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83966988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10-06-30
목차
제1장 문학의 본질 17
1. 문학은 언어예술 18
(1) 예술의 본질 / 18
(2) 문학은 예술의 한 갈래 / 23
2. 문학작품은 작가의 소산 28
(1) 표현욕구의 발생 기제 28
(2) 표현 욕구를 자극하는 요인 30
제2장 작가의 문학적 개성 43
1. 작가 개성의 형성 요인 43
(1) 기질결정론 / 44
(2) 선천요인 주도론 / 49
2. 작가 개성의 발현 양상 51
(1) 작품에 반영되는 작가의 개성과 인품 / 52
(2) 작품 속에 반영되는 작가의 운명 / 58
(3) 작가 인품과 작품 풍격의 괴리 가능성 / 61
3. 작가 작풍의 변화 66
(1) 양강(陽剛)에서 음유(陰柔)로 / 66
(2) 작풍의 변화를 가져오는 처세태도의 변화 / 71
(3) 작풍의 변화와 관련 있는 사상의 변화 / 77
제3장 문학작품의 의의 79
1. 세계의 충실한 재현 81
(1) 자연의 재현 / 82
(2) 사회의 재현 / 83
(3) 시화일률론 / 86
(4) 모방론적 시론 신운설(神韻說) / 89
2. 독자를 감화시키기 위한 장치 92
(1) 정치 사회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 / 92
(2) 독자에 대한 도덕적 감화 / 94
(3) 효용론과 예술의 접점 / 96
(4) 효용론적 시론 격조설(格調說) / 97
(5) 격조설과 신운설의 상관관계 / 101
3. 작가의 진솔한 내면세계의 표출 104
(1) 표현론이 분기되는 지점 / 104
(2) 감성적 내면세계의 표현 / 106
(3) 개인적 격정의 표출 / 108
(4) 개성의 중시 / 110
(5) 표현론적 시론 성령설(性靈說) / 113
(6) 신운설과 성령설의 상관관계 / 115
4. 작품은 그 자체로 자족적 실체 116
(1) 인체에 비유되는 작품 / 116
(2) 풍격론에 담겨 있는 작품유기체론 / 117
5. 문학작품의 의의는 독자가 만들어내는 것 119
(1) 인물비평의 경우 / 119
(2) 문학비평에서의 독자의 적극적 개입 / 120
제4장 문학작품의 형식과 내용 123
1. 문학작품에서 형식과 내용의 범주 124
(1) 형 식 / 124
(2) 내 용 / 124
2. 형식과 내용의 상관관계 125
(1) 형식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 / 125
(2) 내용에 따라 결정되는 형식 / 131
(3) 형식에 의해 왜곡되는 내용 / 132
(4) 여러 가지 형식으로 표현되는 내용 / 134
3. 문학작품에서의 수사(修辭) 137
(1) 문학의 본질적인 요소 / 137
(2) 시대 문풍(文風)의 가늠자 / 138
(3) 수사를 형식으로 보는 중국학계의 시각 / 140
(4) 내용에서 전화된 형식 / 142
(5) 형식으로서의 수사의 바람직한 역할 / 146
(6) 내용과 무관할 수 없는 수사 / 148
(7) 문학작품에서 수사의 위상 / 149
제5장 문학의 시대성 151
1. 지리적 요인 152
(1) 남북에 따른 지리적 특성 / 152
(2) 지리적 특성의 변화 / 156
2. 정치?사회적 요인 158
(1) 사회상 / 159
(2) 왕조의 성쇠 / 161
(3) 정치 권력자의 애호 / 164
3. 기타 요인들 167
(1) 학술사상 / 167
(2) 걸출한 작가와 작품의 출현 / 174
(3) 특정 장르의 발전 단계 / 175
제6장 문학사의 전개 요인 177
1. 중국문학사를 읽는 몇 가지 이항 구조 177
(1) 현실주의와 반현실주의 / 178
(2) 남방과 북방 / 179
(3) 음과 양 / 180
2. 이성과 감성의 이원 힐항 181
(1) 이성과 감성의 사전적 의미 / 183
(2) 이성과 감성의 발현 조건 / 185
(3) 문학에 반영되는 이성과 감성 / 190
3. 전통 계승의 몇 가지 유형 191
(1) 복고주의 / 192
(2) 혁신주의 / 193
(3) 절충주의 / 195
제7장 ‘律(율)’ 또는 규범의 의의 199
1. ‘율(律)’의 문학적 의미 201
(1) 창작 및 비평 경험의 귀납 / 201
(2) 형식의 확립 / 202
(3) 장르의 완성 / 203
2. ‘율’의 양면성 204
(1) 비평의 준거 또는 창작의 가이드라인 / 204
(2) 형식에 의한 내용의 제약 / 205
(3) 권위에 의한 사유의 제약 / 206
3. ‘율’에 담긴 이데올로기 208
(1) 규범으로서의 ‘율’ / 208
(2) 지배이데올로기 / 209
4. ‘율’ 또는 규범의 운용원리 213
(1) 상황에 적응하는 규범 / 213
(2) 수정출기(守正出奇) / 214
5. 전통계승의 방법론 217
(1) 규범이 되는 전통 / 217
(2) 상황으로서의 현재 / 218
(3) 현재에 봉사하는 전통 / 220
6. 형식과 내용의 상관관계 222
(1) 규범으로서의 형식 / 222
(2) 상황으로서의 내용 / 223
(3) 내용에 적응하는 형식 / 224
7. 기타 규범 변용의 예 224
(1) 요구(拗救) / 224
(2) 활법(活法) / 225
(3) 시어 운용의 경우 / 226
(4) 변려문(騈儷文)의 원리 / 227
제8장 문학의 감상과 비평 229
1. 문학비평의 발생과 의의 230
(1) 창작 추수(追隨) / 230
(2) 창작 선도 / 230
(3) 독자의 작품 이해 보조 / 231
2. 비평가의 요건 232
(1) 비평가와 작가의 공통 요건 / 232
(2) 비평가와 작가가 구별되는 자질 / 234
3. 비평의 지향 237
(1) 풍격비평(風格批評) / 238
(2) 구지비평(求知批評) / 242
(3) 원류비평(源流批評) / 248
4. 비평문의 여러 형태 250
(1) 비평문의 형태상 발전과정 / 250
(2) 독립적인 비평서 / 253
(3) 단편 문장이나 부속 문건으로 된 비평문 / 257
제9장 한자와 중국어에 의한 중국문학의 특성 265
1. 한자 및 중국어의 특징 266
(1) 상형문자 / 267
(2) 성조 / 267
(3) 고립어 / 268
