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81684143
· 쪽수 : 585쪽
· 출판일 : 2006-09-15
목차
추천의 글
서문
Part1 개관
개관 Tyler 이후의 교육과정 이론화 : 그때와 지금 / 김영천
Part2 역사와 비평
제1장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재개념화의 역사 / 김평국
1. 도입
2. 1970년대 이전의 상황
3. 변화의 이론화 작업
4. 1970년대의 교육과정 학계
5. 벽장으로부터의 탈출
6. 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2장 랄프 타일러와 교육과정 연구 / 조재식
1. 서폰
2. 랄프 타일러의 주된 학문적 업적
3. 타일러의 흔적들과 반성
4. 타일러 논거에 대한 계속된 비평
5. 변화하는 우리의 교육과정 연구들
6. 결론 및 시사점
3장 질적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조재식
1. 서론
2. 교육과정 영역에서의 질적 연구
3. 요약과 논리
Part3. 해석적 이론화 전통들
4장 숙의와 교육과정 연구 / 김대현
1. 서론
2. 숙의의 개념
3. 숙의연구의 발달
4. 우리나라에서의 숙의연구
5. 숙의연구의 전망
5장 상징적 상호작용 / 민속방법론과 교육과정 연구 / 손민호
1. 규범주의에 대한 해석적 패러다임의 도전
2. 상황의 주관적 해석과 사회적 상호작용
3. 일상의 실천적 토대와 사회적 상호작용
4. 민속방법론과 현장 타당성
5. 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의 제 문제
6. 실천적 지식에 대한 실천론적 접근
6장 현상학과 교육과정 연구 / 이근호
1. 들어가는 말
2. 현상학의 주요 개념들
3. 현상학적 교육과정 탐구의 계보
4. van Manen과 해석학적 현상학
5. 맺는말
7장 교육비형과 교육과정 연구 / 김명희
1. 서론
2. 교육과정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교육비평
3. 교육비평의 연구 동향
4. 교육비평의 적용
5. 한국 교육과정 수업연구에서 교육비평의 적용 사례
6. 시사점
8장 네러티브와 교육과정 연구 / 박민정
1. 서론
2. 내러티브에 대한 서구와 국내의 연구동향
3. 내러티브의 개념
4. 내러티브 관점의 기본 가정
5. 내러티브 관점이 교육과정 연구에 주는 시사점
9장 생애사 방법과 교육과정 연구 / 김영천, 허창수
1. 서론
2. 생애사의 의미
3. 교육과정에서의 생애사 연구
4. 교육과정에서 생애사 텍스트의 차이점
Part4 비판적 이론화 전통들
10장 실행연구와 교육과정 연구
1. 실행연구의 개념
2. 실행연구의 성장과 발전
3. 실행연구의 주요 문제 및 특징
4. 실행연구의 타당성 준거
5. 교육혁신의 방법론으로서의 실행연구
11장 비판이론과 교육과정 연구
1. 들어가기
2. 한국 교육과정의 개념
3. 비판이론 관련 연구주제들
4. 한국 교육과정 연구에서 비판이론 연구에 대한 비판
5. 비판이론과 관련된 참고 저서에 대한 소개
12장 페미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1. 서론 : 왜 페미니즘인가?
2. 페미니즘의 개념 및 유형
3. 여성주의 교육 이론 및 연구동향
4. 페미니스트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동향 및 내용
5. 한국의 페미니스트 교육과정 연구 사례
6. 결론 : 페미니스트 교육과정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과제
Part5 해체적 이론화 전통들
13장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 연구
1. 서론
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및 특징
3. 포스트모던 교육과정 연구의 시각
4. 새로운 패러다임의 은유
5. 결론
14장 오리엔탈리즘과 교육과정 연구
1. 서론
2. 오리엔탈리즘의 이해
3. 교육과정 연구와 오리엔탈리즘의 개념적 적용
4. 결론
15장 탈식민주의와 교육과정 연구
1. 서론
2.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의 식민성
3. 새로운 정체성을 향한 탈주
4.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