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

(다가올 통일 대한민국, 선교 대한민국을 꿈꾼다)

손윤탁, 송종환, 정성진, 김문수, 최용준, 이희문, 신창민, 송인호, 강석진, 채원암, 하충엽, 신동춘, 선우숙, 백광욱, 박성배 (지은이), 극동방송 (기획)
예영커뮤니케이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 (다가올 통일 대한민국, 선교 대한민국을 꿈꾼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8350937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6-03-01

책 소개

영동 극동방송에서 기획된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의 대담 내용을 엮은 책이다. 누구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통일론과 기독교 입장에서 품고 있는 북한의 복음화라는 교회 입장에서 선교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추천사
발간 축사
가까이 다가온 자유민주주의 통일_송종환
통일은 대박이다_신창민
통일 대한민국 리더십과 북한인권_김문수
자유 통일 비전과 한반도 물류_신동춘
문화와 통일 비전_선우숙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_채원암
선교교육과 통일_손윤탁
북한 선교와 통일기도회_정성진
통일 일꾼 양성과 통일_하충엽
니콜라이교회의 평화기도회와 한국 교회의 통일 비전_최용준
성경적 통일론_백광욱
북한인권과 통일_이희문
통일 코리아와 미션 코리아_박성배
특별기고문
크리스천과 통일(통일, 내 문제인가? 남의 문제인가_송인호
북한 지하 성도의 신앙과 선교전략_강석진
에필로그

