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과 대학원(Th.M./Th.D.)에서 공부했다.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이며 생명의망잇기 협동조합 대표로 있다. 옮긴 책으로 『성서로 보는 결혼 은유』(성광문화사), 『현대인을 위한 창세기 강해』(한국장로교출판사), 『고대 근동 세계와 이스라엘 종교』(한들출판사), 『기독교 신앙과 카오스 이론』(대한기독교서회), 『강성열 교수의 구약 설교』(이레서원) 등을 썼으며, 『사해문서 1-4』(나남출판사), 『성전신학』(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펼치기
최승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독교 영성학 학자, 영성지도자, 수퍼바이저, 영성수련 지도자로 학문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을 넘나들며 활발한 활동을 펼쳐 왔다. 20여 년간 호남신학대학교에서 기독교 영성학을 가르치며, 한편으로 신생 학문인 기독교 영성학이 신학계에 견고히 뿌리내리도록 이론적 연구와 후진 양성에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 개신교 신학대학 최초의 기독교 영성학 박사(Th.D.)와 더불어 다수의 신학석사(Th.M.) 제자들을 배출했다. 또한 신대원 학생들을 위한 2박 3일의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목회자와 평신도 리더들을 위한 컴패션 영성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를 통해 영성 목회를 지향하는 적지 않은 목회자들과 영성지도자들이 배출되었다. 개신교 최초로 영성지도 전공 석사학위(M.A.) 과정을 개설하여 이론과 실천의 균형을 이룬 영성지도자들을 양성했다. 다른 한편으로, 개인의 고유함을 존중하며 영적 성장을 돕는 영성지도와 영성수련 사역을 한국 교회에 천착시키고자 강의실을 넘어 교회와 기독교 기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해왔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원에 입학한다. 졸업과 더불어 5년간 서울의 공단지역에서 목회한 후 유학길에 올라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Th.M.)를 취득한다. 시카고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에서 선교학 박사과정을 이수하던 중 인근 학교에서 영성지도 과목을 수강하며 목회에서 미진했던 부분에 대한 해결책을 얻는다. 이로 인해 전공을 영성학으로 변경하는 중요한 선택을 한다. 이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낙스 신학대학원에서 영성학 박사학위(Th.D.)를 취득하고, 실천적 훈련과 경험을 위해 리지스 신학대학원에서 2년 과정의 영성지도 디플로마(Dip. in the Art of Spiritual Direction)를 획득한다. 그리고 로욜라 하우스 영성센터와 샌프란시스코 머시 센터에서 영성수련과 영성지도를 위한 영성지도자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현재는 호남신학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자신과 타인의 영적 성숙을 위한 멈춤과 지속 사이의 역동적 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영혼들의 잔치: 영성지도 이 야기 모음』, 『영성목회』, 『몸살이 영성으로의 초대』, 『하나님을 향한 영혼의 여정』, 『하나님 나라와 평화』, 『포이메네스 영성수련』, 『생명목회』, 『한국교회 올바른 영성 확립과 해석학』 등을 공저했고, 『영성지도: 거룩한 초대』, 『하나님 이미지 치유하기』, 『영성과 목회』를 번역했다.
펼치기
김종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모의 서원기도로 목사가 되고자 하여, 1981년에 전남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 그러나 철학을 공부하다가 사유와 인식의 폭이 확장되면서 신학의 길을 이탈하였다. 특별히 독일현대철학에 관심을 갖고 석사는 ‘마르틴 하이데거’(M. Heidegger), 박사는 '막스 쉘러(M. Scheler)의 철학적 인간학'에 관한 주제로 학위를 받았다. 그러다 인간과 문화의 깊은 연관성에 관심을 갖고 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박사)에서 문화비평과 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를 하였다.
전남대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에 관한 정책과 프로젝트들을 하다가, 하나님이 주신 거룩한 고난 앞에서 다시 나의 정체성을 깨닫고 호남신학교 신대원에 입학하여 목사가 되었다. 목사가 되어 ‘말씀이 삶(문화)이 되는 목회’를 비전으로 삼고 ‘로고스문화교회’를 개척하였다. 수도원적 영성을 핵심가치로 삼고 ‘말씀이 삶(문화)이 되고’, ‘삶이 말씀이 되는 교회’를 세워가는 사역을 하고 있다. 또한 ‘철학하는 목사’라는 이름을 갖고 인문학과 말씀을 연결하는 글쓰기와 강의를 하고 있다.
논문은 「예수와 데리다」, 「인권과 주권의 철학」,「환대의 영성: 아브라함의 환대」,「감정의 신학: 긍휼을 중심으로」, 「이공: 케노시스의 삶의 미학」등이 있다. 저서는 『문화해석과 문화정치』, 『항쟁의 기억과 문화적 재현』(공저)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