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82259418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13-08-14
목차
Chapter 1 미생물의 발견과 미생물학의 탄생 / 1
1.1 고대인과 미생물 3
1.2 미생물의 발견 5
1.3 미생물학의 확립 7
1.4 발효화학의 탄생과 발전 12
1.5 미생물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13
1.6 새로운 미생물학의 탄생 14
Chapter 2 미생물 세포의 구조와 기능 / 19
2.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23
2.2 미생물 세포의 화학조성 26
2.2.1 수분 26
2.2.2 세포의 유기성분 27
2.2.3 회분 29
2.3 세균세포의 미세구조 29
2.4 효모?곰팡이 세포의 미세구조 39
Chapter 3 미생물의 분류 / 49
3.1 생물계에서 미생물의 위치 51
3.2 곰팡이 53
3.2.1 곰팡이의 형태 53
3.2.2 곰팡이의 증식 54
3.2.3 곰팡이의 분류 59
3.3 효모 76
3.3.1 효모의 형태 77
3.3.2 효모의 증식 78
3.3.3 효모의 분류 79
3.3.4 중요한 효모 81
3.4 세균 84
3.4.1 세균의 형태 85
3.4.2 세균의 분류 87
3.4.3 중요한 세균 90
3.5 방선균 95
3.5.1 Streptomyces 속 96
3.5.2 Streptomyces속의 항생물질 97
3.6 극한환경미생물(極限環境微生物) 98
Chapter 4 병원 바이러스 / 103
4.1 바이러스 108
4.1.1 바이러스의 일반적인 분류 109
4.2 간염 바이러스와 에이즈 바이러스 112
4.2.1 간염 바이러스 113
4.2.2 에이즈 바이러스 124
4.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133
4.3.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성상(性狀) 134
4.3.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복제과정 135
4.3.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양성과 변이체의 출현 138
4.3.4 신종 인플루엔자A와 조류인플루엔자(AI)와의 결합에 의한 변종 플루 138
4.4 장바이러스에 대한 일반적 개요 140
4.4.1 장바이러스의 일반적 특징 140
4.4.2 대표적인 장바이러스 142
4.4.3 장바이러스의 감염경로 143
4.5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세균 바이러스) 145
4.6 바이러스와의 전쟁과 대재앙 및 정책 수술 147
4.7 변형 바이러스가 암세포 킬러 149
Chapter 5 미생물의 증식과 영양 / 153
5.1 미생물 세포의 화학성분 157
5.2 미생물의 증식과 사멸 160
5.3 미생물 증식의 측정법 160
5.3.1 건조 균체량의 측정 161
5.3.2 균체 단백질(질소)량의 측정 161
5.3.3 광학적(光學的)인 방법 161
5.3.4 총균수 측정법 162
5.3.5 생균수를 측정하는 방법 163
5.3.6 Packed volume의 측정법 164
5.4 미생물의 증식 164
5.4.1 증식곡선(growth curve) 166
5.4.2 미생물의 연속배양(continuous culture) 169
5.4.3 균사생육(菌絲生育) 172
5.4.4 동조배양(synchronous culture) 173
5.4.5 반회분배양(fed-batch culture, 유가배양) 174
5.5 미생물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74
5.5.1 종속영양생물(從屬營養生物)과 독립영양생물(獨立營養生物) 175
5.5.2 막수송 및 영양섭취 183
5.5.3 미생물의 증식과 영양생물 183
5.5.4 대사의 제어와 통합 188
5.5.5 환경인자(環境因子) 190
Chapter 6 미생물의 유전 / 199
6.1 유전자 203
6.2 전사의 조절 205
6.2.1 음성적 조절(negative control) 205
6.2.2 양성적 조절(positive control) 207
6.3 미생물의 돌연변이 208
6.3.1 영양요구 돌연변이체(auxotrophic mutant) 209
6.3.2 내성 돌연변이체(resistant mutant) 209
6.3.3 대사 돌연변이체(metabolic mutant) 209
6.3.4 조절 돌연변이체(regulatory mutant) 210
6.4 플라스미드(plasmid) 211
6.5 돌연변이와 미생물의 적응력 212
6.6 미생물의 유전자 재조합 213
6.6.1 원핵생물의 재조합 213
6.6.2 원핵생물에 있어서 재조합의 중요성 218
6.6.3 진핵생물에 있어서의 재조합 218
6.7 유전자공학 220
6.7.1 재조합 단백질 생산 222
6.7.2 형질전환식물(GMO) 224
Chapter 7 미생물과 고등생물과의 관계 / 227
7.1 중립, 공생, 기생 230
7.1.1 미생물과 포유류의 소화관 230
7.1.2 구강미생물(口腔微生物) 235
7.1.3 미생물과 식물의 근권(根圈) 237
7.1.4 미생물간의 상리공생 239
7.1.5 기생 241
7.2 감염에 대한 숙주방어 243
7.2.1 구성적 숙주방어(構成的 宿主防禦) 245
7.2.2 유도적 방어-면역학 245
7.3 항균제와 화학요법 249
7.4 미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생물의 제어 252