2. 한자의 형태로 인한 중국 문장의 특징 268
(1) 형태미 추구 / 268
(2) 시각적 이미지 중시 / 271
(3) 함축적 표현의 발달 / 271
3. 음성적 요소에 기인한 중국문장의 특징 273
(1) 음악성 추구 / 273
(2) 동음이자에 의한 쌍관어의 발달 / 280
4. 고립어적인 특성에 기인한 중국문장의 특징 282
(1) 제언체(齊言體)의 발달 / 282
(2) 대구의 발달 / 283
(3) 품사의 변환에 의한 시적 분위기 / 285
5. 중국인의 문장관과 일치하는 시가의 장르풍격 286
6. 시가가 발달한 중국문학 288
제10장 중국문학의 갈래 291
1. 중국 전통의 장르 인식과 장르 분류 291
(1) 문학에 대한 인식의 성숙 과정 / 292
(2) 전통적 장르 분류 개황 / 294
(3) 중국 역대 장르 분류의 특징 / 302
2. 중국문학 장르 경계의 모호성 305
(1) 중간자적 성격의 장르 / 306
(2) 이중 성격의 작품 / 307
(3) 동일 명칭의 이종 장르 / 309
3. 중국문학 장르간의 조합과 분리 310
(1) 이종 장르의 조합 / 311
(2) 기성 장르에서 새로운 장르의 분리 / 313
4. 중국문학 장르 분류의 표지 316
(1) 수사(修辭) / 316
(2) 문장의 용도 / 318
(3) 행문의 성격 / 320
(4) 조사(措辭)와 제재의 성격 / 320
(5) 기 타 / 322
5. 중국문학 장르 분류 체계도 시안 323
참고문헌 326
주요 각주 분류 목록 330
후기: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336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은 전통적으로 문학의 나라였다. 국가의 모든 통치행위가 문서로써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던 중국의 전통사회에서는 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발굴하여 관리로 삼았다. 그래서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선발하는 국가고시인 과거에서는 문학적 재능을 검증하는 시험을 부과하기도 하였다. 그런 까닭에 중국의 전통 사회에서는 시와 문을 중심으로 하는 문학을 익히는 것이 사대부들의 기본 교양이었다. 그것은 동시에 입신양명의 주요한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중국의 전통사회에서는 문학이 생활화되어 있었던 것이다. ...<중략>...
중국문학의 입문을 도우려는 목적으로 쓴 책들은 대부분 중국문학 각 장르에 관한 사항을 소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물론 각 장르에 대한 충분한 기초 지식은 중국문학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중국문학 전반에 관한 문제, 예컨대 중국 사람들이 어떤 관념에 입각하여 문학을 했으며, 문학의 본질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던지 등과 같은 문제들에 대해서는 대개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중국문학을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의 문학 일반에 대한 기초적인 해설이 결여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반대로 ‘문학개론’ 또는 ‘문학원론’이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는 시중의 책들에는 그러한 사안들에 대한 논의나 해설이 풍부하나, 거기에 동원된 자료들은 서구문학이나 현대 한국문학에서 취한 것이 대부분이고 한국 고전문학이나 중국문학과 관련된 것들은 별로 없다. ...<중략.>..
중국문학에 대한 연구도 문학은 무엇이며, 문학을 하는 의의는 무엇인가 하는 근원적인 물음에서 시작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학작품의 의의는 무엇이며, 문학사는 어떻게 전개되는가 하는 보다 원론적이고 근원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그것은 중국문학의 특질을 파악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중국문학의 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확인하는 작업이 되기도 할 것이다.
중국 전통사회에서도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무수한 작품들을 쌓아오면서 ‘문학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위한 것이며, 인간의 정신세계와 어떤 연관을 맺는 것인가?’ 등과 같은 문학의 기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충분한 고민을 하였다. 다만 그 내용들을 일관된 체계로 정리해내지 않았을 뿐이다.
이제 옛 중국인들이 남긴 글들의 행간을 좇아 그들의 문학 일반에 대한 사유의 흔적을 찾아가는 여정에 오르고자 한다. 여정의 종착지는 그 사유의 흔적들을 다듬어 문학 일반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로 가공해내는 것이 될 것이다. 중국문학의 자료로써 문학을 논하기에 중국문학의 특수성이 드러나겠지만, 동시에 중국문학의 문학으로서의 보편성도 확인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그리하여 중국문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이에게 길을 돌아가는 불편을 덜어줄 수 있다면 필자에게는 크나큰 보람이 될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