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84104426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12-09-10
목차
차례
서문
제1부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제1장 국가균형발전의 철학과 미래 과제 _ 성경륭
I. 정권 변화와 정책 변화
II. 한국 현대사의 반성 : 산업혁명의 빛과 그림자
III. 국가균형발전의 철학과 정책 노선
IV. 참여정부의 정책설계와 성과
V.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미래 과제
제2장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사회적 창조성의 관점에서 _ 박준식·성경륭·정동일
I. 문제의 제기
II. 낙후지역개발 정책의 변화
III. 낙후지역발전에 대한 이론틀의 제시
IV. 결론
제3장 창조적 지역발전과 그룹지니어스 _ 성경륭·정동일
I. 머리말
II. 신활력사업과 낙후지역발전 전략
III. 그룹지니어스 과정과 지역발전
IV. 자료와 방법론
V. 다변량 분석
VI. 결론 및 토의
제2부 지역 전환의 조건 : 사회적 자본과 창조성
제4장 낙후지역에서의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 _ 정동일·허목화
I. 문제의 제기
II. 사회적 자본과 지역발전
III. 연구의 맥락과 방법
IV. 사회적 자본 형성과 저항의 동학
V. 저항의 극복과 사회적 자본 공고화의 조건
VI. 맺음말
제5장 자발적 결사체 참여와 사회적 자본 _ 김영범·이기원·안동규
I. 들어가며
II. 선행 이론 및 연구 방법
III. 분석 결과
IV. 결론 및 한계
제6장 지역사회 리더 육성과 사회적 자본의 공고화 _ 정동일·박준식
I. 머리말
II. 자료에 대한 개요 및 종속변수
III. 사회적 자본의 형태에 따른 리더 교육의 효과
IV. 결론 및 토론
제3부 사례 연구
제7장 춘천 지역 로컬푸드 운동의 프레임 변화와 그 현재 _ 정동일
I. 머리말
II. 프레이밍과 로컬푸드 운동
III. 춘천 지역 로컬푸드 운동의 전개와 프레임의 변화
IV. 춘천 지역 로컬푸드 운동의 현재─균열과 통합의 가능성
V. 결론
제8장 원주 지역 의료기기 클러스터의 사회학 _ 박준식
I. 문제의 제기
II. 클러스터의 지역적 위상과 특징
III. 혁신클러스터와 조직 네트워크
IV. 클러스터와 인적 자원 네트워크
V. 시사점
제9장 지역 대학의 위기와 대안 모색 _ 박준식
I. 문제의 제기
II. 지역경제와 대학 : 이론과 현실의 딜레마
III. 지역 대학과 지역경제
IV. 대학의 위기와 지역의 협력
V. 대학의 위기 : 완벽한 삼각파도
제10장 산천어 축제의 작은 일자리 만들기 _ 박준식·최윤재
I. 문제의 제기
II. 작은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III. 결론
제11장 사회적 경제와 대안의 모색 _ 엄한진
I. 문제의 제기
II. 대안 운동으로서의 사회적 경제
III. 새로운 도시 문제와 지역관리기업의 태동
IV. 대안적인 지역경영 체계로서의 지역관리기업
V.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