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8897801337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목차
서문 5
제1부 일상을 재현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 동시대극
백경선 텔레비전 드라마 <굿바이 솔로> 연구 17
박명진 TV 드라마 <하얀 거탑>에 나타난 영상 미학과 각색의 의미 연구 45
김윤정 이경희 미니시리즈의 극작술 연구 75
주현식 텔레비전 드라마 <싸인>의 시작 방식과 연행성 99
권두현 추리의 서사와 인정투쟁의 드라마 129
제2부 역사를 사유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 시대극
배선애 TV 드라마 <주몽>에 나타난 영웅신화의 형상화 방법 166
양근애 TV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구현 방식 211
윤석진 HDTV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의 서사 기법 고찰 241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상 언어 269
박미란 TV 드라마 <다모茶母>의 서술 방식과 재현 방식 연구 301
제3부 웃음을 생산하는 텔레비전 드라마 : 시트콤
김태연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331
한재연 높고 견고한 지붕을 향한 하이킥 361
저자소개
책속에서
문학연구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아직까지 무엇인가 미심쩍고 무엇인가 석연치 않은 텍스트로서 존재한다. 2000년대 이후, 대중적 오락물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지던 텔레비전 드라마를 문학연구의 텍스트로서 ‘진지하게’ 접근하는 연구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문학장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의 이미지는 이단 혹은 서얼에 가깝다. 하지만 시계視界를 넓혀 면면한 문학의 역사를 조망해 보면 ‘문학적인 것’의 존재 양상으로서 구술-문자 이후의 자리를 영상이 차지할 수도 있다는 가정은 이제 더 이상 가정으로만 머물지 않고 의미 있는 실재實在로 자신의 영역을 구축해 가고 있다.
대중매체를 통해 방영되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성패는 대중적 인기, 즉 대중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상품으로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수요되지 않으면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극단적으로는 시청률이 나오지 않아 조기 종영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에 있어 대중성은 중요한 가치 평가의 기준이 된다. 그렇다고 시청률이라는 한 가지 잣대만 가지고 드라마를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상품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작품(창작물)이기 때문이다. 즉, 텔레비전 드라마는 ‘수용을 전제한 창조 행위’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형식 미학이 극예술의 형식 미학에 그 토대를 두되, 인접해 있는 다른 문학 장르와의 교섭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을 입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오늘날 문학이 위기 혹은 종언에 처한 것이 아니라, 문자와 지면을 넘어 영상 혹은 화면과 조우함으로써 형질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문학의 현재적 역동성을 확인함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