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니까야와 아비담마의 철학과 그 전개

니까야와 아비담마의 철학과 그 전개

와타나베 푸미마로 (지은이), 김한상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니까야와 아비담마의 철학과 그 전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니까야와 아비담마의 철학과 그 전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14052
· 쪽수 : 411쪽
· 출판일 : 2014-04-30

책 소개

저자는 빨리어와 산스끄리뜨어 뿐만 아니라 한역불전에도 해박한 일본의 저명한 초기불교 학자였다. 그는 아비담마 철학의 기원을 탐구하면서 가장 오래된 빨리 니까야뿐만 아니라 단편적인 산스끄리뜨 판본이나 온전한 한역 대장경을 통해서 아가마도 인용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편집자 서문
서문
머리말
문헌 약어표
일러두기

제1부: 아비담마 철학의 기원

1. 서론
2. 다양한 뜻을 지닌 용어 ‘담마’
3. 아비담마의 개념과 특성
4. 아비담마와 마띠까
5. 마띠까의 체계화

제2부: 대화 형식의 발전

6. 대화의 전개방법과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설명
7. 형이상학적 질문들과 사구분별
8. 딱까와 담마딱까
9. 추론과 논증의 형식
10. 경(대화)의 논증들
11.『까타왓투』와 『식신족론』에 나타나는 수준 높은 문답
12. 결론

참고 문헌
역주 인용 문헌
인도 고전어 한글 표기안
역자 후기
서평
찾아보기

저자소개

와타나베 푸미마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의 저명한 초기불교학자로 1934년 일본 산요오노다시(山陽小野田市)에서 출생하였다. 유고쿠대학(龍谷大學)과 동교 대학원에서 초기불교를 전공하였으며, 1965년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대학원에 입학하여 A.K. 와더와 H. 삿다띳사의 지도아래 1976년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긴키대학(近畿大學)의 언어학과와 아이치가쿠인대학(愛知?院大學) 문학부의 국제문화학과에서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1979년 빨리성전협회(Pali Text Society)의 일본 대표를 맡아 해외불교학자들 간의 교류에 힘쓰다 1990년 위암(胃癌)으로 별세하였다. 저서로 본서를 비롯하여 『遊行經に學ぶ』(京都: 永田文昌堂, 1989) 등이 있으며, 다수의 영역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한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스리랑카 켈라니야 대학(University of Kelaniya)의 빨리·불교학 대학원(Postgraduate Institute of Pali and Buddhist Studies)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마라의 편지>, <초전법륜경>, <마하시 사야도의 12연기>, <니까야와 아비담마의 철학과 그 전개>, <빨리어의 기초와 실천>, <아비담마 연구: 마음과 시간에 대한 불교적 탐구>가 있으며, 초기불교 및 스리랑카불교와 관련된 많은 논문들이 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및 동국대학교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비담마라는 용어가 무엇을 뜻하는지를 판단하려면, 그 용어가 쓰인 전체 문맥을 확실하게 참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I.B.호너 여사는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여사는 경장과 논장에서 아비담마와 아비위나야의 용례를 수집하고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여사는 어떤 경우 ‘더 높은 담마, 더 높은 위나야(in Further-Dhamma, in Further-Discipline)’라고도 표현하고, 또 어떤 경우는 ‘담마와 관계된 것, 위나야와 관계된 것(in What pertains to dhamma, in what pertains to discipline)’이라고도 표현하였다. 우리는 여사가 다양한 빨리어 용어들을 영어로 번역하는 데 대단히 신경을 썼음을 알 수 있다. 아비담마라는 용어는 논장 즉 아비담마 삐따까라는 제목으로 정착되기 전까지 여러 번의 변동을 거쳐 왔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 의미는 분명히 논란의 소지가 많다.


아비와 아비담마, 또는 아비담마가 수록된 아비담마 논서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해석들로부터 과연 어떤 것이 아비의 진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해석인지를 고르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현존하는 상좌부上座部,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법장부法藏部, 정량부正量部, 다문부多聞部의 모든 아비담마 논서는 상술한 해석들이 내포된 요소들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해석들로부터 판단해보건대, 가장 보편적인 아비담마의 의미는 서로 구별짓기, 즉 담마들을 정의하기인 듯하다. 그래서 아비담마 논서는 정의들을 모은 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비담마라는 용어는 담마와 구별되어야 하고, 아비위나야란 용어 역시 위나야와 구별되어야 한다. 담마와 위나야는 붓다가 가르친 법法과 율律을 일반적으로 일컫는 용어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아비담마와 아비위나야는 붓다의 제자들이 반드시 닦아야 하는 특별한 담마와 특별한 위나야를 각각 나타낸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붓다의 가르침은 담마(교리)와 위나야(율)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철저히 공부하는 것이 그 가르침의 아비(abhi-)일 것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