저자소개

손윤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6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졸업 후 경남여상, 우암, 대신, 배정초등학교에서 1989년 2월까지 교사로 봉직하였다. 영남신학교 부산신학사(현 부산장신대학교) 졸업 후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석사, 선교학석사, 신학박사(Th.D.) 학위를, 영남대학교에서 동양철학으로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밀양신보 논설위원,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서울여자대학교, 영남신학대학, 대전신학대학교 등에서 20여 년간 겸임 및 초빙 교수, 한국선교교육재단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네팔새언약신학교(NNCC), 총회 WMTC(World Mission Training Center), GH(Glocal Holistic) 선교회 이사장과 한국순교자기념선교회 장학위원장, 월드비전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직장인선교목회자협의회 대표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효목중앙교회, 중곡동교회, 남대문교회 위임목사로 시무하였으며, 은퇴 후 PCK 총회 한국교회연구원장으로 시무 중이다. 학자로서도 세계선교연구회와 한국선교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구약성경의 산책』(삼성), 『나라별 충효순례』(충효국민운동본부), 『선교적교회직분론』(미션아카데미), 『한국교회와 선비 정신』(케노시스), 『땅끝까지 끝 날까지』(한국장로교출판사), 『교회다운 교회』(이하 예영커뮤니케이션), 『그날』, 『아름다운 것을 지키라』, 『치유의 현장, 예수님과 함께!』(총회한국교회연구원) 등이 있다.
펼치기
송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마산시 월영초등학교, 마산중학교, 경복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 문리대 외교학과, 정치학 학사(국제관계 전공, 1968)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정치학 석사(국제관계 전공, 1972)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Tufts University, 국제법·외교학 석사(국제관계 전공, 1984)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치학 박사(국제관계 및 북한 전공, 2002) *** 해군사관학교 국제법·정치학 교관, 해군 중위(1968~1971) 서울, 평양, 판문점 개최 남북적십자회담, 남북조절위원회 회의 수행원으로 참가(1972~1976) 대통령비서실 정무1수석비서관실 외무부·통일원 담당 행정관(1977~1982) 주유엔 공사 및 제44차~48차 유엔총회 대표(1989~1992) 주미 공사(1994~1997) 국가안전기획부 해외정보실장(1997~1998) 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 정치외교학과 초빙교수(1999~2002) 명지대학교 사회과학대 북한학과 초빙교수(2002~2013) 미래한국위클리 편집위원(2007.4~2013.6) 한국언론인포럼 이사(2007.5~ )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 정무분과위 상임자문위원(2008.1~2) 통일연구원 초청연구위원(2010.3~2011.3) KT 사외이사(평가 및 보상위원장), (2010.3~2013.6)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자문위원(2011.7~2013.6) 주(駐)파키스탄 대사(大使), (2013.6.14~ ) ***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협상학회, 통일경제연구협회 회원으로서 <북한 협상행태의 이해>(2002; 2007), <북한 총람: 1993-2002>의 정치 편(2003), <남북회담: 7·4에서 6·15까지>(2004) 등의 저서가 있음. 남북한 관계, 국제관계와 국가정보기관 개혁관련 국·영문 논문과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한국일보>, <미래한국위클리> 등의 신문과 <월간조선>, <신동아>, <월간북한> 등의 월간지 및 국제정치학회지에 다수 기고
펼치기
정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 “내가 죽어야 교회가 산다.”라는 목회 철학을 바탕으로 일산에서 열 가정이 모여 예배를 드리며 거룩한빛광성교회를 개척했다. 담임목사 6년 임기제를 도입하여 전교인에게 6년마다 신임을 묻는 신임 투표제를 시행하였다. 2013년 신임 투표에서 97.4%의 압도적인 지지로 재신임을 받았다. 아울러 개척 초기부터 담임목사와 장로 65세 정년제, 원로목사 제도 폐지, 목회자 보너스 폐지, 가용 예산의 51%를 구제와 선교에 사용, 헌금명세서를 비롯한 회계보고서 공개 등 기득권 유지를 막는 제도를 스스로 도입하여 한국 교회의 파격적인 개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로 6년 단임 임기제, 자치기관 대표 당회원 임명, 사례금 없는 지휘자·반주자 봉사를 시행하고, 명예 권사·집사와 원로 장로 제도를 폐지하여 한국 교회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꾸준히 후배 목회자들을 키우는 데 애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23년간 24개의 교회를 분립 개척하였다. 지역 사회의 작은 교회 세우기에도 계속 열심을 냈다. 그리고 해피월드복지재단을 세워 고양과 파주 지역의 가난한 이웃과 장애인을 돌보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정성진 목사는 서울장로회신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명예목회학 박사를 받았다. 광산촌부터 도시 목회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목회 사역을 꽃피웠다. 2019년에 거룩한빛광성교회와 분립개척한 거룩한빛운정교회의 담임목사를 청빙하여 사역을 인계하고 은퇴했다. 현재 해마루촌에 들어가 해마루수도원 을 세우고 통일을 위해 기도하며 크로스로드선교회를 세워 후배 목회자들을 십자가 용사로 영적 전투에 내보내는 ‘다윗의 물맷돌 사역’을 시작하였다. 사회복지법인 해피월드복지재단 이사장과 장터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고, 고양시 사회복지협의회 7대 회장으로 지역 사회를 섬겼다. 미래목회포럼 이사장과 한국교회봉사단 공동대표회장,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상임위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그리고 학교법인 광성학원을 세워 다음 세대를 향한 청사진을 펼쳤다. 주요 저서로는 『날마다 개혁하는 교회』, 『열정의 신앙』, 『당신만의 꿈을 가져라』, 『절대 믿음』, 『고난이 주는 축복』, 『주여! 제가 먼저 회개합니다』, 『예수님의 이야기로 가득한 성막의 신비』, 『행함』, 『산상수훈』, 『우리가 부르는 삶의 노래』, 『정성진 목사가 말하는 힘』(이상 예영커뮤니케이션), 『길이 되는 생각, 잠언』(두란노), 『성장하는 교회들의 8가지 정석』(국민북스) 등이 있다.
펼치기
김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경북고등학교 이력 고용노동부 장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자유공화당 공동대표 자유통일당 대표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자유한국당 대구광역시당 수성갑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새누리당 대구광역시당 수성갑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명예사회복지사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조직위원장 제33대 경기도 도지사 제1회 DMZ 다큐멘터리영화제 조직위원회 위원장 제32대 경기도 도지사 제17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 제17대 국회의원 (경기 부천시소사구/한나라당)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대외인사영입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기획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제1사무부 총장 제16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제16대 국회의원 (경기 부천시소사구/한나라당) 국회 민생정치연구회 회장 한나라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부총무 제15대 국회의원 (경기 부천시소사구/한나라당) 노동인권회관 이사 노동부 행정규제완화위원회 위원 노동인권회관 소장 민중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민중당 구로갑지구당 위원장 전태일기념사업회 사무국장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 부위원장 전국금속노동조합 한일도루코 노조위원장
