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연의 흔적과 비슬산 재발견

일연의 흔적과 비슬산 재발견

(포산서 되찾은)

권영시 (지은이)
북랜드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연의 흔적과 비슬산 재발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연의 흔적과 비슬산 재발견 (포산서 되찾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77876156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14-11-15

목차

들어가면서

◎ 비슬산(琵瑟山: 1,183.59m)은 어디에
◎ 일찍이 고문헌에 나타난 대구(大丘)의 산, 그리고 비슬산
◎ 『삼국유사』를 편찬한 일연스님, '보각국존비'에서 그 생애를 보다
◎ 일연스님이 태어난 곳은 원효대사와 같은 마을
◎ 『삼국유사』의 자취, 포산(包山)은 [鄕去(云) 所瑟山乃梵音]
◎ 일연스님이 상상과 함격하고 포산에 머문 그 길
◎ 비슬산과 유가사와 계곡은 김지대와 이승인의 승사 시(詩) 그대로다
◎ 『삼국유사』'포산이성'에서 관기암자는
◎ '보각국존비'에 나타난 보당암·묘문암·무주암
◎ 비슬산의 여러 봉우리는 포산의 뚜렷한 표상
◎ 대견사 절터에 얽힌 이야기는 당나라 황제로부터
◎ 예부터 비슬산(琵瑟山)의 명칭은 이렇게 써 왔다
◎ 『조선왕조실록』에서 대견사 석상과 여러 불상이 땀을 흘리다
◎ 대견사의 폐사 시기는 언제로 추정할까?
◎ 조화봉에 비슬산강우레이더는 비슬산 임도지덕(林道之德)
◎ 『신증동국여지승람』과『동여비고』의 속성사·정백사
◎ 금수봉 꼭대기에 신비의 금빛 샘, 금빛 용천은 솟고
◎ 세계적인 암괴류·애추·토르는 비슬산의 천연기념물
◎ 내가 본 비슬산의 식물군과 야생동물들
◎ 자연휴양림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하던 때 비슬산
◎ 비슬산 진달래꽃축제와 그 30만 평은 어떻게 산출했나?
◎ 지방자치제 시행 전국 최초, 산에서 꽃으로 축제를 만들다
◎ 비슬산이 달성을 꽃피우다
◎ 비슬산에는 북방 한계성 희귀 수종이 있다
◎ 비슬산에서 자생하는 딱 한 그루뿐인 피나무와 대팻집나무
◎ 비슬산에는 흰진달래도 자생한다
◎ 비슬산의 맥에서 자생하는 비술나무 군락지를 발견하다
◎ 비슬산에서 개비자나무 군락지도 발견하고, 낙동강의 지류인 현풍천의 발원지도 발견하다
◎ 비슬산의 용봉동석불입상에 대한 궁금증을 풀다
◎ 비슬산의 최고위 해발 동네, 가잿골 이야기
◎ 비슬산에 양동산성과 사효굴, 척진교, 현풍 석빙고가 있고
◎ 용연사엔 적멸보궁이 있다
◎ 일연스님이 다시 머문 비슬산의 절터仁興社와 사문진의 사문
◎ 비슬산 인흥사에서 비롯된 인흥서원의 인흥
◎ 성산도 비슬산의 맥, 봉수(烽燧)와 경덕왕이 유상(遊賞)하던 상화대(賞花臺)가 있다
◎ 팔조령은 남지장사, 최정산은 운흥사를 거느리다
◎ 임금이 일연스님에게 기우제를 청했던 비슬산 자락의 사찰
◎ 달성은 대구의 모태, 비슬산이 뿌리내린 그 맥과 길
◎ 비슬산 정기 이은 옛 성불산, 도심에 앉았다
◎ 팔공산에서 비슬산의 맥을 거친 태조 왕건의 흔적과 사찰
◎ 비슬산의 끝자락에서 공룡발자국과 연흔 및 건역화석이 있고
◎ 옛 성불산에서도 비슬산에서와 마찬가지로
◎ 비슬산과 팔공산의 산기(山氣)를 이은 연귀산은 어디에
◎ 팔조령에서 발원한 신천과 하식애를 따라 걷는 비슬산의 맥, 그 길
◎ 비슬산 조화봉 인근서 '나래회나무 대량 군락지' 발견
◎ 비슬산 굿밭골 상류서 『여지도서』의 옛 '금천사' 절터를 되찾다
◎ 비슬산의 원래 명칭을 되찾은 천왕봉과 대견봉
◎ 신라 현덕왕 때 창건한 사찰, 대견사를 중창하다
◎ 비슬산서 불상을 찾다가 낙동강 지류인 '현풍천 발원지'를 되찾다
◎ 밀양의 영남루는 본시 현풍에 있었다
◎ 발간을 앞두고 또다시 옛 절터 두 곳을 한꺼번에 발견하다

나오면서
부록
참고문헌

저자소개

권영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 출생,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대구광역시 서기관 퇴직, 녹조근정훈장, 제26회 자랑스러운 대구시민상 지역개발 부문 본상 수상, 대구광역시 「시정연찬 논문 발표」 우수 수상, 대구 달서구 「구정연찬 논문 발표」 최우수 수상, 대구·경북연구원 공모「학술연구 논문」 채택, 한국도시행정학회 회원 지냄, 대한민국 신지식인 「시와 반시」자매지 계간「생각과 느낌」 창간 참여 및 편집위원 지냄, 「문학예술」시 신인상, 대구일보 제1회 전국수필대전 동상 수상, 조선일보 논픽션 공모 예심 10편 오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콘텐츠도서 두 차례 선정됨[시집]「상리화裳梨花」, 수필집「너덜겅의 푸른 땀방울」, 문화와 역사도서 『「보각국사 비명」따라 일연一然의 생애를 걷다』, 인문 교양도서 『포산(包山)서 되찾은 일연의 흔적과 비슬산 재발견』, 대구광역시공무원교육원 교재 「대구 역사와 유적」공저,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숲과 건강생활」강좌 개설 및 교재 집필, 한국문인협회 대구광역시지회 회원(이사 역임), 한국문협 달성지부 회원, 일일문학·태사문학회 회원, 21세기생활문학인협회 3대 회장을 역임하면서 ‘코리아 헤럴드’ 자매지 ‘시사투데이’매일신문 문화면 고정칼럼 「매일춘추」 및 한국산림신문 고정칼럼 「권영시의 산림문화 칼럼」 필진 지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