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사상
· ISBN : 9788979402889
· 쪽수 : 752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목차
감사의 말씀
기고자 명단
해제 에세이 : 정치와 법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나 아렌트의 주요 저작을 중 심으로
서론 / 마르코 골도니, 크리스토퍼 맥코르킨데일
Ⅰ. 아렌트의 정치적 전환
Ⅱ. 법적 인격
Ⅲ. 공화국의 위기
제1부 노모스와 렉스 사이에서: 한나 아렌트 정치사상과 법 개념
제1장 명령을 넘어서는 법은?: 법에 대한 아렌트의 이해 / 케이드 브린
Ⅰ. 서론
Ⅱ. ‘위대한 전통’의 편견
Ⅲ. 제한하는 성벽과 지속하는 유대 ― 노모스와 렉스
Ⅳ. 절대자 없는 법, 계명 없는 기반?
Ⅴ. 결론
제2장 법과 자유 사이에서: 근대 혁명의 약속과 ‘전통’의 부담 / 미카엘 윌킨슨
Ⅰ. 서론
Ⅱ. 전통에 대한 비판: 아렌트의 정치적 자유 개념
Ⅲ. 전통으로부터의 이탈: 근대 혁명의 상상에서 정치적 자유
Ⅳ. ‘전통’의 부담: 법적 상상력 속의 절대자의 지속
Ⅴ. 전통으로부터의 해방: 근대 혁명과 제작인의 등장
Ⅵ. ‘전통’을 넘어서 법을 개념화하며: 노모스 또는 렉스?
Ⅶ. 결론: 정치적 자유와 입헌적 권위를 조화시키며?
제3장 아렌트의 사상에 나타난 법과 현상 공간 / 요한 반 데어 발트
Ⅰ. 서론
Ⅱ. 현상 ? 실재(현실) ? 진리
Ⅲ. 발현: 현상의 나타남(phainesthai)
Ⅳ. 아렌트의 그림자와 그 그늘
Ⅴ. 문학적 예외
Ⅵ. 문학적 심연과 법의 피상성
Ⅶ. 법의 전도된 심연 또는 부정적 심연
Ⅷ. 시작으로 돌아가기
제4장 ‘법의 부재와 정지를 강조한’ 유산: 한나 아렌트와 조르조 아감벤 / 비비안 리스카
제2부 입헌주의와 제도
제5장 아렌트의 헌법 문제 / 에밀리오스 크리스토두리디스, 앤드류 샤아프
Ⅰ. 헌법의 무거운 짐을 덜자
Ⅱ. 논쟁을 순화시키자
Ⅲ. 현상 공간의 부피를 줄이자
제6장 아렌트의 정치적 헌법에 나타난 대법원의 역할
/ 마르코 골도니, 크리스토퍼 맥코르킨데일
Ⅰ. 권력과 권위 사이의 대법원
Ⅱ. 권력은 없는 종신직 대법관
Ⅲ. 리틀 록에 대한 성찰
Ⅳ. 시민불복종에 대하여
Ⅴ. 결론
제7장 시민불복종의 헌법적 지위와 적소는?: 아렌트에 대한 성찰 / 윌리엄 스미스
Ⅰ. 시민불복종과 혁명 정신
A. 시민불복종, 양심과 법
B. 시민불복종, 동의와 공화국
C. 혁명 정신 되찾기
Ⅱ. 시민불복종과 입헌국가
A. 시민불복종을 위한 공화주의적 포럼
B. 시민불복종에 대한 정치적 접근
C. 아렌트 제안의 폭넓은 매력
Ⅲ. 시민불복종의 제도화에 대한 반대 의견
Ⅳ. 결론
제3부 국민국가를 넘어서?: 한나 아렌트와 국제법
A. 국제공법
제8장 새로운 시작의 모색: 서독 의회주의 비판자, 한나 아렌트와 카를 야스퍼스
/ 카리 팔로넨
Ⅰ. 전후 독일의 지식인과 의회주의
Ⅱ. 탁월한 수사적 정치로서 의회주의
Ⅲ. 나치 지배의 여파에 대한 아렌트의 입장
Ⅳ. 연방공화국의 위기에 대한 야스퍼스의 입장
Ⅴ. 비판자들에 대한 야스퍼스의 반론
Ⅵ. 야스퍼스에 대한아렌트의 검토
