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78013727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2-10-25
책 소개
목차
… 발간사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와 실제: ‘음운과 음운 체계’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 담화 중심의 단어 형성법 교육 방안: 학습자의 새말 소통 현상을 바탕으로
… 텍스트 의미 추론에 의한 통합적 어휘 교육
… 연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 소통을 위한 어휘의 맥락적 의미를 중심으로
… 통합적 문장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맥락과 텍스트 중심의 활동 교재 구안을 위하여
… 총체적 국어교육을 위한 서법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 텍스트 중심의 영역 통합적 표준어 교육 방안
… 사회 방언 교육의 교과서 구현 방향 연구
… 지역 방언의 교수-학습 방안: 텍스트 중심의 영역 통합적 문법교육을 위하여
… 언간을 통한 국어생활사 교육 연구: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고로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하는데 지금의 상황은 백년은커녕 5년도 안 되는 변화무쌍한 시기이니 현장에서 국어교육의 올바른 길을 모색하기란 버거운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던 차에 이번 국어교육학총서 3을 통해 현장의 젊은 선생님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학습자들과 현장에서 직접 활동할 수 있는 문법교육론을 준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모음의 조음 위치를 알 수 있는 텍스트와 자음의 경음이나 격음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일이다. 이를 고려하여 모음은 TV 드라마의 일상적 대화 상황을 바탕으로 통합적 활동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구안한다, 그리고 자음은 문학 작품을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중략)… 곧 이 텍스트는 ‘매체적 텍스트’로서 고등학교 수준의 학습자라면 매우 흥미 있어 하는 ‘TV 드라마’의 대본이다. 이러한 드라마 텍스트는 상황성이 이미 내제되어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는 좋은 방법은 곧 실제로 역할을 나누어 연기를 해 보는 것이다. 이때, 대사를 ‘정확하게 발음하도록’ 지도하여 추후 이어지는 모음의 특성을 아는 활동과 연관 지을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의 문법교육이 문법 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앞으로의 문법교육은 문법과 소통의 관계를 주목하여 실행해야 한다. 학습자가 국어를 부려 쓴다는 말은 국어라는 언어를 통하여 사회문화적으로 소통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소통은 단편적인 언어 자료가 아닌 담화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통의 과정에서 문법교육은 정확한 국어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기반이 되며, 동시에 국어의 가치를 인식하고 가꾸어 나가는 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문법교육은 다양한 담화를 ‘정확하고’, ‘적절하며’, ‘가치 있게’ 소통하는 교육을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