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7778425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07-05
목차
서문
제1장 서장
Ⅰ. 국군의 연원
Ⅱ. 국군 100년의 역사
Ⅲ. 정통성 문제
제2장 대한제국 국군
Ⅰ. 대한제국의 성립
Ⅱ. 군의 위상 변화
Ⅲ. 군대의 해산
Ⅳ. 무관 양성과 진로
제3장 의병
Ⅰ. 의병전쟁의 전개
Ⅱ. 국내 의병
Ⅲ. 국외 의병
Ⅳ. 의병정신
제4장 독립군
Ⅰ. 독립군 기지 건설
Ⅱ. 독립군 간부 양성
Ⅲ. 독립군의 통합운동
Ⅳ. 독립전쟁의 전개
Ⅴ. 민족사적 의의
제5장 광복군
Ⅰ. 임정의 군사활동
Ⅱ. 광복군의 성립 의의
Ⅲ. 광복군성립보고서
Ⅳ. 광복군 편제와 준승
Ⅴ. 광복군의 활동
제6장 대한민국 국군
Ⅰ. 국군의 창설 과정 전개
Ⅱ. 국군 창설의 준비 과정
Ⅲ. 국군의 창설 과정
Ⅳ. 창군의 인적 자원
Ⅴ. 국군의 성장 과정
제7장 정통성 계승
Ⅰ. 정통성의 함의
Ⅱ. 창군의 인적 정통성
Ⅲ. 창군의 이념적 맥락
Ⅳ. 광복군의 법통 계승
제8장 종장
Ⅰ. 노블레스 오블리주
Ⅱ. 신흥무관학교 전통
Ⅲ. 정통성 인식
참고문헌
사항 색인
인명 색인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선대의 국군은 일제가 대한제국의 군권과 국권을 박탈하려고 하자 이에 항거하여 제1의 창군 의병, 제2의 창군 독립군, 제3의 창군 광복군으로 그 형태를 바꾸어 가면서 50년간에 걸쳐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이렇게 의병 20년, 독립군 25년, 광복군 5년 등 50년간에 걸쳐 독립운동이 전개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우리 선대 국군의 자주독립주의와 무장투쟁주의에 바탕을 둔 독립 투쟁정신이었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우리 국군은 광복 직후부터 6·25전쟁 발발 직전까지 창설된 것으로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그러므로 1940년대 후반기를 창군기(創軍期)로 보고, 민족자생의 창군운동 과정, 미군정(美軍政)의 경비대(警備隊) 창설 과정, 대한민국 정부의 국군 창설 과정을 단계별로 조명할 것이다. 그리고 6·25전쟁 발발로부터 1990년대 중반 평시작전통제권을 환수받을 때까지를 국군의 성장기로 보고, 이를 1950년대 전쟁 및 정비기, 1960년대 체제 정비기, 1970년대와 1980년대 자주국방추진기로 세분하여 조명할 필요를 느낀다.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