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로 보는 세상

종교로 보는 세상

박규태, 이은봉, 정진홍, 최유진, 황선명, 이진구, 장석만, 류경희, 유기쁨, 이민용, 김영진, 임현수, 류성민, 박상언, 허남린, 김대열, 김호덕, 심형준, 이연승, 최승환 (지은이)
모시는사람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교로 보는 세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로 보는 세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9118650265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6-11-15

책 소개

인류의 가장 오래된 정신문명인 종교를 탐색하는 종교학자 20명이 인생과 세상의 여러 측면을 종교학자의 시각에서 비평한 글들을 모았다. 인간이라는 존재, 종교, 역사, 정치, 사회, 예술, 과학 문명 등 다양한 문제를 성찰하고 통찰하는 길잡이이자 동반자로 삼을 수 있는 책이다.

목차

제1부 종교학자가 본 인간, 역사, 예술
1. 종교 속의 인간
변소와 유교/ 허남린
붓다의 거짓말/ 김영진
죽음에 대한 단상/ 최유진
‘털없는 원숭이’ 인간/ 이은봉
2. 역사, 종교 그리고 삶의 자리
황제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황선명
성현(聖顯)으로서의 중국 표의문자와 도교의 상징/ 김대열
서울이 그리워졌습니다/ 정진홍
3. 예술의 향기
Just A Kiss/ 이연승
클림트, 꽃의 기원/ 박규태
시간을 벗어난 시간/ 정진홍

제2부 현대사회와 종교
1. 국제분쟁과 종교 근본주의
종교의 어두운 그림자/ 류성민
기독교 근본주의의 정치학/ 이진구
힌두 근본주의의 성장과 힌두-무슬림 갈등/ 류경희
2. 한국사회의 종교 문제
학교 내 종교의 자유?누구를 위한 자유인가?/ 최승환
지율 스님의 단식과 새만금 삼보일배, 그리고 생태 순례/ 유기쁨
3. 과학기술의 발달과 종교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진화를 의미하는가?/ 박상언

제3부 종교학 이삭줍기
1. 종교학과 나
종교학의 스펙/ 심형준
나의 ‘책방 서재’/ 이민용
“다시 돌아간다면”, 그리고 종교 연구/ 허남린
중국 종교 연구 방법에 관한 단상/ 임현수
2. 여행길에서
그해 여름은 ‘환상적’이었습니다/ 정진홍
토끼, 모기, 그리고 좀벌레/ 장석만

