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로스쿨 가족법강의

로스쿨 가족법강의

(제2판)

신영호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로스쿨 가족법강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로스쿨 가족법강의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88984114074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3-03-05

책 소개

2011년 3월 7일자의 민법 개정, 2011년 5월 19일자의 민법 개정, 2012년 2월 10일자의 민법 개정. 세 차례의 가족법 개정을 반영한 <로스쿨 가족법강의> 제2판. 1편 '가족법 총설', 2편 '친족', 3편 '상속'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제1편 가족법 총설

Ⅰ. 가족법의 의의와 성질 3
1. 가족법의 의의_3 2. 가족법의 성질_8
3. 재산법과 가족법과의 관계_9
Ⅱ. 한국가족법의 연혁 12
1. 개 관_12 2. 종법제의 계수와 그 정착_12
3. 구민법시대_13 4. 현행민법전의 성립과 가족법_15
5. 가족법의 개정_16
Ⅲ. 가족법상의 권리와 법률행위 18
1. 신분권_18 2. 신분행위_19
Ⅳ. 신분관계의 공시 23
1. 신분등록제도_23
2. 등록부의 작성과 등록사항별 증명서_25
3. 등록부의 정정_31
Ⅴ. 가사분쟁의 처리 34
1. 가사분쟁의 특수성과 가정법원_34 2. 가사사건의 종류_34
3. 가사소송_36 4. 가사비송_38
5. 가사조정_39 6. 이행의 확보_40

제2편 친 족
제1장 친족의 의의와 범위 47
Ⅰ. 친족의 의의와 종류 및 범위 47
1. 친족의 의의_47 2. 종 류_49
3. 친계와 촌수_52 4. 친족의 범위_55
Ⅱ. 친족관계의 변동 57
1. 발 생_57 2. 소 멸_58
Ⅲ. 친족관계의 효과 60
1. 민법상의 효과_60 2. 그 밖의 법률상의 효과_60

제2장 가족의 범위와 자녀의 성과 본 61
Ⅰ. 가족의 의의와 범위 61
1. 가족제도의 의의_61 2. 가족의 의의와 범위_64
3. 가족신분의 효과_65
Ⅱ. 자녀의 성과 본 65
1. 원 칙(부계혈통주의)_65 2. 예 외_67
3. 자녀의 성과 본_67 4. 자녀의 이름_72

제3장 혼 인 75
Ⅰ. 혼인제도의 역사 75
Ⅱ. 약 혼 78
1. 의 의_78 2. 성립요건_78
3. 효 력_80 4. 해 제_80
Ⅲ. 혼인의 성립 84
1. 실질적 요건_84 2. 형식적 요건_91
Ⅳ. 혼인의 무효와 취소 93
1. 의 의_93 2. 혼인의 무효_93
3. 혼인의 취소_95
Ⅴ. 혼인의 효과 99
1. 서 설_99 2. 부부의 지위에 관한 효과_100
3. 부부간의 재산관계_105
Ⅵ. 사실혼의 보호 112
1. 서 설_113 2. 사실혼의 성립_113
3. 효 과_115
4. 사실상혼인관계존재확인청구_116
5. 해 소_116
Ⅶ. 혼인의 해소 118
1. 총 설_119 2. 협의이혼_122
3. 재판상이혼_130 4. 이혼의 효과_141

제4장 부모와 자녀 156
Ⅰ. 민법상 친자관계의 의의 156
Ⅱ. 친 생 자 157
1. 혼인 중의 출생자_158 2. 혼인 외의 출생자_166
3. 친생자관계존부확인의 소_177 4. 준 정_180
5. 인공수정자_181
Ⅲ. 양 자 184
1. 양자제도 총설_184 2. 일반양자_186
3. 친 양 자_201
Ⅳ. 친 권 210
1. 친권의 의의_210 2. 친 권 자_213
3. 친권의 내용_217 4. 친권의 소멸과 회복_227

제5장 후 견 235
Ⅰ. 총 설 235
Ⅱ. 미성년후견 238
1. 미성년후견의 개시_238 2. 미성년후견인_239
3. 미성년후견감독기관_247 4. 후견의 종료_250
Ⅲ. 성년후견 252
1. 의 의_252 2. 성년후견_252
3. 한정후견_259 4. 특정후견_262
5. 임의후견_264 6. 성년후견의 공시_273