펼치기
최용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 1961년생 • 서울대학교(B.A.)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M.Div.) • Free University in Amsterdam 철학부(Drs. 석사) • Northwest Univ. in South Africa(Ph.D.) • 독일 쾰른한빛교회 및 벨기에 브뤼셀한인교회 담임 목회 역임 • 한반도국제대학원(KUIS) 교수 및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VIEW: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 벨기에복음신학대학원(ETF:Evangelische Theologische Faculteit) 객원 교수 역임 • 현재 한동대학교 교수 및 네덜란드 Driestar Christian University 객원 교수 • 대표 저서: 『하나님이 원하시면』, 『당신, 축복의 통로가 되어라』, 『패러다임 쉬프트』, 『세상을 변화시키는 비전』, 『순례자의 통찰력』(이상 아침향기), 『응답하는 인간』(SFC출판부), 『세상을 변화시키는 학문』,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 1, 2』, 『세상을 변화시키는 세계관』(이상 예영커뮤니케이션), 『성경적 세계관 강의』(CUP)
펼치기
이희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인권과 통일 현 북한 자유 인권 글로벌네트워크 대표 이메일 komerichanlee@hanmail.com
펼치기
신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명예교수 현)(사)통일대박실천연대 이사장 중앙대학교 경영대학장 (사)한우리연구원 초대 이사장 (사)통일경제연구협회 초대 이사장 중앙대학교 민족통일연구소 초대 소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 미국 USC 경제학 석사 미국 Claremont University 경제학 박사 홈페이지: 네이버/다움 “통실연‘으로 검색
펼치기
송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학박사 제45회 사법시험 합격 현, 한동대학교 법학부 부교수 [저서 및 논문] 통일법 강의: 기본이론과 주요쟁점, 법률신문사, 2015 과거청산과 통합(공저), 북한인권정보센터, 2016 “북한의 행정법에 관한 고찰-행정행위 및 행정입법 개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8. 4.
펼치기
강석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건국대학 농대 성균관대 무역대학원 백석신대원 사회경력 한국관세무역연구원(전) 자유통일국민연합 부대표(현) 선교경력 극동방송 설교 및 진행사역 기독일보, 유크디지털뉴스 컬럼 백석총회 북한선교 지부장 목회사역 충주 양의문교회 담임 저서 단행본: 《오래된 소원》(홍성사), 《근현대사로 읽은 북한교회사》(쿰란)외 2권 공저: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예영), 《한국교회의 아버지 사무엘 마펫》(킹덤북스) 외 4권
펼치기
채원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현 외교부 외교안보연구소 명예연구위원 이메일 pc2191@naver.com
펼치기
하충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 일꾼 양성과 통일 현 숭실대 평화통일연구원 교수 이메일 cyha64@hanmail.net
펼치기
신동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유 통일 비전과 한반도 물류 현 건국대 초빙교수, 성신여대 겸임교수 이메일 dcshin007@naver.com
펼치기
선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와 통일 비전 현 배재대 한류문화산업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 이메일 sunwsk4682@hanmail.net
펼치기
백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경적 통일론 현 가득한교회 담임 목사 이메일 bkw625@hanmail.net
펼치기
박성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부전선 애기봉 밑 민통선 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통일의 꿈을 가지게 되었다. 극동방송에서 ‘통일을 앞당겨 주소서’, ‘히즈북 영상 칼럼’, ‘희망 한국이 온다’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한국이 온다』, 『한국교회의 아버지 사무엘 마펫』 등 다수의 책을 집필하였다. 코칭전문작가로서 『베개혁명』, 『양탕국 커피가 온다』, 『질그릇 속에 담긴 은혜』 등 수많은 책을 코칭하여 출간하였다. 현재는 인천공항이 있는 하늘신도시에서 한우리미션밸리(H.M.V, Hanwoori Mission Valley)의 대표로 통일코리아와 미션코리아의 인재 양성을 위한 미션센터를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극동방송 (기획)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통일이라는 주제는 매우 심도 있는 내용이어야 하기에 여기에 합당한 전문 지식과 통일 내용의 다양성도 필요로 했습니다. 이러한 통일에 대한 전문 교육은“ 통일 대박론”을 일찍이 외친 전 중앙대학교 경제학 교수인 신창민 박사님으로부터“ 통일 대박론(2개월에 걸쳐서 경제적인 측면에서 강의를 들었다.)”의 강의를 들은 것이 나에게는 큰 힘이 되었습니다. 통일론에 대해서 다양하게 각 분야를 골고루 다루기 위해서는 그 분야의 내용을 진행자가 어느 정도 사전에 알고 있어야 심도 있는 인터뷰 내용이 갖추어 질 수 있었기에 정치, 경제, 교통과 물류, 외교, 문화, 선교, 인권, 역사 등 다양한 강의 내용이나 전문 서적과 자료 등을 사전에 수집하여 내 자신이 충분히 숙지해야 했습니다. 나로서는 상당한 부담을 가지고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뷰 대본의 질의문을 만들기 위해 저자들의 책을 섭렵하고, 핵심적인 질문을 뽑아내어 대본을 작성하였습니다. 한정된 시간에 그 내용을 청취자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각별한 신경을 써서 작성하여 사전에 충분히 서로가 소통될 수 있도록 사전 작업도 하였습니다. 이번에 이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통일에 대한 전방위적인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얻게 된 것이 나에게는 많은유익이 되었습니다. 결국 통일론은 종합적이며, 균형적이어야 한다는 점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이 방송 프로그램에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열세 분께서 인터뷰에 응해 주셨습니다. 송종환 대사, 신창민 교수,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신동춘 박사, 선우숙 교수, 채원암 외교연구위원, 손윤탁 목사, 정성진 목사, 하충엽 교수, 최용준 교수, 백광욱 목사, 이희문 목사, 박성배 박사와 특별 기고를 해 주신 한동대학교 송인호 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이분들은 하나님께서 통일을 대비해서 준비해 놓으신 믿음의 사람들로서 통일이라는 큰 민족적, 시대적 큰 과업에 귀한 인재들이라 확신합니다.