저자소개

박규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일본재발견: 일본인의 성지(聖地)를 걷다』(2020), 『현대일본의 순례문화』(2020), 『일본정신분석』(2018), 『신도와 일본인』(2017), 『일본 신사(神社)의 역사와 신앙』(2017), 『포스트-옴 시대 일본 사회의 향방과 ‘스피리추얼리티’』(2015), 『라프카디오 헌의 일본론』(2015), 『일본정신의 풍경』(2009), 『상대와 절대로서의 일본』(2005),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히메까지』(2001) 외 다수가 있으며, 주요 역서로 『일본문화사』(폴 발리, 2011), 『신도, 일본 태생의 종교시스템』(이노우에 노부타카, 2010),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 2008), 『신도』(스콧 리틀턴, 2007), 『황금 가지 1·2』(제임스 프레이저, 2005), 『세계종교사상사 3』(미르치아 엘리아데, 2005), 『일본 신도사』(무라오카 쓰네쓰구, 1998),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시마조노 스스무, 1997)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은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대 및 동 대학원 종교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철학박사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학장 ·한국 종교학회 회장 역임 ·덕성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역임 저서로는 <한국 고대 종교사상>, <종교세계의 초대>, <종교와 상징>, <여러 종교에서 본 죽음>, <단군신화 연구>(편저)<나만 홀로 우둔하고 멍청하도다> 등이 있다. 역서로는 <종교 형태론>, <신화와 전설>, <근대 중국 종교의 동향>, <도와 인간 심리>, <과학·신념·사회>, <성과 속> 등이 있다. 『종교 형태론』 『신화와 전설』 『근대 중국 종교의 동향』 『도와 인간 심리』 『과학·신념·사회』 『성과 속』등
펼치기
정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퇴직하고 지금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있다. 『종교학 서설』, 『한국종교문화의 전개』, 『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 『열림과 닫힘』, 『정직한 인식과 열린 상상력』, 『지성적 공간 안에서의 종교』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최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은 「원효의 화쟁사상연구」이다. 현재 경남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원효를 중심으로 한국의 불교사상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고 그 외에 죽음의 문제에도 관심이 있다. 저서로 『원효사상연구』, 『강좌 한국철학』(공저) 등이 있고 최근의 연구 논문으로는 「원효의 평화사상」, 「원효의 계율관」 등이 있다.
펼치기
황선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명지전문대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 <민중종교운동사>, <종교학개론>, <조선조종교사회사연구> 등과 소설 <달과 전쟁>, <평양에서 만나요>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진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1984), 같은 과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1988)와 박사 학위(1996)을 받았다. 뉴욕 주립대학교(스토니 브룩) 객원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국종교문화연구소와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6년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강의전담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논문으로 '한국 개신교의 타종교 인식' '천도교 교단조직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종교자유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이해에 관한 연구'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지은책으로는 <한국 개신교 주요 교파 연구>(1998, 함께지음), <북한 교회사>(1996, 함께지음)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세계의 종교>(세르게이 토카레프, 함께옮김), <동양의 종교>(조지프 키타가와, 함께옮김), <세계종교와 다원주의>(해롤드, 함께옮김) 등이 있다.
펼치기
류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종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와 서강대학교 등에서 오랫동안 강의해왔다. 현재는 저술 작업과 대학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강연과 특강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도의 종교와 종교문화』, 『인도신화의 계보』, 『요가, 초월을 향한 지향』, 『인도여성: 신화와 현실』(공저) 외 다수가 있고 역서로는 W. D. 오플래허티의 『다른 사람들의 신화』, J. G. 아라푸라의 『불안과 평정으로서의 종교』 등이 있다.
펼치기
유기쁨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현대 한국종교의 생태운동을 연구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년 전에 가족과 함께 시골 마을로 이주해서 작은 집에서 큰 개 네 마리와 함께 살고 있다. 얼마 전부터는 밭 귀퉁이에 벌통을 두고 벌들과 공생하고 있다. 이주 초기부터 마당과 밭에 각종 나무를 심었는데, 그때 심은 나무들이 햇빛과 비와 바람과 벌들과 낙엽과 개들의 배설물과 땅속 미생물의 복잡한 상호작용 덕분에 별다른 인위적인 거름이나 비료 없이도 온갖 열매를 내어 주고 있다. 매일의 생활 속에서 생태계의 순환과 생명의 힘을 경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애니미즘과 현대 세계: 다시 상상하는 세계의 생명성』(2023), 『생태학적 시선으로 만나는 종교』(2013), 『아픔 넘어: 고통의 인문학』(2019, 공저),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2021, 공저) 등이 있고, 『대지에 입맞춤을』, 『산호섬의 경작지와 주술』, 『원시문화』, 『문화로 본 종교학』 등을 번역했다.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생태철학과 생태인문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1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공부하였으며 하버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동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미주 한인신문 칼럼니스트로 활동하였다. 동국대학교 역경위원, 참여불교재가연대 공동대표, 국제참여불교연대 실행위원, 영남대 국제교류원 교수, 동국대 객원교수, 한국불교연구원 원장을 지냈으며, 2018년부터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동아시아 불교사상사를 전공하였으며 서구 불교학의 탄생과 오리엔탈리즘, 한국 근대불교와 불교학 등에 관심을 기울여 왔고, 불교고전어와 인도사상사 등을 강의하였다, 「불교학 연구의 문화배경에 대한 성찰」, 「미국 속의 불교와 불교의 미국화」, 「서구불교학의 창안과 오리엔탈리즘」 등의 글이 있다.