7.5 세균과 생물학적 무기 254
Chapter 8 미생물의 이용 / 257
8.1 1차대사와 2차대사 260
8.2 발효공업(대사생산물의 이용) 262
8.2.1 알코올의 생산 262
8.2.2 유기산의 생산 266
8.2.3 아미노산의 생산 270
8.2.4 핵산관련물질의 생산 278
8.2.5 항생물질의 생산 283
8.2.6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ive agent)의 생산 286
8.2.7 다당류의 생산 289
8.2.8 효소의 생산 291
8.2.9 균체생산 296
8.3 양조공업 298
8.3.1 한국술의 유래 300
8.3.2 한국 주류산업의 시발(始發) 및 발전 301
8.3.3 알코올 음료(酒類)의 생산 305
8.3.4 조미식품의 생산 315
8.3.5 유제품(乳製品)과 그 외 발효식품 321
8.4 세균의 빙핵활성(氷核活性)과 그 응용 331
8.4.1 빙핵활성 331
8.4.2 빙핵활성 세균(빙핵세균) 332
8.4.3 빙핵활성의 활용 333
Chapter 9 환경과 미생물 / 335
9.1 자연계에서의 미생물 338
9.2 자연계의 물질순환과 미생물의 역할 342
9.2.1 탄소의 순환과 미생물 343
9.2.2 질소의 순환과 미생물 344
9.2.3 황의 순환과 미생물 346
9.3 미생물에 의한 환경오염물질의 분해 347
9.3.1 하수처리와 미생물 349
9.3.2 농약의 분해와 잔류 356
9.3.3 합성세제의 분해 360
9.3.4 부영양화 현상과 탈질반응 361
9.3.5 오염물질 분해성 유전자 363
9.4 미생물 재해 364
9.4.1 미생물 재해와 관계가 있는 영역 365
9.4.2 문화재의 보존과학과 미생물 370
9.5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지구환경 373
9.5.1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374
9.5.2 젖산발효와 미생물 375
9.5.3 폴리젖산의 중합과 물성 376
9.5.4 생분해성의 평가방법과 폴리젖산의 환경순환 377
9.6 퇴비의 발효(compost fermentation) 379
9.6.1 발효균과 발효경로 380
9.6.2 발효의 실제와 공업화 381
Chapter 10 식품의 부패와 보존 / 385
10.1 식품의 변질과 미생물 387
10.2 식품의 품질과 보존성 389
10.3 주요 식품의 부패 391
10.3.1 곡류 391
10.3.2 축육류(畜肉類) 391
10.3.3 어패류 393
10.3.4 우유 395
10.3.5 난(卵) 395
10.4 식품부패에 따른 생화확적 변화 396
10.4.1 함질소화합물의 분해 396
10.4.2 지방의 분해 397
10.4.3 탄수화물의 분해 398
10.5 식중독과 미생물 독소 398
10.5.1 식중독 398
10.5.2 병원성 대장균 O-157 402
10.5.3 복어독 404
10.5.4 Mycotoxin(곰팡이 독소)에 의한 위해(危害) 407
10.6 식품의 부패방지 412
10.6.1 살균법 413
10.6.2 정균법 415
10.6.3 식품보존료(防腐劑)를 첨가하는 방법 419
10.7 식품오염세균의 검출법 421
10.7.1 일반 생균수의 측정 421
Chapter 11 주요 미생물 질환 / 427
11.1 호흡기 감염 430
11.1.1 세균성 호흡기 감염 431
11.1.2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436
11.2 성병 439
11.2.1 임질 440
11.2.2 매독 440
11.2.3 클라미디아 감염 441
11.2.4 헤르페스 441
11.2.5 트리코모나스증 442
11.3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442
11.4 동물에 의한 전파:광견병 442
11.5 조류에 의한 전파: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bird flu) 443
11.6 곤충에 의한 전파 445
11.6.1 리케차 445
11.6.2 라임병(Lyme disease) 446
11.6.3 말라리아 447
11.6.4 페스트(흑사병) 449
11.6.5 일본뇌염 450
11.6.6 웨스트 나일 열병(West Nile fever) 450
11.6.7 살인 진드기 451
11.7 식품매개성 질병 453
11.7.1 포도상구균성 식중독 453
11.7.2 가스괴저균 식중독 454
11.7.3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454
11.7.4 헬리코박터와 위궤양 454
11.7.5 노로바이러스(Norovirus, NV) 455
11.8 수인성 질병 456
11.8.1 람블편모충증 456
11.8.2 크립토스포리디아증 456
11.8.3 아메바증 457
11.8.4 콜레라 457
11.9 병원성 균류 458
11.9.1 무좀 459
11.10 패혈증(sepsis, septicemia) 460
11.11 봉와 직염 461
11.12 아폴로 눈병(acute hemorrhagic conjuntivitis) 462
11.13 역학과 공중보건 463
11.13.1 역학 464
11.13.2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에이즈)의 역학 465
11.13.3 전염병의 전파 466
11.13.4 집단면역 466
11.13.5 공중보건 467
찾아보기 /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