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세계사
· ISBN : 9788983893710
· 쪽수 : 231쪽
· 출판일 : 2005-11-21
책 소개
목차
제1장 빨강
1일 : 일요일을 비롯한 공휴일을 왜 빨간색으로 표시할까
2일 : 붉은 색 글씨로 이름을 쓰면 기분 나쁜 까닭
3.4일 : 부적은 왜 붉은 색일까
5일 : 왜 영화제에서 배우들이 걸어가는 길에 레드 카펫을 깔까
6일 : 위험 표지판과 축구 경기의 퇴장 신호 레드 카드의 유래
7일 : 시험지 채점을 왜 빨간 색연필로 할까
8.9일 : 스포츠카에 빨강이 많은 이유
10일 : 사랑의 하트는 왜 붉은색일까
11일 : 수은이나 알코올은 은색인데 왜 온도계 기둥은 빨강일까
12일 : 첫 월급 탔을 때 빨간 내복을 선물하는 이유
13.14일 : 공산주의 국가는 왜 국기에 빨강을 넣었을까
15일 :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은 붉은색이 아닌데 이름이 왜 그럴까
16일 : 스페인 투우수나느 왜 소 앞에서 빨간색 천을 흔들까
17일.18일 : 산타클로스는 왜 붉은색 외투를 입고 굴뚝으로 들어갈까
19일 : 중국인들은 왜 명절 때 빨간 옷을 입을까
20일 : 일본의 붉은 도미구이가 붕어빵의 유래라고요?
21일 : 손톱에 물들인 봉숭아물이 없어지기 전에 첫 눈 내리면, 첫사랑이 이뤄질까
제2장 노랑.주황
22일 : 매우 인색한 사람을 왜 '노랑이'라고 말할까
23일 : '황소'는 누런 색깔의 소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24일 : 제2차 세계대전 때 유대 인은 왜 노란 육각형 별을 달아야 했나
25일 : 왜 중국에서 노란색이 황제의 색으로 여겨질까
26.27일 : 고흐는 왜 그렇게 그림에 노란색을 많이 썼을까
28일 : 전화번호부는 표지색이 파란데, 왜 '옐로 북'이라고 불릴까
29일 : 노란 리본이 기다림과 환영을 상징하게 된 사연
30일 : 왜 스쿨 버스는 모두 노란색일까
31일 : 왜 형광펜에 노란색이 가장 많고, 글자와 겹쳐도 잘 보일까
32일 : 흰 우유로 만든 버터는 왜 노란색일까
33.34일 : 네덜란드 축구팀 별명이 왜 '오렌지 군단'일까
35일 : 티베트 불교의 달라이라마는 왜 주황색 옷을 입고 있을까
제3장 연두.초록
36일 : 왜 외과의사는 수술할 때 초록 가운을 입을까
37일 : 이슬람 문화권 국기에는 왜 초록색이 많을까
38일 : 북극에 있는 세계 최대 섬 그린란드는 정말 초록 땅일까
39일 : 지폐에는 왜 초록이 많을까
40일 : 왜 중국인들은 초록 두건을 부끄럽게 여겼을까
41.42일 : 나무가 좋아하는 색은 초록이 아니다
43일 : 조선 시대 처녀들이 초록 옷을 입은 까닭
44일 : 피터 팬은 왜 초록 옷을 입고 있을까
45일 : 공상과학영화 속의 외계인이나 괴물은 왜 초록빛 몸일까
46일 : 왜 동양 여성들은 초록 옥(玉)을 귀하게 여겼을까
47일 : 고려 시대 사람들은 왜 푸른 청자를 만들었을까
제4장 파랑.남색
48일 : 조선 시대 사람들은 왜 파란색 옷을 싫어했을까
49일 : 성모마리아는 왜 파란 망토를 두르고 있을까
50.51일 : 왜 옷 중에서 유독 청바지가 남녀 모두에게 인기 있을까
52일 : 영국 최고 명예인 가터 훈장은 왜 남색일까
53일 : 서양에서 우울한 음악을 왜 블루스라고 부를까
54.55일 : 왜 음식에서 파란색을 보기 힘들까
56.57일 : 모기와 물고기는 왜 파란색을 좋아할까
58일 : 물고기의 등은 왜 짙푸른 파랑일까
제5장 보라.자주
59.60일 : 마법사 모자는 왜 삼각형이고 보라색일까
61일 : 고대 성직자는 왜 보라색 옷을 입었을까
62.63일 : 클레오파트라는 왜 보라색 옷을 입고 안토니우스를 마중 나갔을까
64일 : 자주색이 서양에서 고난을 상징하는 이유
65일 : 로마 황제는 왜 보랏빛 자주색 옷을 입었을까
제6장 하양
66일 : 웨딩드레스는 왜 흰색일까
67일 : 항복할 때 왜 흰색 깃발을 흔들까
68.69일 : 흰 동물은 왜 상서롭게 여길까
70일 : 그리스 신전이 온통 흰색인 까닭
71일 : 사무직으로 일하는 사람을 왜 '화이트 칼라'라고 부를까
72.73일 : 심봉사는 무슨 뜻이고, 장님은 왜 흰 지팡이를 갖고 다닐까
74일 : 로마 교황 선거 결과를 흰색 연기로 알리는 이유
제7장 검정
75일 : 위기에 나타나 도와 주는 '흑기사'의 유래
76일 : 조직폭력배들은 왜 검정 옷을 입고 다닐까
77일 : '요주의 명단'을 의미하는 '블랙리스트'의 유래
78일 : 블랙 박스는 마술사의 검은 상자에서의 유래
79일 : 왜 영국 변호사들은 법정에서 검정 옷을 입을까
80일 : 유럽 수도자는 왜 검은색 옷을 입을까
81일 : 이슬람 여인들이 검은 차도르를 쓰는 이유
82일 : 검은 그림자 그림을 왜 실루엣이라고 말할까
83일 : 자동차 타이어는 왜 모두 검정일까
제8장 색다른 이야기
84.85일 : 아기 옷 색깔이 남자 아이는 하늘색, 여자 아이는 분홍색인 까닭
86일 : 전통혼례식 때 왜 청사초롱을 사용할까
87일 : 빨강.초록 신호등의 유래
88일 : 이발소 광고등은 왜 파랑.빨강.하양 삼색 줄무늬일까
89일 : 유럽 국기에는 왜 세 가지 색깔의 삼색기가 많을까
90일 : 왜 왕궁이나 사찰에만 단청을 장식했을까
91일 : 일본 가부키 배우들의 분장한 얼굴 색깔을 뜻하는 것
92.93일 : 인류는 다른 동물과 달리 왜 색깔로 사물을 보게 됐을까
94일 : 꽃 색깔이 다양한 이유
95.96일 : 무지개에는 왜 검정이 없을까
97일 : 일출과 노을이 사람의 감정을 좌우하는 까닭
98일 : 소리를 색으로 들을 수 있는 특별한 사람
99일 : 나이에 따라 좋아하는 색이 다를까
100.101일 : 학습 및 업무 능력을 올려 주는 실내 색깔
리뷰
책속에서
이 때 오디세우스 역을 맡은 배우는 시련의 시기에 자주색 옷을 입었는데, 그 이유는 자주색이 고난을 상징하는 색이라는 데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주색이 어두운 피의 색깔을 연상시키기 때문입니다. 같은 이유로 오늘날에도 서양인들은 자주색 옷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주색은 우울증이나 전반적인 기능감퇴를 치료하는 자극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원기를 북돋우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오디세우스의 자주색은 고난으로 인한 슬픔과 동시에 고난 극복을 상징하는 셈입니다. -본문 15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