펼치기
김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경남 삼천포 출생.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 동 대학원에서 중국 위진(魏晉) 시대 불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제물론석』 저자 장타이옌[章太炎]의 불교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철학과 박사후과정, 동국대 BK21연구단 박사후연구원,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캐나다 UBC 아시아학과 방문학자를 거쳤고 현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학부 교수이다. 그간 『중국 근대사상과 불교』, 『공(空)이란 무엇인가』, 『근대중국의 고승』, 『불교와 무(無)의 근대』,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을 썼고, 이들 5권의 저서가 문광부와 학술원 추천 우수도서에 선정됐다. 이외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공역), 『근대중국사상사약론(近代中國思想史略論)』 등을 번역했다. 제3회 대원학술상(저서부문)과 제29회 불이상(학술부문)을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 이후 주로 사상사와 학술사 맥락에서 중국 근대불교를 연구했다. 상기 소개한 책은 그 과정의 성과다. 십여 년 전부터 한국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불교 철학의 시도라는 주제로 연구를 확장했다. 최남선, 김법린, 백성욱 등 몇몇 불교계 혹은 불교 관련 인물의 사상과 학술을 분석했고, 식민지 시기 불교계의 서양 철학 및 서양 사조 수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근대 간행 불교 잡지를 천천히 읽고 있다. 향후 수년간 이 분야에 집중할 요량이다.
펼치기
임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갑골문에 나타난 상대 후기 사전 체계에 대한 고찰: 주제(周祭)를 중심으로」, 「상나라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본 삶의 세계 구축과 신, 인간, 동물의 관계」, 「상왕조의 인간희생제의에 관한 연구: 전쟁, 도시, 위계를 중심으로」 등.
펼치기
류성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종교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한신대학교 신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를 졸업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종교학 이론 및 방법론, 종교윤리학, 의례학, 중국종교 등이며, 대표적 저서로는 <종교와 인간>(1997), <성스러움과 폭력>(2003)이 있고, 역서로는 <간디의 철학과 사상>(1990), <의례의 이해>(2007)가, 논문으로는 다음 외에 다수가 있다. “희생제의와 폭력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1991), “중국 종교학의 현재와 미래”(2007), “중국 운남성의 종교 공존 상황에 대한 연구”(2010), “중국 종교의 현재와 미래”(2010).
펼치기
박상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공저, 2016) 등의 저서와, “Beauty will Save You: The Myth and Ritual of Dieting in Korean Society”, 「간디와 프랑켄슈타인, 그리고 채식주의의 노스탤지어」, 「신자유주의와 종교의 불안한 동거」, 「소전 정진홍의 몸짓현상학에 나타난 의례연구방법론 고찰」,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임신중절에 대한 종교 생명윤리 담론의 정당화 구조와 성격」, 「근대 미국사회의 종교와 의학의 상호간섭 현상에 관한 연구」, 「자살 관념의 종교적 회로와 구성 방식」, 「19세기 미국사회의 의학 담론과 몸의 성격: 새뮤얼 톰슨과 실베스터 그레이엄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대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et Civilisations Orientales(Paris, France) 정교수 (professeur desuniversites), 파리소르본대학교 종교사/종교인류학과 박사 대표 저서로는 『고전으로 읽는 한국의 자연과 생명』(2018), 논문으로 「자연과 생명에 대한 조선인들의 인식과 태도」(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호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쳤다. 서울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공저, 1998), 『종교 다시 읽기』(공저, 1999), 『세계종교사입문』(공저, 2003), 『종교로 보는 세상』(편저, 2016) 등의 저서와, 「권근의 천인관계론 연구」(1994), 「퇴계 이황의 예 인식」(1997), 「이병헌의 천 관념 연구」(2018)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심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전공 분야는 한국 종교이며, 인지종교학과 응용종교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자연적 조건과 역사문화적 조건의 상호작용을 주로 연구하며, 최근에는 온라인 종교문화와 현대 한국의 새로운 종교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공저)로는 『신과 인간이 만나는 곳, 산』(2020), 『한국의 종교학: 종교, 종교들, 종교문화』(2019) 등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는 「북어는 액막이 부적인가, 행운의 부적인가?」(2024)가 있다. 종교문화에 대한 진화인지적 접근, 디지털 시대의 종교문화 변동, 한국의 종교 개념사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특히 최근에는 ‘갓생살기’ 현상이나 온라인 성지 밈과 같은 현대적 종교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연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최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눈앞에 보이는 작은 이익이나 편리를 위해서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달리 직접 하지는 않았지만 가만히 있음으로써 동조하는 거짓말도 있다. 이런 것들은 소극적인 거짓말이라고 할 수 있다. 소극적인 거짓말을 않기 위해서는 대단히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아울러 서로 불편해지는 것을 참아야 한다. 채식주의자가 주위 사람들 불편한 걸 고려하기 시작하면 오래지 않아 자신의 신념은 온데간데 없다. 자신을 분명히 드러내어 주변과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는 길밖에 없다. 이렇듯 거짓말 하지 않기가 그리 쉽지 않다. 쉽지 않기 때문에 불망어(不妄語)가 수행자의 지침일 수 있다. <붓다의 거짓말/ 김영진>