제9장 심연을 대면하며: 정치적인 것 앞의 국제법 / 프로리안 호프만
Ⅰ. 위기의 학문
Ⅱ. 진흙에서 벗어나?: (신)형식주의 대 (신)자연주의
Ⅲ. 심연을 대면하며: 국제적인 것을 다시 정치화하며
제10장 전체주의 그림자 속의 국제법과 인간의 다원성: 한나 아렌트와 라파엘 렘킨
/ 세일라 벤하비브
Ⅰ. 서론
Ⅱ. 아렌트 사상 속의 반유대주의와 국민국가
Ⅲ. 아렌트의 입장: 무국적, 소수민족 조약과 ‘권리를 가질 권리’
Ⅳ.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집단학살 협약까지
Ⅴ. 아렌트 저서의 기본 범주로서 다원성
Ⅵ. 간단한 에필로그: 보편적 관할권에 대한 아렌트와 렘킨의 입장
제11장 한나 아렌트의 사상: 권력과 법치 / 하우케 브룬크호르스트
Ⅰ. 권력
Ⅱ. 구조적 억압 권력
Ⅲ. 제국 권력
Ⅳ. 입헌주의
Ⅴ. 헌법 제정권을 보존하는 헌법
Ⅵ. 항구적인 법적 혁명
Ⅶ. 입헌주의에 대한 일관된 집착
Ⅷ. 민주적 포용
제12장 한나 아렌트와 글로벌 거버넌스 언어 / 얀 크라버스
Ⅰ. 글로벌 거버넌스의 일부 특징
Ⅱ. 글로벌 거버넌스의 일부 위험
Ⅲ. 글로벌 거버넌스의 일부 개념
Ⅳ.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일부 인권
Ⅴ. 일부 가능한 결론
B. 국제형법
제13장 무고함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가: 아렌트의 전쟁사상과 법사상 / 패트리셔 오웬스
Ⅰ. 서론
Ⅱ. 정치, 법과 팽창
Ⅲ. 국제관계이론의 몇 가지 문제
Ⅳ. 우발적 사고와 민간인 사망
Ⅴ. 결론
제14장 관료제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판단 / 레오라 빌스키
Ⅰ. 첫 번째 만남: 아렌트와 아이히만 재판
Ⅱ. 두 번째 만남: 아렌트와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
Ⅲ. 뉘른베르크 재판 이후 잔혹 행위에 관한 국제형법
Ⅳ. 개인 사업과 기업 책임 문제
Ⅴ. 관료제를 판단하며: 구경꾼과 판사 사이에서
제15장 예루살렘의 아렌트, 뮌헨의 데마뉴크 / 로렌스 더글라스
Ⅰ. 뮌헨에서 예루살렘으로, 다시 뮌헨으로
Ⅱ. 아렌트와 잔혹 행위의 표현 양식
Ⅲ. 데마뉴크 재판과 판단의 표현 양식
Ⅳ. 방조자 이반 데마뉴크
제4부 권리를 가질 권리
제16장 정치와 법 사이에서: 한나 아렌트와 권리의 주체 / 찰스 바버
Ⅰ. 서론
Ⅱ. 행위와 법
Ⅲ. 권리의 항구성
Ⅳ. 결론
제17장 시민과 인간: 한나 아렌트에서 법적 지위와 인권 / 제임스 보만
Ⅰ. 서론
Ⅱ. 칸트, 아렌트와 비지배
Ⅲ. 법적 지위로서 인격성
Ⅳ. 권리를 가질 권리를 넘어서
제18장 권리를 가질 권리: 인권과 시민권의 상호연관성 / 사만타 베손
Ⅰ. 서론
Ⅱ. 인권: 도덕적 차원과 법적 차원
A. 인권의 도덕성
B. 인권의 합법성
Ⅲ. 국내인권과 국제인권
A. 권리를 가질 권리
B. 국제인권법과 국내인권법
C. 인권에서 시민권으로, 시민권에서 인권으로
Ⅳ.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