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77876156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14-11-15
목차
들어가면서
◎ 비슬산(琵瑟山: 1,183.59m)은 어디에
◎ 일찍이 고문헌에 나타난 대구(大丘)의 산, 그리고 비슬산
◎ 『삼국유사』를 편찬한 일연스님, '보각국존비'에서 그 생애를 보다
◎ 일연스님이 태어난 곳은 원효대사와 같은 마을
◎ 『삼국유사』의 자취, 포산(包山)은 [鄕去(云) 所瑟山乃梵音]
◎ 일연스님이 상상과 함격하고 포산에 머문 그 길
◎ 비슬산과 유가사와 계곡은 김지대와 이승인의 승사 시(詩) 그대로다
◎ 『삼국유사』'포산이성'에서 관기암자는
◎ '보각국존비'에 나타난 보당암·묘문암·무주암
◎ 비슬산의 여러 봉우리는 포산의 뚜렷한 표상
◎ 대견사 절터에 얽힌 이야기는 당나라 황제로부터
◎ 예부터 비슬산(琵瑟山)의 명칭은 이렇게 써 왔다
◎ 『조선왕조실록』에서 대견사 석상과 여러 불상이 땀을 흘리다
◎ 대견사의 폐사 시기는 언제로 추정할까?
◎ 조화봉에 비슬산강우레이더는 비슬산 임도지덕(林道之德)
◎ 『신증동국여지승람』과『동여비고』의 속성사·정백사
◎ 금수봉 꼭대기에 신비의 금빛 샘, 금빛 용천은 솟고
◎ 세계적인 암괴류·애추·토르는 비슬산의 천연기념물
◎ 내가 본 비슬산의 식물군과 야생동물들
◎ 자연휴양림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하던 때 비슬산
◎ 비슬산 진달래꽃축제와 그 30만 평은 어떻게 산출했나?
◎ 지방자치제 시행 전국 최초, 산에서 꽃으로 축제를 만들다
◎ 비슬산이 달성을 꽃피우다
◎ 비슬산에는 북방 한계성 희귀 수종이 있다
◎ 비슬산에서 자생하는 딱 한 그루뿐인 피나무와 대팻집나무
◎ 비슬산에는 흰진달래도 자생한다
◎ 비슬산의 맥에서 자생하는 비술나무 군락지를 발견하다
◎ 비슬산에서 개비자나무 군락지도 발견하고, 낙동강의 지류인 현풍천의 발원지도 발견하다
◎ 비슬산의 용봉동석불입상에 대한 궁금증을 풀다
◎ 비슬산의 최고위 해발 동네, 가잿골 이야기
◎ 비슬산에 양동산성과 사효굴, 척진교, 현풍 석빙고가 있고
◎ 용연사엔 적멸보궁이 있다
◎ 일연스님이 다시 머문 비슬산의 절터仁興社와 사문진의 사문
◎ 비슬산 인흥사에서 비롯된 인흥서원의 인흥
◎ 성산도 비슬산의 맥, 봉수(烽燧)와 경덕왕이 유상(遊賞)하던 상화대(賞花臺)가 있다
◎ 팔조령은 남지장사, 최정산은 운흥사를 거느리다
◎ 임금이 일연스님에게 기우제를 청했던 비슬산 자락의 사찰
◎ 달성은 대구의 모태, 비슬산이 뿌리내린 그 맥과 길
◎ 비슬산 정기 이은 옛 성불산, 도심에 앉았다
◎ 팔공산에서 비슬산의 맥을 거친 태조 왕건의 흔적과 사찰
◎ 비슬산의 끝자락에서 공룡발자국과 연흔 및 건역화석이 있고
◎ 옛 성불산에서도 비슬산에서와 마찬가지로
◎ 비슬산과 팔공산의 산기(山氣)를 이은 연귀산은 어디에
◎ 팔조령에서 발원한 신천과 하식애를 따라 걷는 비슬산의 맥, 그 길
◎ 비슬산 조화봉 인근서 '나래회나무 대량 군락지' 발견
◎ 비슬산 굿밭골 상류서 『여지도서』의 옛 '금천사' 절터를 되찾다
◎ 비슬산의 원래 명칭을 되찾은 천왕봉과 대견봉
◎ 신라 현덕왕 때 창건한 사찰, 대견사를 중창하다
◎ 비슬산서 불상을 찾다가 낙동강 지류인 '현풍천 발원지'를 되찾다
◎ 밀양의 영남루는 본시 현풍에 있었다
◎ 발간을 앞두고 또다시 옛 절터 두 곳을 한꺼번에 발견하다
나오면서
부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