●역사가 무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 개념이 우리의 의식을 점유한 까닭을 알 수 없습니다. 무엇이 지워진 자리에 그것이 자리를 잡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향수가 퇴색하고 객지에 대한 기억이 회상되어 그리움으로 자리 잡는 것이 역사라면 그 역사는 ‘저’를 간과하지 않는다고 감히 항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강가에 갈대가 베어지고 꽃밭이 마련되면서 팻말이 서고, ‘있는 것’ 다 어떤 그릇에 담아 시장에 내놓고 팔릴 것, 팔리는 것, 팔리지 않는 것들을 솎아 내는 어떤 격률이 역사라는 이름으로 수식되고, 문화라는 이름으로 다듬어진다면, 그래서 그것은 불가항력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고 한다면, 저는 ‘나는 속지 않고 싶어!’ 하고 절규하겠습니다. <서울이 그리워졌습니다/ 정진홍>

●종교의 자유는 양심의 자유와 함께 인간 내심(內心)의 자유로서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보장하는 정신적 자유의 근원이고 모든 인권(human rights)의 기초이며, 자유민주국가의 유지와 불가분의 관련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교의 자유는 신앙의 자유, 종교적 행위의 자유 및 종교적 집회·결사의 자유 3요소를 주된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신앙의 자유’는 신앙선택의 자유, 신앙 변경의 자유, 신앙 고백의 자유, 신앙 포기의 자유, 신앙 침묵의 자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앙 또는 불신앙으로 인하여 차별이나 특별한 불이익을 받지 않을 자유를 포함한다.<학교 내 종교의 자유/ 최승환>

●나의 전공은 종교학인데, 통상 이 분야의 자리매김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나는 스스로 종교학의 분야를 설정하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나는 내가 거치는 책들을 이렇게 분류한다. 곧 나의 분야는 불교학, 기독교신학, 철학사상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서의 종교학이고, 그것의 지역적 확대로서 중국, 일본, 한국, 동아시아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서의 동양학이라는 식이다. 실은 이는 내가 설정했다기보다 책방에서 내 관심을 따라 책장 선반을 훑어가는 순서에서 비롯된 것이다. 곧 책방 서가가 내 전공 분야를 형성시킨 셈이다.<나의 책방 서재/ 이민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