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8061575
· 쪽수 : 582쪽
· 출판일 : 2012-12-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역자 서문 및 해제
일러두기
기독교에 대한 간단한 소개
제1장 기독교의 초기 운남 전파
제1절 초기 운남에 온 외국 선교사와 그들의 활동
1. 19세기 후반의 시대적 배경
2. 운남에서의 내지회 및 기타 선교사들의 초기 선교 탐색
제2절 초기 선교 거점의 설립과 활동
1. 대리(大理) 선교 거점
2. 곤명(昆明) 선교 거점
3. 소통(昭通) 선교 거점
제3절 운남 소수 민족 집단 거주 지역에서의 초기 기독교 전파
1. 운남 동북 묘족(苗族) 지역에서의 기독교 전파
2. 쇄보산(?普山) 교회의 건립과 운남 중부 소수 민족지역에서의 그 영향
3. 운남 서부 국경 분쟁지역의 교회 확장
4. 이웃 국가 교회의 중국 국경지역 침투
제4절 청 말기 운남 기독교 종파들
1. 내지회(?地?)
2. 순도공회(循道公?)
3. 침례교(浸?宗)
4. 오순절회(五旬??)
5. 북미장로회(北美?老?)
6. 성경공회(??公?)
제2장 중화민국 초기의 운남 기독교
제1절 20세기 초기 운남에서의 교회 발전
제2절 중화민국 초기 운남 기독교의 급속 확산과 발전
1. 중화민국 시기 운남 기독교의 제1차 부흥기
2. 중화민국 시기 운남 기독교의 제2차 부흥기
3. 곤명기독교연합회
4. 중화민국 초기 운남에서의 기독교 전파에 나타난 특징
제3절 반(反) 기독교운동과 토착 교회
1. “반기독교운동”과 교회의 반응
2. 교회의 자립 운동과 토착화 건설
제4절 중화민국 초기 운남 기독교의 교파 조직과 활동 단체
1. 내지회
2. 순도공회
3. 침례교회
4. 오순절파 교회
5. 안식일교회
6. 성공회
7. 중화국내포교회(中???布道?)
8. 청년회
9. 장로회
10. 전장기독교회(?藏基督敎?)
11. 전중백특리교회(?中伯特利敎?, 운남 중부 벧엘교회)
12. 루터교회
제3장 항일 전쟁(抗日??) 시기의 운남 기독교
제1절 항일 전쟁의 발발과 내지교회의 유입
제2절 항일 전쟁 시기 소수 민족 지구의 교회
제3절 미국 세력의 운남 진입과 기독교에 대한 영향
제4절 항일 전쟁 시기 운남 기독교의 각 교파들과 그 활동
1. 내지회
2. 순도공회
3. 성공회
4. 제7일 안식일 예수재림교회
5. 오순절회(五旬??) 및 신소회(神召?)
6. 침신회(浸信?)
7. 침례회(浸??)
8. 곤명기독도취회처(昆明基督徒聚??)
9. 중화기독교회(中?基督敎?)
10. 귀격회(?格?: 퀘이커)
11. 중화성경공회 곤명분회(中???公? 昆明分?)
12. 광학회(???)
13. 운남 기독교청년회
14. 운남 기독교여청년회
15. 중화기독교도 전국연합회 운남분회
16. 북미청년협회
제4장 해방 전쟁 시기의 운남 기독교
제1절 해방 전쟁 시기 운남 기독교의 전파와 발전
1. 해방 전쟁 시기 운남 기독교의 발전
2. 해방 전쟁 시기에 운남에 들어온 교회 조직
3. 교회의 미국 계통으로의 전환
제2절 신중국 성립 직전 기독교의 “임기응변” 활동
1. 신중국 성립 직전 운남 기독교의 “임기응변”
2. 진보적 기독교계의 자기 개혁적 사고
제5장 중화민국 시기 기독교와 운남의 소수 민족
제1절 운남 소수 민족 지역의 기독교 전파
1. 운남 동북부 및 운남 중부 묘족과 이족 지구의 기독교 전파
2. 운남 서부 율속족, 노족, 독룡족 지구의 기독교 전파
3. 운남 서부 경파족 지구의 기독교 전파
4. 운남 서남부 납호족과 와족 지구의 기독교 전파
5. 운남 남부 합니족과 태족 지구에서의 기독교 전파
제2절 기독교가 운남 소수 민족 사회생활에 미친 영향
1. 기독교와 소수 민족 문자의 창제
2. 기독교와 소수 민족의 문화교육
3. 기독교와 소수 민족 사회의 현대 의약 및 위생 사업
4. 기독교와 소수 민족 생활 방식의 변화
제6장 현대 운남 기독교 (상편: 1950-1978년)
제1절 “삼자”(三自)애국운동의 전개
1. “삼자”혁신운동의 발기
2. 외국 해외선교회와의 관계 단절
3. 규탄 운동
4. 기독교계의 애국주의 학습
5. 각급 기독교 “삼자”애국운동위원회의 결성
6. 운남 기독교 “삼자”애국운동의 성과와 그 의의
제2절 운남 교회의 활동과 교류와 연합
1. 종교 활동의 전개
2. 기독교계의 사회주의 교육
3. 연합예배의 출현
4. 운남성 기독교 “삼자”애국운동위원회의 성립
5. “좌”의 과오가 운남 기독교에 미친 영향
제7장 현대 운남 기독교 (하편: 1979-2004년)
제1절 제11기 삼중전회 이후 운남 기독교의 회복과 발전
1. 종교 정책의 성과
2. 교회 활동의 빠른 회복과 발전
제2절 “삼자” 원칙에 따른 교회 운영의 견지
1. 운남성 기독교 제2차 대표회의
2. 운남성 기독교 제3, 4, 5차 대표회의
3. 운남성 기독교회의 주요 활동
제3절 운남 기독교의 신학 사상 확립
제4절 운남 기독교의 대외 교류 활동
제8장 문화교육과 사회사업
제1절 신학 교육과 사회 교육 및 그 기관
1. 신학 교육 기관
2. 사회 교육 기관
제2절 소수 민족 문자 <성경>의 번역
제3절 병원과 진료소의 설립
1. 혜전의원
2. 혜전의원 곡정의원
3. 복전의원
4. 개구 굉도의원
5. 원강 협제의원
6. 옥계 혜옥의원
7. 대리 복원의원
8. 소통 홍산 한센병 병원
9. 위원 한센병 격리소
10. 경홍 한센병 병원
11. 건수교회의원
제9장 운남의 주요 교회당
1. 곤명 삼일교당(昆明三一敎堂)
2. 곤명시온교당(昆明?安 ‘석안’(?安)은 ‘시온’(Zion)의 중국어 음역임.
敎堂)
3. 곤명 성요한당(昆明??翰 ‘약한’(?翰)은 ‘요한’(John)의 중국어 음역임.
堂)
부록1 운남 기독교 역사 연표
부록2 1920년대와 1950년대의 운남성 교회 개황
부록3 근대 운남에 들어온 기독교 선교사 명부(일부)
1. 내지회
2. 오순절회, 신소회
3. 안식일회
4. 침례회, 침신회
5. 순도공회
6. 성공회
7. 기타 교회
참고문헌
후기
본문미주
참고자료: 첨부 1 중국 운남성의 종교 공존 상황에 대한 연구
첨부 2 운남성 종교사무 관리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