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7781627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07-06-01
책 소개
목차
차례 _ 북한 협상행태의 이해 | 개정증보판 |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제1판 머리말
제1장 서 론
Ⅰ. 연구 목적
Ⅱ. 연구 범위
Ⅲ. 연구방법과 구성
제2장 북한 협상에 관한 선행 연구 및 이론적 검토
Ⅰ. 북한협상에 관한 연구 현황
Ⅱ. 북한 협상행태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문화적 접근론
2. 협상의 개시·계속·중지 결정에 관한 이론
3. 협상단계에 관한 이론
제3장 북한 협상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Ⅰ. 혁명적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협상관
Ⅱ. 북한의 정치문화
1. 군사국가체제문화
2. 전체주의적 대가족 국가관
3. 혁명적 대남관
4. 위험감수 문화
Ⅲ. 환경 적응과 실리추구
1. 국제정세 변화에의 적응
2. 체제 및 정권 유지
3. 경제적 실리추구
제4장 북한 협상행태의 특징
Ⅰ. 전사적 협상행태
1. 군사작전식 협상
2. 타협과 양보의 기피
Ⅱ. 강력한 중앙통제
Ⅲ. 전격적 태도 전환
Ⅳ. 협상과 선전의 병행
제5장 협상 단계별 북한의 협상행태
Ⅰ. 개막단계
1. 축제분위기 조성
2. 선제의와 유리한 회담 환경 조성
3. 자기측에 유리한 의제 고집
4. 일반원칙 합의 유도
5. 상대방 회담대표 회유
Ⅱ. 중간 단계
1. 회담촉진
2. 회담 상대방에 대한 압력
3. 회담 상대방과의 논쟁
Ⅲ. 합의 단계
1. 최고지도자의 개입
2. 합의 용어에 대한 전술적 모호성 유지
3. 관철하지 못한 북한측 입장 유보
Ⅳ. 이행단계
1. 합의사항 이행 협의에 소극적 반응
2. 합의사항의 일방적 해석으로 이행 요구
3. 상대방 회담대표에 대한 예우 격하와 위협
4. 남측 지역에서의 회담 개최 거부
5. 회담중단 선언과 재개 조건 제시
제6장 북한 협상행태의 지속과 변화
Ⅰ. 정치문화와 협상행태의 지속
Ⅱ. 환경변화에 따른 협상행태의 변화
제7장 바람직한 통일정책 수립의 방향, 정책과제와 대북 협상의 지침
Ⅰ. 남북한 관계의 환경
Ⅱ. 바람직한 통일정책 수립의 방향과 정책과제
Ⅲ. 대북한 협상지침
1. 대북한 협상지침 수립 관련 학자·협상가 제언
2. 대북한 협상지침 권고
제8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Ⅰ. 인터뷰 대상인사(회담에서의 직책)
Ⅱ. 통일정책 관련 주요 연설문과 주요 합의서
Ⅲ. 1971~2007년간 남북회담 연표
Ⅳ. 「6·15 남북공동선언」 7주년 평가와 전망
색인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