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영양사
· ISBN : 978898160482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3-04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영양판정의 개요 및 계획9
1. 영양판정의 개요 11
1) 영양판정이란 11 2) 영양판정의 목적 및 목표 11
2. 영양판정 체계 12
1) 영양조사 12 2) 영양선별 13 3) 영양모니터링 및 감시 14
3. 영양판정방법15
1) 직접평가법 15 2) 간접평가법 17
4. 영양불량분류 17
1) 영양불량의 분류법 18 2)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20
5. 영양판정 계획과 결과해석 21
1) 영양판정 계획 시 참고사항 21 2) 영양판정 결과 해석 시 참고사항 23
6. 영양판정의 활용 24
CHAPTER 2 식사섭취조사 25
1.식사섭취조사의 의의 27
2. 개인의 식사섭취 조사 28
1) 회상법28 2) 식사기록법 32 3) 식품섭취빈도법 33 4) 식사력조사법 38
5) 실측법 39 6) 동량수거법 40
3. 집단의 식사섭취 조사 41
1) 가구단위의 조사 41 2) 국가단위의 조사 43
4. 식사섭취조사 실행 시 유의사항 47
1) 식사섭취 조사의 신뢰도 48 2)식사섭취 조사의 타당도 48
3) 식사섭취 조사 시 발생되는 측정오차 49
CHAPTER 3 식사섭취 조사의 평가 53
1. 식사섭취 조사의 영양소 전환 55
1) 식품성분표 56 2) CAN프로그램 59
2. 식사섭취 조사의 평가와 해석 62
1)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 62 2) 한국인영양소섭취기준을 이용한 영양상태평가 67
3. 식사의 질 평가 75
1) 영양지수 75 2) 영양소 밀도 76 3)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율 77
4) 식사섭취 조사의 다양성 평가 77
4. 다양한 식생활 평가 80
1) 영양지수 80 2) 한국인을 위한 식사의 질 평가지수 83
3) 식생활 관련 건강위험도 평가도구 84 4) 한국 성인의 식생활 평가지수 84
CHAPTER 4 신체계측 조사 및 평가 89
1. 신체계측 조사의 개요 91
1) 신체계측 조사란 91 2) 신체계측 조사의 목적 및 목표 91
2. 신체계측 조사의 종류 92
1) 성장측정 92 2) 신체 구성성분 측정 93
3. 신체계측 조사의 특성 94
1) 신체계측 조사의 장점과 제한점 94 2) 신체계측 조사의 오차 95
4. 신체계측 조사의 방법 및 판정법 97
1) 신장 97 2) 체중 99 3) 머리둘레 101 4) 신체골격 크기 102
5. 신체 구성성분 측정 및 판정법 104
1) 제지방량 측정 105 2) 체지방량 측정 108
6. 신체 조성의 정밀분석방법 120
1) 수중체중법 121 2) 생체전기저항측정법 122 3) 총체수분량 측정 125 4) 총칼륨량 측정 125 5) 초음파진단법 125 6) 컴퓨터단층촬영법 126 7) 자기공명영상법 126
8)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계측법 127
CHAPTER 5 생화학적 조사와 평가 129
1. 생화학적 조사의 의의와 분류 131
1) 생화학적 조사의 의의 131 2) 생화학적 조사의 분류 131
2. 생화학적 조사의 특징, 분류, 조사시료의 관리 132
1) 생화학적 조사의 특징 132 2) 생화학적 조사의 분류 133
3) 조사시료의 특징과 관리 134
3. 영양소별 생화학적 조사방법 137
1) 단백질 137 2) 지질 146 3)철분 147 4)칼슘 153 5) 아연 155 6) 지용성 비타민 156 7) 수용성 비타민 160
4. 혈액의 생화학적 임상검사 167
CHAPTER 6 임상조사 169
1. 임상조사의 개요 171
1) 임상조사의 의의 171 2) 임상조사의 장단점 171
2. 병력 및 식사력 조사 172
1) 병력조사 172 2) 식사력 조사 173
3. 임상징후 조사 176
4. 영양불량 진단 179
1) 영양결핍 상태에 대한 임상적 판정 179 2) 단백질-에너지 영양불량 180
3) 아동과 성인의 영양불량 183 4) 비타민과 무기질 영양불량 184
CHAPTER 7 생애주기별 영양판정 187
1. 생애주기별 영양판정의 개요 189
1) 생애주기별 영양판정의 특징 189 2) 생애주기별 영양판정의 목적 및 목표 189
2. 유아 및 아동의 영양판정 191
1) 신체계측 191 2) 식사조사 194 3) 임상조사 198 4) 생화학적 조사 198
3. 청소년의 영양판정 199
1) 신체계측 200 2) 식사조사 202 3) 임상조사 203 4) 생화학적 조사 204
4. 성인의 영양판정 205
1) 신체계측 205 2) 식사조사 206 3) 임상조사 207 4) 생화학적 조사 208
5. 임신부의 영양판정 208
1) 신체계측 209 2) 식사조사 211 3) 임상조사 211 4) 생화학적 조사 212
6. 노인의 영양판정 213
1) 신체계측 214 2) 식사조사 217 3) 임상조사 225 4) 생화학적 조사 226
CHAPTER 08 만성질환의 영양판정 229
1. 만성질환의 정의와 현황 231
2. 심혈관계질환 231
1)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와 위험도 평가 232 2) 진단과 치료기준 233
3) 이상지질혈증과 생활요법 238
3. 고혈압 239
1) 고혈압의 기준과 분류 240 2) 혈압의 측정과 평가 240
3) 고혈압의 치료와 관리 243
4. 당뇨병 245
1) 당뇨병의 분류 246 2) 당뇨병의 진단기준 및 선별검사 246 3) 당뇨병의 관리 252
4) 당뇨병의 임상영양요법 254
5. 대사증후군 255
1)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255 2)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 258
CHAPTER 9 입원환자의 영양판정 259
1. 병원영양불량의 정의 및 분류 261
1) 병원영양불량과 영양중재의 중요성 261 2) 영양불량의 분류 263
2. 영양검색 및 도구 265
1) 영양검색의 의의 및 체계 265 2) 영양검색의 도구와 활용 267
3. 영양관리과정을 통한 입원환자의 영양판정 271
1) 영양관리과정의 개요 271 2) 영양관리과정의 단계와 입원환자의 영양판정 271
4. 입원환자 영양판정을 위한 자료수집과 영양처방 280
1) 에너지 필요추정량 산정 280 2) 단백질 필요량 산정 283
실습 285
1. 식품의 목측량 286
2. 식사섭취량 조사 287
3. 식사섭취조사 분석 및 평가 290
4. 신체계측 및 평가 295
5. 생화학적 조사 및 분석 299
6. 생애주기별 영양판정 302
7. 만성질환의 영양판정 307
8. 입원환자의 영양판정 310
부록 317
1.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318
2. 소아청소년 성장도표(2017년) 319
3. 영양섭취 평가 322
4. 영양불량검색을 위한 영양판정 도구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