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불교교류사 연구

동아시아 불교교류사 연구

조영록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불교교류사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불교교류사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3291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1-10-15

책 소개

삼국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동아시아 특히 한·중 불교교류사를 체계적으로 밝힌 책. 조영록 동국대 사학과 명예교수가 지난 10여 년간 중국과 일본 속의 한국 불교 사적을 현지 답사하거나 전문가들을 방문하고, 고문헌과 지방 사료 등을 상세하게 분석·비교한 뒤 한·중 양국의 각종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 13편을 묶어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목차

서문 5

제1부 | 남종선의 구법 및 전법 19

1장. 도의의 재당 구법행정에 관한 연구 _ 21
- 『조당집(祖堂集)』 관련 기사의 비판적 검토
1. 서 언 _ 21
2. 오대산 참배와 화북의 남종선 _ 23
3. 소주 육조의 행화지 순례 _ 28
4. 홍주종과 신라 도의 _ 38
5. 결 어 _ 49

2장. 혜소의 입당 구법과 도의와의 동행순력고 _ 52
- 『송고승전』『당주신감전(唐州神鑑傳)』과 관련하여
1. 서 언 _ 52
2. 입당 후 신감 문하(神鑑門下)의 구법 _ 55
3. 장강 유역 및 사천 등처(等處) 순력(巡歷) _ 69
4. 결 어 _ 86

3장. 당말오대 민월 설봉문도의 오월 진출과 ‘동국승’ 영조 _ 90
1. 서 언 _ 90
2. 민월의 설봉산문과 조포납(照布衲) 영조 _ 92
3. 설봉문도의 절동(浙東) 진출과 제운산(齊雲山) 영조 _ 100
4. 설봉산문의 항주 전법과 용화사 영조 _ 109
5. 오월 지역 설봉산문의 전등(傳燈) 네트워크 _ 119
6. 결 어 _ 125

제2부 | 법안·천태종의 교섭과 동아시아 해양불교 129

1장. 법안종의 등장과 해양불교의 전개 _ 131
- 10세기 중국 동남 연해의 한중 불교교류
1. 서 언 _ 131
2. 법안종의 형성과 동남 연해의 불교교류 _ 133
3. 법안종의 금릉(金陵) 전등(傳燈)과 해양 실크로드 _ 144
4. 법안종의 해양불교적 발전 _ 153
5. 결 어 _ 161

2장. 의통 보운(義通寶雲)의 절동(浙東) 구법과 전교 _ 164
- 오월 후기 법안·천태종과 고려불교
1. 서 언 _ 164
2. 고려 의통의 도해와 구법 _ 166
3. 오월 불교 제종(諸宗)의 교섭과 고려승 _ 174
4. 나계의 교학 중흥과 고려불교 _ 186
5. 의통 보운과 명주 전교원 _ 196
6. 결 어 _ 206

3장. 장보고 선단과 9세기 동아시아의 불교교류 _ 209
- 적산(赤山)·보타산(普陀山)과 낙산(洛山)의 내적 연관성의 모색
1. 서 언 _ 209
2. 장보고 선단의 원찰(願刹), 적산 법화원 _ 210?
3. 중·한 동해 관음도량과 승려·상인 _ 224
4. 결 어 _ 243

부편(附篇) 교·상 일체적 시각에서 본 해상왕 장보고 _ 245
- 9세기 동아지중해상(東亞地中海上)의 영웅
1. ‘해상왕 장보고’는 누구인가? _ 245
2. 해도인 궁복(弓福)에서 무장(武將) 장보고로 _ 246
3. 재당 신라인 사회와 적산 법화원 _ 251
4. 청해진의 설치와 동아지중해(東亞地中海) 제패 _ 257
5. 장보고 이후의 동아지중해 세계 _ 262


제3부 | 해양 불교교류와 그 설화의 세계 265

1장. 동아시아 해양불교의 전개와 굴절 _ 267
1. 해양신앙과 해양불교 _ 267
2. 9세기 해양불교의 전개 _ 269
3. 10세기 해양불교 시대의 번영 _ 272
4. 송대 이후 해양불교의 굴절 _ 275

2장. 선묘(善妙)와 낙산 이대성(二大聖) _ 277
- 9세기 해양불교 설화의 세계
1. 서 언 _ 277
2.『의상전』의 선묘설화와 관음신앙 _ 279
3. 선묘(善妙)와 낙산설화의 해양불교적 의미 _ 286
4. 범일과 정취보살(正趣菩薩) _ 295
5. 결 어 _ 301

3장. 중국 보타산 관음도량과 신라 상인 _ 304
- 보타산 불긍거관음전(不肯去觀音殿)은 제2의 낙산 홍련암
1. 서 언 _ 304
2. 일본 혜악(惠?)의 불긍거관음전 연기설의 검토 _ 306
3. 『고려도경(高麗圖經)』 관계기사의 검토 _ 310
4. 절동(浙東)의 발전과 나당 교류 _ 315
5. 조음동 불긍거관음전은 제2의 낙산 홍련암 _ 320
6. 결 어 _ 326

