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80695072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4-07-25
책 소개
목차
005 시인의 말
제1부 보이지 않는 것들
012 풀꽃
013 정중동
014 동천석실洞天石室
015 보이는 소리로 가는 중
016 숲의 내면
018 뼈 없는 시
019 아이비
020 추락하는 것
021 깊은 강도 울음은 있다
022 백두산 천지
023 욕망의 블랙홀
024 봄
025 터널 끝에서 웃는 여인
026 노란 민들레
027 곁을 내어 주는 일
028 등 굽은 소나무
029 묵언 수행 바위
030 푸른 소나무가 되고 싶다던
제2부 꽃이 되는 길
034 풀
035 엄마의 바다
036 몸으로 말하다
037 꽃이 되는 길
038 오월의 꽃
039 폭염
040 진달래
041 냉이
042 곶감
043 유리컵
044 보이지 않는 사랑
045 새댁이라는 말
046 풀잎들의 몸부림
047 싱크대에서
048 부동산 계약서
050 검버섯
051 낙동강
052 소나무 한의사
제3부 빈집은 빈집이 아니다
056 노을
057 은행잎
058 햇살 나누기
060 깻잎 한 장
061 굴비를 굽다가
062 빈집
064 불면의 언어
065 몸살
066 그냥 그렇게
068 풍경 소리
069 접목
070 범어천
071 당신의 마음
072 금요일
074 밤길
075 부레옥잠
076 느린 우체통
077 손 비누
제4부 길, 마음의 섬을 잇다
080 첫눈
081 금 간 저녁
082 선택
083 동태
084 각
086 겨울비 소리
087 잠시 교감
088 살아있는 밤
089 나비와 달팽이
090 마음의 섬을 잇다
092 멍울 꽃
093 상사화
094 그리워 찾아온 길
095 찰나
096 맨발의 순례길
098 감感
099 손바닥
해설
102 길과 마음의 소리와 꽃빛
저자소개
책속에서
콘트라베이스 같은 큰 울림통을
깊은 강에 묻어놓고
가끔 혼자만의 현을 켜던 아버지
산처럼 넓었던 가슴에도
보이지 않는 옹이 자국 여럿 있었다
살아온 마디마디 굳은살 되어
흔적으로 남을 때
그 속을 파고드는 어린 자식들의
웃음소리는 더 커져만 갔다
석양은 깊어지고
산허리 휘어질 즈음
깊은 속울음 한 번 삼킬 때마다
강에서 둥둥 소리가 난다
저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풍성한 소리
참고 참았다가 터지는 울림이 큰 소리
그건 아버지의 넓은 가슴이 부르는
울음 같은 노래였다
--- 「깊은 강도 울음은 있다」 전문
몇 년 만에 찾은 고향 빈집
철 대문이 녹슨 자물쇠 하나 걸고
화난 듯 무겁게 버티고 있다
자물쇠를 달래느라 열쇠를 끼워
이리저리 돌리며 그의 입을 겨우 열었다
앗, 어머니 발걸음 소리 바빴던 그곳에
주인 허락 없이 들어앉은 새 주인들
빤히 바라보는 시선들에 놀라 비명부터 지른다
마당 블록 틈으로
허리까지 차고 올라온 풀들이 점령하고
그 사이를 안주인처럼 요리조리 다니는
갈색 고양이 무리
마음대로 드나드는 요란한 바람과 기억의 그림자
한쪽 귀퉁이 화려하게 지어놓은 거미의 성
혼자 피고 지는 부추꽃 위로
너울너울 춤추는 흰나비 두 마리
주인 없는 집에 들어앉은 새 주인들의
여유로운 몸놀림에 기가 죽는다
눈치를 보느라 조심스레 한 걸음
안으로 들여놓으며 손님처럼 기웃거린다
다행히 기다렸다는 듯 길을 열어주며
그들만의 부산함으로 적막을 깬다
사람 발자국 소리 없어도
누군가에게 안식처가 된 생기 있는 움직임
그들이 있어 빈집은 빈집이 아니다
계절이 바뀌면 또 새로운 누군가가 와서
그들과 웅성거리는 가족이 될 것이다
비어있어서 더 충만할 수 있는 여유 가슴에 담고
녹슨 자물쇠에게 또다시 기다림의 미안함을 채운다
--- 「빈집」 전문
설거지를 하다가 아끼던 유리컵을 깼다
시원한 물로 가슴을 열어주던 얇은 잔 끝은
입술이 대일 때마다 짜릿함을 안겨주었고
손에 전해오던 투명한 촉감은
시스루처럼 감출 수 없는 사랑이었다
조각난 나의 사랑은 두려움이 되고
헤어지기 싫은 듯 보이지 않는
입자 하나가 살 속을 파고들었다
수년간 물만 채워주던 일이
너의 본분인 줄 알았는데
사랑도 진하면 비명이 인다
똑같이 생긴 유리컵 하나를 꺼내
안개에 싸인 붉은 장미를 꽂는다
물을 마실 때는 몰랐다
꽃을 품고서야 비로소 보인다
가시 돋친 뾰족한 모습이어도
너를 환히 보여줄 때 더 아름답게 빛난다는 걸
--- 「유리컵」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