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8689724
· 쪽수 : 489쪽
· 출판일 : 2020-08-19
목차
서문 / 5
1부 물음과 문제로서의 형이상학
1. 형이상학이라는 물음을 묻다 / 15
2.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 21
형이상학의 유래와 의미 21
형이상학은 ‘제1철학’이다 26
우리말의 ‘온’과 ‘한’은 존재론적 개념이다 29
존재론과 형이상학의 개념 30
3. 형이상학은 매트릭스인가 / 33
매트릭스란 무엇인가? 33
스티븐 호킹의 주장이 옳은가? 36
스티븐 호킹의 한계는? 38
2부 서양 고대・중세의 형이상학
4. 최초철학자들 / 43
최초철학자들의 시대 43
‘철학의 아버지’ 탈레스 45
아낙시만드로스 46
아낙시메네스 48
피타고라스 / 49
헤라클레이토스 51
파르메니데스 55
제논의 역설 56
아낙사고라스 57
엠페도클레스 59
5. 플라톤의 형이상학 / 61
플라톤 시대의 그리스 정국 61
플라톤의 삶과 저서 62
플라톤의 영혼불멸성 논증 64
플라톤의 이데아설과 변증법 66
이데아설의 의미 / 68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 70
플라톤의 우주창조설 72
6.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 75
아리스토텔레스의 삶과 저술 75
아리스토텔레스의 서고 77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리스(캄파스페) 80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본 철학용어 83
‘헨’(하나)과 ‘폴라’(여럿) / 83 온(‘이다’와 ‘있다’) / 85
‘우시아’(실체) / 86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 형이상학 88
질료가 실체인가 / 92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물은 실체인가 / 94
보편적인 것은 실체인가 / 95 사물의 형상이나 본질은 실체인가 / 95
형상과 질료이론, 그리고 현실태와 가능태 / 96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 104
형이상학이 신학인가 / 104 아리스토텔레스의 신: 제1의 부동의 원동자 / 106
사유의 사유로서 신 / 109 플라톤 신학과의 비교 / 113
선의 이데아, 데미우르고스, 세계영혼 114
7. 헬레니즘의 형이상학 / 117
헬레니즘 철학 117
에피쿠로스의 원자론과 신학 119
칼 마르크스의 박사학위 논문 122
에피쿠로스의 최고선 126
스토아학파의 범신론 사상 127
로고스 스페르마티코스 129
스토아학파의 신 개념 132
8. 플로티노스와 신플라톤주의 / 135
플로티노스의 철학사적 위상 135
플로티노스의 삶과 저술 137
플로티노스의 형이상학 체계 141
플로티노스의 일자 143
플로티노스의 유출설 146
플로티노스의 영향 154
9. 아우구스티누스의 형이상학 / 157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사상 157
아우구스티누스의 ‘빛의 형이상학’ 159
아우구스티누스의 신 존재 증명 161
신의 은폐성과 부정신학 162
10. 안셀무스의 신 존재 증명 / 163
성 안셀무스의 생애 163
안셀무스와 신의 존재론적 논증 164
<모놀로기온>의 증명 / 165 <프로슬로기온>의 증명 / 166
가우닐로의 안셀무스 비판 168
토마스 아퀴나스의 안셀무스 비판 169
11.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 171
토마스 아퀴나스의 삶과 사상 171
아퀴나스의 우주론적 신 존재 증명 173
다섯 가지 논증 174
토마스의 증명에 대한 반대 입장 178
3부 서양 근대의 형이상학
12. 그리스도교 안의 범재신론 / 183
유출과 창조 183
유출론적 아포리아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 186
위-디오니시우스의 성부 일자설 187
에리우제나의 일자설 188
에크하르트의 변증법적 범재신론 190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범재신론 193
야콥 뵈메의 변증법적 삼위일체론 197
13. 데카르트의 신 존재 증명 / 203
근대철학의 아버지, 데카르트 203
데카르트의 이원론 205
데카르트의 인과론적 신 존재 증명 206
데카르트의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 209
14. 브루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 213
지오르다노 브루노 213
스피노자 215
라이프니츠 218
15. 스피노자의 범신론 / 225
<신학정치론>의 문제들 225
<에티카>의 세 가지 철학적 문제들 226
스피노자의 심신이론 231
스피노자의 영향 234
16. 라이프니츠의 단자론과 예정조화설 / 237
자연과 은총의 원리 238
근거율에 대하여 239
예정조화 243
변신론의 문제 245
라이프니츠의 영향사 248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 251
17. 칸트의 비판철학과 형이상학 / 257
칸트철학의 학문적 위상 257
칸트의 생애와 철학적 발전 및 저술 259
선험철학과 이성비판 268
순수이성비판 273
선험적 감성론 / 274 선험적 분석론 / 276 선험적 변증론 / 280
칸트의 전통신학 비판 284
존재론적 논증 비판 / 285 우주론적 논증 비판 / 291
자연신학적 논증 비판 / 294 선험신학의 인식 비판적 의미 / 298
18. 실천이성의 요청과 근본악의 문제 / 301
실천이성비판 301
실천이성의 요청 308
자유의 요청 / 309 영혼불멸성의 요청 / 311 신 존재의 요청 / 315
칸트의 철학적 종교론 317
칸트의 영향사 322
19. 피히테, 절대자아의 형이상학 / 329
피히테의 삶과 사유의 여정 329
피히테의 종교철학 331
피히테의 지식학 332
피히테의 무신론 논쟁 334
20. 셸링의 자연 형이상학 / 339
셸링, 그리고 철학적 최상원칙의 최후정초 339
‘철학의 원리’는 ‘나’다 341
자연 안의 인간과 신 343
역동적 존재로서 하느님 346
인간 자유의 본성 347
무근거와 원초적 근거, 그리고 악의 문제 349
하느님의 자기실현으로서 자연과 세계 351
<세대들>의 철학 352
21. 쇼펜하우어의 의지 형이상학 / 357
쇼펜하우어의 삶과 사상 357
충족이유율의 원리 358
충족이유율의 네 가지 유형 360
표상으로서 세계 364
의지로서 세계 368
의지의 객관화와 이념 369
쇼펜하우어와 불교사상의 지평융합 372
4부 서양 현대의 형이상학
22. 화이트헤드의 과정 형이상학 / 377
화이트헤드의 삶과 사상 377
과정철학과 창조성의 원리 381
화이트헤드의 신 존재와 과정신학 387
과정신학자들 394
23.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 / 399
하이데거의 삶과 저술 399
기초존재론,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 405
현존재와 진리 411
하이데거의 후기 형이상학 413
24. 블로흐의 아직-아님의 형이상학 / 421
블로흐의 삶와 저술 421
아직-아닌-존재의 존재론 431
살고있는 순간의 어둠 432
어둠과 아님의 존재론적 특성 434
구체적인 유토피아론 437
동일성의 고향: 모든 것 또는 무 443
희망의 철학과 상속의 종교 447
나가는 말 / 455
참고문헌 / 460
색인 /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