4장. 향산 묘선공주와 등주 선묘낭자 _ 330
- 한·중 관음(觀音)·용신(龍神) 설화의 근원과 연변
1. 서 언 _ 330
2. 의상의 입당과 선묘·관음설화 _ 332
3. 향산(香山) 묘선공주에서 절강 연해의 관음신앙으로 _ 338
4. 상천축사 관음전과 조맹부의『관음원기(觀音院記)』_ 347
5. 선묘(善妙)·묘선(妙善) 설화, 그 근원과 연변(演變) _ 355
6. 결 어 _ 361


제4부 | 한중 불교교류와 중국 강남 365

1장. 구화산 지장신앙과 그 항주 지역 전파 _ 367
1. 서 언 _ 367
2. 구화산 지장신앙(地藏信仰) 형성의 문제 _ 368
3. 찬녕의 김지장의 입전(立傳)과 그 의미 _ 373
4. 자운령 지장불감(地藏佛龕)과 구화산 지장신앙과의 관계 _ 379
5. 결 어 _ 385

2장. 제주도 법화사 미타삼존불의 남경(南京) 이치(移置)와 만공(滿空)의 입명 전법(傳法) _ 386
1. 서 언 _ 386
2. 제주 법화사 삼존불의 남경 이치(移置) 시말 _ 388
3. 성조(成祖)의 남경 제불사(諸佛寺) 및 천계사(天界寺) 조영 _ 395
4. 만공 선사(滿空禪師)의 입명과 천계사(天界寺) 파견 _ 401
5. 성조의 호불과 조선 비(朝鮮妃)·조선 태감(朝鮮太監) _ 406
6. 결 어 _ 414

3장. 일제 강점기 항주 고려사의 재발견과 중건주비회 _ 417
1. 서 언 _ 417
2. 독립운동가들의 고려사(高麗寺) 재발견과 중건 염원(重建念願) _ 419
3. 불교인의 참배와 상해 중건주비회(重建籌備會) _ 434
4. 결 어 _ 452

찾아보기 _ 456

저자소개

조영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경남 밀양 출생.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대만 중국문화대학, 일본 경도대학 인문과학 연구소 및 중국 형주대학(현 절강대학) 한국연구소에서 각각 연구하였다. 현재는 동국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 및 편저 <중국근세정치사연구> (지식산업사, 1988) *日譯, <明代政治史硏究>(東京 汲古書院, 2002) <근세 동아시아 삼국의 국제교류와 문화>(지식산업사, 2002) <중국 근세지성의 이념과 운동>(지식산업사, 2002) <사명당평전>(한길사, 2007) 『동아시아 불교교류사 연구』(동국대출판부, 2011) 주편, <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국학자료원,1997) 주편, <중국의 강남사회와 한중교섭>(아산문화재단 지원. 집문당,1997) *항주대학 한국연구소와 공편으로 양측에서 동시 출간. 주편, <사명당 유정-그 인간과 사상과 활동>(사명당기념사업회 지원. 지식산업사, 2000) <朝鮮義僧將․ 松雲大師と德川家康>(仲尾宏과 共編: 東京,2002)
펼치기

책속에서

이와 같이 도의와 혜소는 장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남북 양안을 오가며 각각 순례행각을 넓히고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들이 운수행각을 펼치는 도중에 우연히 해후하였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혜소비문에 의하면 그들이 해후한 곳은 신라 출신 무상 대사의 영당이 소재한 서남 지역, 즉 사천성 성도(成都)이며, 그 시기는 아마도 도의의 스승 서당이 입적한 814년 이후부터 도의가 귀국한 821년 이전까지 약 6, 7년 사이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혜소는 810년 소림사에서 구족계를 받고 다시 당주 신감의 문하로 내려와 수행과 독경을 겸행(兼行)하면서 몇 년을 보낸 뒤 본격적인 순례행각에 나섰던 시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 제1부 2장 「혜소의 입당 구법과 도의와의 동행순력고」, 88쪽.


9세기 전반기에 동아시아 삼국의 해상교역을 주도하던 장보고는 그들 선단의 항해기도처로서 적산 법화원을 창건하였다. 산동 반도 등주(登州) 지역은 한반도와 가장 가까울 뿐 아니라 수도 장안으로 가는 경유지로서 신라의 조공사신들이 드나들던 중심항이었다. 장보고 선단을 직.간접적으로 구성하는 재당 신라인들이 등주를 중심으로 하여 초주(楚州), 양주(揚州) 등지에 집거하면서 상호간에 네트워크를 이루어 활동하면서, 적산 법화원을 창건하여 종교적 귀의처로 삼은 것이다. 그러나 장보고가 신라 왕실의 정치분쟁에 휘말려 희생되고, 적산의 법화원도 회창법난을 당하여 훼철되어 역사에서 까마득히 잊혀지게 되었다.
― 제2부 3장 「장보고 선단과 9세기 동아시아의 불교교류」, 243쪽.


이렇게 볼 때 7세기 후반에 의상 대사에 의하여 개창된 낙산 홍련암 관음굴이 보타산 조음동 관음굴의 조형(祖形)이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완도(장보고 당시의 청해진)의 여러 불적들은 아마도 보타도의 그것들을 모방한 것으로서 역시 당말(唐末), 오대(五代), 송(宋)으로 이어지면서 한중교류가 활발하게 전개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이처럼 절동(浙東) 연해 지역을 중심으로 관음신앙을 통한 나당교류가 활발하였던 것이다.
― 제3부 3장 「중국 보타산 관음도량과 신라 상인」, 327쪽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