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8251675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8-30
목차
Part I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프로포절
|Chapter 01|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17
01.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의미___18
02.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유형___22
03.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___25
|Chapter 0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포절?27
01. 사회복지 프로포절이란?___28
02. 성공적인 프로포절의 조건___29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프로포절 평가 기준 29
2) 삼성복지재단의 프로포절 평가 기준 30
3) 우수 프로그램과 프로포절 33
03. 재정지원처에 대한 이해___34
04.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아이디어 개발___37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 37
2) 조합법(Combination soup)을 통한 문제 발견과 해결 39
|Chapter 03|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43
01.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___44
02. 프로그램의 평가 모형과 평가 유형___47
03. 프로그램의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___53
Part II 사회복지 프로포절의 작성
|Chapter 04| 1단계-문제 확인 및 분석?69
01. 문제 확인 및 분석의 필요성___69
02. 문제 확인 및 분석의 과정___72
1) 세부 절차 1: 사회복지 서비스 및 자원의 결여/불충분 확인 74
2) 세부 절차 2: 결여되거나 불충분한 사회복지 서비스 및 자원의 증거자료 수집 79
3) 세부 절차 3: 사회복지 서비스 및 자원의 결여/불충분의 원인 탐색 89
|Chapter 05| 2단계-대상자 선정?95
01. 대상자 규모 추정___95
1) 일반집단(general population) 97
2) 위험집단(at-risk population) 98
3) 표적집단(target population) 98
4) 클라이언트 집단(client population) 99
02. 대상자 선정 기준 수립___101
1) 사전 기여금에 의한 대상자 102
2) 행정 규칙이나 규정 102
3) 사적인 계약 102
4) 전문적 분별 102
5) 행정적 결정 103
6) 자산조사 103
|Chapter 06| 3단계-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105
01. 목적과 목표의 차이___106
02. 목표의 종류___107
1) 산출목표 107
2) 성과목표 109
03. 목표설정 기준___111
1) 목표와 책임성을 명확히 하고 논리적으로 관련이 되어야 한다 111
2) 목표의 구체성과 현실성을 고려한 성과목표를 포함한다 112
3) 성취기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112
4) 단 하나의 명확한 평가기준을 내포하도록 설정한다 112
5) 목표는 시간적인 기준이 있어야 한다 113
6) 지나치게 어렵거나 쉬운 목표는 바람직하지 않다 113
|Chapter 07| 4단계-프로그램의 기반 수립과 내용 설계?115
01. 프로그램의 기반 수립: 이론 확인___116
02. 프로그램 내용 설계의 방법: 대안 선택___120
1) 타당성 120
2) 실행가능성 122
3) 대안 선택 평가표 124
|Chapter 08| 5단계-세부 프로그램별 실행 계획?125
01. 프로그램의 활동별 수행방법___126
02.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___129
03. 담당인력 구성___131
04. 사업진행 일정___133
05. 홍보계획___135
06. 지역자원 활용 계획___136
07. 점검 사항___140
|Chapter 09| 6단계-예산수립?143
01. 예산의 유형___144
1) 품목별 예산(line-item budget) 144
2) 성과주의 예산 145
02. 예산수립의 특성___147
1) 예산수립은 정치적 과정이며 프로포절 기금배분도 마찬가지이다 147
2) 예산수립은 기획의 과정이므로 프로포절 내용과 일치해야한다 148
3) 예산수립은 인간적 과정이므로 프로그램에 대한 평판과도 연결된다 148
03. 예산작성___149
Part III 사회복지 프로포절의 실제
|Chapter 1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프로포절의 실제?155
0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신청사업’ 프로포절 사례___156
0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 프로포절 사례___192
|Chapter 11| 기타 재정지원처 프로포절의 실제?203
01. 삼성복지재단 ?작은나눔 큰사랑? 프로포절 사례___203
02. 아름다운재단 프로포절 사례___222
03. 한국장애인개발원 프로포절 사례___230
|Chapter 12|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 관련 쟁점과 동향?241
01. 사회복지체계의 변화___242
1) 사회 분야에서의 변화 및 사회문제 양상 243
2) 기술 분야에서의 변화 및 사회문제 양상 243
3) 경제 분야에서의 변화 및 사회문제 양상 244
4) 환경과 자원 분야에서의 변화 및 사회문제 양상 245
5) 정치 분야에서의 변화 및 사회문제 양상 246
0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현황 분석___247
1) 사업대상별 지원 금액 현황 247
2) 서비스내용별 배분 현황 249
03. 향후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성 제언 256
|부 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프로그램 사례 목록?259
참고문헌___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