세계 2차 대전 이후 분단된 국가들의 통일 유형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째는 1975년, 남북 베트남 간의 전쟁에 의해 베트남이 통일된 사례입니다. 통일 과정의 인명 살상과 물적 피해를 생각하면 통일이 아무리 좋아도 전쟁을 통한 통일은 대안이 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북한이 남침 전쟁을 다시 하면 단호히 물리치고 자유민주통일 국가를 이룩하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둘째는 체제가 다른 국가들끼리 즉 자유민주국가인 북예멘과 공산주의 국가인 남예멘이 협상에 의하여 절반씩 권력을 배분하는 식으로 1990년 5월에 통일을 하였으나 권력 분배의 갈등으로 내전이 일어나서 군사력이 우세한 북예멘이 전쟁으로 완전한 통일을 이룩한 사례입니다.
그러나 통일예멘은 2013년 이후, 남부 예멘의 분리 독립 요구로 내란을 겪고 있습니다. 예멘의 사례를 보면 이념과 체제가 다른 두 정부는 하나의 국가로 통일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며 억지로 통일을 이루어도“ 국민 통합”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갈등, 분열, 싸움이 더 가중되어, 다시 둘로 갈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따라서 체제와 이념이 다름에도 협상으로 통일을 합의하는 것도 우리가 택할 대안이 아닙니다.
셋째는 서독이 우월한 국력을 배경으로 하여 자유를 강조하면서 꾸준히 교류하여 동독 체제를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전환시킨 후 동독이 서독 연방에 가입하여 통일이 된 사례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