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80694556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1-09-15
책 소개
목차
시인의 말 5
1부 궤적
초여름 13 / 아름다운 인삿말은 14 / 밤하늘에 저 별은 15
0[無]의 위대함 16 / 생각의 공 17 / 돛과 닻 다시 생각하기 18
무반주 노랫가락 19 / 지난 겨울엔 20 / 홍수 21
너 자신을 알라 22 / 나팔꽃 울음 23 / Log off 24 / 뇌향腦香 25
호랑나비 넌 26 / 불효자의 강퍅剛愎한 YOLO 27
마늘밭의 강설降雪 28
2부 여유
복수초 31 / 달리는 봄 32 / 흘낏 꽃구경 33
금낭화 꽃대궁과 피타고라스 정리 34 / 꽃무릇[石蒜] 35
벼랑쟁이 능소화 36 / 멸종 위기로 가는 꽃 37 / 벚꽃 38
생각의 나무 40 / 밤나무꽃 42 / 생각의 나무 43
나무의 유혹 44 / 숲의 인고와 여유 45 / 소나무와 논객 46
대나무 47 / 상리화裳梨花 48
*시작 노트 49
3부 진경珍景
낮달 55 / 산마루에 서면 56 / 곡우穀雨 57
금강산 구룡폭포九龍瀑布 58 / 문천도사蚊川倒沙 59 / 조홍시早紅枾 60
본시 우리네 산 이름이면 좋겠다 61 / 노을이 자빠지면 62
울릉도 석향石香 63 / 춘설春雪을 묵상默想하다 64 / 친절한 독버섯 65
폐비닐 66 / 산중 요수遼水 67 / 초원을 자수刺繡 놓다 68
비슬산 춘설春雪 69 / 전선애電線愛 부부애 70 /
4부 심결心潔
겨울 꽃눈[花芽] 73 / 파사석탑婆娑石塔 서울 나들이 74
수성못의 봄 75 / 까치절터에서 76 / 역逆 생각 78
고향 가는 바닷물 79 / 알고 보니 80 / 임산부 배려석 81
모서리의 유감 82 / 내 잘못 아닌 통상 우리네 말 83
고종의 길 첫눈 84 / 의리의 돌덩이 85 / 비슬산 상현달 86
A4용지 미늘에 걸린 로또 줄 87 / 과메기[貫目魚] 88 / 성불산고성 90
5부 영가永嘉
어머니의 둥근 세상 93 / 예식장에서 94 / 아버지의 오르막길 96
손자, 먼 훗날을 미리 말하다 98 / 그네를 타면 99 / 바지랑대 100
‘누군가의 가족입니다’ 101 / 습작 102 / 별밤에 103 / 존재 104
부부 나이테 105 / 코로나 바이러스 겁먹은 손녀 106
팽이의 한 수 108 / 이름 잊혀지는 아내 109
손주에게 쓰는 짧은 편지 110 / 때론 아이도 선생님이다 112
해설
학구적인 사유와 일깨움의 시학 _ 이태수 115
저자소개
책속에서
0을 두고 無[0]라고 말했다가
숫자에 속할까 말까 논란이 일었다
숫자로 치더라도 힘꽤나 쓰려면
다른 어느 숫자 곁에 있어 줘야만 숫자 대접받는데
사실이지 0을 두고 누구라도
대접은커녕 대수롭잖게 여긴다
그렇다, 보편적으로 아무런 의미를 두지 않는다
0을 두고
다른 어느 숫자 곁에 있어야만 숫자라는 것은
오류
코로나 바이러스19 확진자 0이던 날
제대로 알아봤다, 대구가 증명했다는 걸
1위로는 원래 그 어떤 숫자도 곁에 두지 않는데
0이 거꾸로 1머리 위를 차지했으니
오류를 말하던 0이
오히려 더 위대한 숫자다.
―「0[無]의 위대함」 전문
뛰는 가슴
절제될 줄 모르도록
무리지은 상리裳梨
우리네 사전에서 보지 못해
어리둥절한데
들춰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다가
총총총 붉게 익은 명사
땅에 뚝뚝 떨어지고
국어사전 터전에서
붉게 익은 단어 하나
발아發芽된다면야
훗날,
“읊조리길 잘했네” 상리화,
한갓진 가을
생각의 너털웃음 지어 볼까나
―「상리화裳梨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