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82227288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08-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책의 집필 의도와 방향
제1부 한국 전통 색채와 전통색
1 전통 색채란 무엇인가
2 전통 색채의 사상적 배경
3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
4 한국인의 색채 감성과 미의식
5 생활 속에 반영된 한국의 전통 색채
제2부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 색채와 색채디자인
1 중국의 전통 색채
2 일본의 전통 색채
3 근현대 이후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 색채디자인 콘텐츠
제3부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의 발전과 한류 콘텐츠화
1 한국 전통 표준색의 적용
2 국가 이미지와 정체성 상승 효과
3 산업 경쟁력과 문화 콘텐츠화의 기초 마련
제4부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 콘텐츠의 활용과정과 사례
1 색채디자인 콘텐츠화의 변화
2 시기별로 살펴본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 콘텐츠 활용 사례
3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 콘텐츠의 시대별 주요 특징
나오며
미주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한국 전통 색채 활용 변천사를 통해 한국 색채디자인을 콘텐츠화해 전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해 집필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현재까지 시대별 사례를 통해 산업디자인에서 색채 이미지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전통 색채가 다양한 컬러 마케팅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본다. 또한 현대와 전통 색채의 조화를 이룬 전통 색채 이미지를 발견해내, 미래 전통 색채 이미지 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했다.
고려시대의 색채는 대표적으로 불화와 사찰건축, 고려청자에서 찾을 수 있다. 고려 불화는 원칙적으로 음양오행설에 입각한 오방색을 중요시한다. 그 이유는 인간세계의 생생한 감각을 긍정하고 이를 유효하게 활용함으로써 성속일체(聖俗一體)의 체험을 얻고, 색채를 상징화하여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하려 한 것이다. 붉은색은 고대부터 숭고하고 신성한 의미로 사용되었고, 백색은 하늘의 의미와 조화를 이루어 함께 깨끗하고 영롱한 존재임을 나타냈으며, 황색은 왕족을 의미하는 색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금색은 부처의 절대적인 색채로 풍요롭고 성스러운 장엄함을 표현하며 독실한 신자가 부처에게 바치는 선물과 정신적 장식물의 기능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