하면서 「비교차론」, 「차살림법의 미학」, 「선비차의 사회사」, 「기울지 않는 마음과 중정의 역사」, 「선원청규 차법의 미학」, 「불교와 차」 등 차문화사 관련 30여 권의 저술과 글을 발표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5672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