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82586552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14-09-15
책 소개
목차
Part 1 - 소매업태
제1장 대형마트 / 제2장 백화점 / 제3장 슈퍼마켓 / 제4장 아울렛과 복합쇼핑몰 / 제5장 편의점
제6장 온라인쇼핑 / 제7장 모바일쇼핑 / 제8장 TV홈쇼핑 / 제9장 오픈마켓 / 제10장 소셜커머스
제11장 전통시장 / 제12장 다단계 판매 / 제13장 H&B스토어 / 제14장 균일가샵
Part 2 - 업종별 유통경로
제15장 가공식품 / 제16장 생활용품 / 제17장 가전제품 / 제18장 휴대폰 / 제19장 국산차
제20장 수입차 / 제21장 중고차 / 제22장 농산물의 유통경로 / 제23장 수산물 / 제24장 축산물
제25장 의류 / 제26장 화장품 / 제27장 가구 / 제28장 보험상품 / 제29장 의약품 / 제30장 한약
제31장 주류 / 제32장 문구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5장 편의점
1. 편의점의 개념
. 편의점 (Convenience Store : CVS)은 “소비자들이 시간과 거리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식품이나 잡화 등의 생활용품을 셀프서비스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50~300m2 규모의 소형 점포”를 의미한다. 편의점의 주된 장점으로는 시간적 편의성, 장소적 편의성, 상품구색의 편의성 등을 들 수 있다.
. 시간적 편의성 : 편의점의 가장 큰 장점은 대부분의 편의점이 연중무휴로 24시간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든 생활용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편의점은 전기/전화요금 등 공공요금 수납서비스, 택배서비스, 보험료/신문요금 수납서비스, ATM기를 이용한 입출금서비스, 티켓팅서비스, 휴대전화개통서비스 등의 다양한 생활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장소적 편의성 : 편의점은 거주 밀집지역, 오피스가, 지하철역 부근 등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멀리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물건을 구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 상품구색의 편의성 : 편의점은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각종 편의품 (convenience goods)을 소량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상품구색을 갖춤으로써 소비자가 편의점만 이용해도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도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2012년을 기준으로 약 3,900여 개에 이른다. 식품류와 비식품류의 비중은 약 53대 47로 식품류가 약간 더 많다. 식품류 중에서는 가공식품과 우유 등의 일배가공식품이 편의점 전체 매출의 30~3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주류, 신선식품, 과자등이 뒤를 잇고 있다. 비식품류 중에서는 담배가 비식품류 매출 비중
인 47%의 대부분인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 잡화, 복권, 문구, 잡지 등이 판매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생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약품판매도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 7월에 일반의약품에서 의약외품으로 전환된 액상소화제, 정장제, 외용연고제, 파스, 강장드링크류 등의 48개 품목과 2012년 11월부터 24시간 개점되는 소매 점포에 한하여 판매가 허용된 감기약, 소화제, 해열진통제와 같은 안전상비의약품 13개 품목의 일반의약품 판매를 개시하였다. 최근에는 편의점에서 채소, 야채, 명절선물세트등과 같이 슈퍼마켓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상품의 비율이 높아지면 서 SSM의 상품공급점 사업으로 촉발된 ‘변종 SSM’ 논란이 편의점업계로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