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봉이 김선달

봉이 김선달

(아동문학가 김원석 선생님이 다시 쓴 우리고전)

김원석 (지은이)
영림카디널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100원 -10% 2,500원
450원
10,150원 >
8,100원 -10% 2,500원
0원
1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5,7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17개 1,1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봉이 김선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봉이 김선달 (아동문학가 김원석 선생님이 다시 쓴 우리고전)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동화/명작/고전 > 어린이를 위한 고전
· ISBN : 9788984017184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2-05-31

책 소개

중학생이 되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우리 고전 시리즈 10권. 대동강 물을 팔아먹었다는 익살꾼 김 선달의 이야기를 아동문학가 김원석이 어린이들 눈높이에 맞춰 다시 엮고 다듬어 펴낸 것이다. 가난하지만 정직하게 살아가는 이웃을 도와주는 그의 따뜻한 마음은 우리에게 진한 감동을 전해 준다.

목차

머리말
1. 구월산 구경 / 2. 대동강을 판 김 선달
3. 물에 빠진 사람 건져 주니 / 4. 꿩 먹고 알 먹고
5. 배꼽이 둘인 처녀 / 6. 똥 싸고 돈 벌고
7. 이게 무엇인고 / 8. 김 선달의 복수
9. 복수를 위한 생일잔치 / 10. 양반을 골탕 먹이고
11. 똥 세례를 받은 김 선달 / 12. ‘봉이’라는 별호의 내력
13. 삼각산 도사

저자소개

김원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평화 방송겿塵?탁?전무이사와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회장을 지냈어요. 1975년 《월간문학》 아동문학 부문 신인 상, 호국문예상 입선, 한국동시문학상, 한국아동문학 상, 소천아동문학상, 박홍근아동문학상, 가톨릭문학 상을 받았고 동요 ‘예솔아’로 유럽방송연맹 은상을 받았어요. 동요 동시집으로 『초록빛 바람』 『예솔아』 『바보천사』 『똥배』 『아가랑 시랑』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대통령 우리들의 대통령』 『꿈길』 『아름다운 바보』 『빨간 고양이 쨩』 『깨비 깨비 아기 도깨비』 『모두에게 따스한 세상을 위해』 『누가 뭐래도 우리 엄마』 『오싹오싹 도깨비 도감』 등이 있어요.
펼치기

책속에서

때는 봄. 세상 사람 모두가 근심걱정 없이 잘 사는 좋은 시절 봄이다. 그렇듯 나라의 웃어른인 상감마마를 비롯해 그 아래 모든 문관과 무관, 또 그 밑으로는 수많은 백성들이 한결같이 온갖 시름(시름: 마음에 걸려 풀리지 않고 늘 남아 있는 근심과 걱정.)을 잊고 사는 춘삼월이었다.
평양성(平壤城) 선교리에 있는 허름한 초가집. 울타리는 다 쓰러져 가서 집 안이 훤하게 다 들여다보이고 사립문(사립門: 나뭇가지를 엮어서 만든 문짝인 사립짝을 달아서 만든 문.)은 있으나 마나다. 이 집은 아무리 보아도 주변머리 없는 선비 집이 아니면 게으른 시골사람 집이 분명하다.
귀하고 천한 것을 가리지 않고 따스한 은총을 골고루 뿌려주는 봄빛. 허름한 집 쓰러져 가는 울타리 가장자리 살구나무에도 분홍빛 살구꽃이 피어났다.
“붕붕 부웅붕…….”
꿀벌들 날갯짓 소리가 봄날을 더욱 한가롭게 했다. 배를 쭉 깔고 누어있던 게으른 개가 낯선 나그네를 보았는지,
“멍멍 멍멍멍…….”
짖는 소리가 조용하고 평화로운 봄 낮을 뒤흔들었다.
“허흠!”
허름한 집 남쪽으로 난 방문 앞마루에서 팔베개를 베고 누워 있던 사나이가 스르르 몰려오는 졸음을 이기지 못해 눈을 감았다 떴다 연신(연신: 잇따라 자꾸.) 선하품을 했다.
“멍멍멍…….”
사르르 눈을 감고 있던 사나이는 개 짖는 소리에 잠이 달아나, 얼굴을 찡그리며 눈을 번쩍 떴다.
“저놈의 개새끼가 어째 저렇게 짖어대는 거야. 오는 여름 복날에 보신탕 해먹을까 보다.”
사나이는 입맛을 쩝쩝 다시면서 중얼거리다가 뜰 앞에 있는 살구나무를 쳐다보았다.
“붕붕 부웅붕…….”
꿀벌들 날갯짓 소리가 한가로웠다.
“휴우…….”
살구꽃송이를 쳐다보던 사나이 입에서 엷은 한숨 소리가 새어 나왔다.
“좋기는 좋은 시절 봄, 봄인데…….”
사나이는 혼잣말로 중얼거렸다.
“정말 봄은 봄이로구나.”
사나이 마음은 가볍게 설레었다. 봄이라는 계절이 사나이 마음을 설레게 해 가만 있지 못하게 했다.
“흠, 봄빛에 꽃이 활짝 피었겠다. 나도 저 꽃이 지기 전에 어디든 봄을 따라 훌쩍 다녀와야겠구나.”
이 사나이가 바로 애 어른 할 것 없이 모두 알고 있는 그 유명한 봉이 김 선달(鳳伊 金先達)이다.
봄이면 산과 들에 피어나는 꽃향기에 취해 정해진 곳 없이 방랑길을 나서는 김 선달[선달(先達): 문무과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하지 않은 사람. 조선 중기 이후에는 주로 무과에 급제하고 벼슬을 받지 못한 사람만을 가리켰다.]이요, 여름이면 우거진 나무의 푸르름을 즐기고, 가을이면 이 산 저 산에 소리 없이 떨어지는 단풍잎 소리를 들으며, 인생의 무상함[무상함(無常함): 무상하다: 덧없다, 허무하다. 모든 것이 덧없다.]을 달래는 방랑객[방랑객(放浪客): 방랑자(放浪者). 정한 곳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사람.] 아닌가. 또 겨울이면 눈 속에 싸인 낯선 주막에 막걸리 한 잔이 그리워 방랑길에 오르곤 하는 이가 바로 봉이 김 선달이다. 그런데 이 봄에 어찌 쓰러져가는 집 안에서 시름없이 가는 봄날을 그냥 보낼 수 있겠는가. 그런데 막상 집을 떠나려고 마음먹으니 어디로 가야 할지 떠오르지 않았다.

- '구월산 구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