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88979471830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2-04-05
책 소개
목차
토양과 비료를 만화로 그리면서 ①
토양과 비료를 만화로 그리면서 ②
토양과 비료를 만화로 그리면서 ③
토양과 비료를 만화로 그리면서 ④
2권 비료 이야기
제1부 비료에도 궁합이 있다
왜 토양마다 비료를 다르게 주어야 할까
왜 다량원소, 미량원소로 나누었을까
비료 성분량 계산법
비료 성분함량 보는 법
비료에도 궁합이 있다
비료도 균형이 맞아야 한다
비료를 배합하면 좋은 경우와 나쁜 경우
복합비료와 배합비료는 무엇이 다를까
완효성비료의 장점
농자재는 부품이다
친환경 유기농자재에는 어떤 것이 있나
광물질비료의 성분
경사가 다르면 비료도 다르게
뿌리의 양분흡수
알아두어야 할 비료 공정규격
제2부 고체, 액체, 기체로 변신하는 질소비료
질소는 어떤 형태로 흡수되나
질산화 억제 질소비료란
고체, 액체, 기체를 돌아다니는 질소(1)
고체, 액체, 기체를 돌아다니는 질소(2)
질소비료가 단백질이 되기까지
요소비료는 왜 속효성일까
질소비료를 나누어 주는 이유
변장에 능한 질소
질소비료를 웃거름으로 주어야 하는 이유
질소비료는 어떻게 만드나
제3부 인산비료 이해하기
인산비료의 종류와 특성
인산비료 제조과정과 차이
인산이 과잉이면 붕소가 결핍된다
인산 종류에 따라 맞춤비료 효과도 다르다
인산이 적은 비료를 써야 하는 이유
제4부 칼리비료 이해하기
칼리비료의 종류
염화칼리와 황산칼리의 차이
염류집적 줄이는 칼리비료 사용법
하우스토양의 말썽꾸러기 염류집적
제5부 다량원소 이해하기
석회가 부족하면 식물에는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
왜 석회비료는 먼저 주어야 하나
석회비료 종류 알기
석회비료를 주어야 하는 이유
질소·석회 섞어 쓰면 부작용
칼슘유황비료란 어떤 비료일까
밭작물엔 황이 든 비료가 보약
밭작물엔 황이 든 비료가 좋은 이유
엽록소와 헤모글로빈은 사촌 사이
붕소는 왜 필요할까
화학비료에 붕소가 있는 이유
석회, 고토, 황 함유 비료의 중요성
기능성 물질로서의 유황비료
제6부 유기질비료 이해하기
부숙이 안된 퇴비는 안 준 것만 못하다
가축분뇨에는 어떤 비료성분들이 있을까
유기질비료와 부산물비료 퇴비의 차이
좋은 유기질비료 고르는 법
팜유박과 야자유박을 유기질비료에 못 쓰는 이유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질소는 뭐가 다를까
제7부 부숙비료(부산물비료 퇴비) 이해하기
퇴비와 화학비료 성분량 계산하는 방법
퇴비 정부지원과 주의할 점
미부숙퇴비는 병원균의 온상
퇴비에도 등급이 있다
좋은 퇴비를 스스로 만드는 방법
무서운 불량 퇴비
물 많은 퇴비는 일단 의심을
옛날에는 퇴비를 어떻게 만들었을까
조상의 지혜 – 퇴비 만드는 법
포대에 구멍 뚫린 퇴비의 장점
우리나라 농경지는 청정해요
산업폐기물이 토양과 작물에 미치는 나쁜 영향
흙을 병들게 하는 폐비닐
농약은 토양에서 어떻게 움직이나
제8부 퇴비가 좋은 이유
퇴비는 국물이 보약
퇴비가 좋은 이유 - 흙을 부드럽게 하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가뭄에 견디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양분 용탈을 막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미생물의 보금자리
퇴비가 좋은 이유 - 양분 유효도를 높이는 힘
퇴비가 좋은 이유 - 효소 배양체
퇴비가 좋은 이유 - 알루미늉 독성을 줄이는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