제6장 부 양 276
Ⅰ. 부양제도 276
Ⅱ. 부양의 유형 277
1. 생활유지적 부양의무(제1차적, 필연적 생활보존의무)_277
2. 생활부조적 부양의무(제2차적, 예외적?우연적 생활부조의무)_277
Ⅲ. 부양청구권 278
Ⅳ. 부양당사자의 범위와 순위 279
1. 범 위_279 2. 순 위_280
Ⅴ. 부양의 정도와 방법 280
Ⅵ. 사정변경 281

제3편 상 속

제1장 총 론 285
Ⅰ. 상속법의 의의 285
1. 상속법의 의의와 본질_285 2. 상속법의 기능과 목적_287
Ⅱ. 상속권의 근거 290
1. 상속제도의 존재이유에 대한 견해_290
2. 현대 상속권의 근거_291 3. 상속권의 제한_292
Ⅲ. 상속의 형태 293
1. 제사상속, 신분상속과 재산상속_293
2. 단독상속과 공동상속_293 3. 법정상속과 유언상속_294
4. 생전상속과 사후상속_294 5. 강제상속과 임의상속_295
Ⅳ. 한국의 상속제도 295
1. 서 설_295 2. 고려시대 이전_295
3. 조선시대_298 4. 조선민사령시대_302
5. 현행법시대_303 6. 현행상속법의 기본문제_306

제2장 상 속 309
Ⅰ. 총 칙 309
1. 상속의 개시_309 2. 상속회복청구권_314
Ⅱ. 상 속 인 328
1. 상속능력 및 상속인의 종류와 순위_328
2. 대습상속[승조상속(承祖相續)]_338
3. 상속결격_342
Ⅲ. 상속의 효과 347
1. 권리의무의 승계_348 2. 공동상속_376
3. 상 속 분_384 4. 상속분의 양수_415
5. 상속재산의 분할_419
Ⅳ. 상속의 승인과 포기 432
1. 서 설_433 2. 단순승인_437
3. 한정승인_438 4. 상속의 포기_442
Ⅴ. 재산의 분리 447
Ⅵ. 상속인의 부존재 449
1. 의 의_449 2. 상속재산의 관리와 청산_450
3. 특별연고자에 대한 분여_451 4. 상속재산의 국고귀속_454

제3장 유 언 455
Ⅰ. 총 설 455
1. 유언제도_455 2. 유언의 성질_457
3. 유언사항의 범위_457 4. 유언능력_458
Ⅱ. 유언의 방식 459
1. 유언의 요식성_459 2.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_461
3. 녹음에 의한 유언_464 4.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_464
5. 비밀증서에 의한 유언_466
6. 구수증서에 의한 유언(특별방식의 유언)_466
Ⅲ. 유언의 철회 468
1. 의 의_468 2. 임의철회_469
3. 법정철회_469 4. 유언철회의 효과_471
Ⅳ. 유언의 효력 471
1. 유언의 효력발생시기_471 2. 유언의 해석_472
3. 유언의 무효와 취소_473
Ⅴ. 유 증 474
1. 유증의 의의와 성질_474 2. 유증의 종류_475
3. 수유자와 유증의무자_476 4. 유증의 승인과 포기_477
5. 수유자와 유증의무자의 권리의무_479
6. 부담 있는 유증_482
Ⅵ. 유언의 집행 484
1. 의 의_484
2. 유언집행의 준비절차(검인과 개봉)_484
3. 유언집행자의 결정_485

제4장 유 류 분 491
Ⅰ. 유류분제도 491
1. 유류분제도의 의의_491 2. 유류분권의 의의_492
3. 유류분의 포기_493
Ⅱ. 유류분의 범위 494
1. 유류분권자_494 2. 유 류 분_494
3. 유류분액의 산정_495
Ⅲ. 유류분의 보전 498
1. 유류분반환청구권_498 2.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_499
3. 반환청구의 한도 및 순서_501 4. 반환청구권행사의 효력_502
5. 공동상속인 간의 유류분반환청구와 상속재산의 분할_503
Ⅳ. 반환청구권의 소멸 504
1. 소멸시효_504
2. 상속이 개시된 때로부터 10년_505

▨ 판례색인 506
▨ 사항색인 521

저자소개

신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 력]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공동상속의 법적 구조에 관한 연구) [경 력] - 동아대학교 법과대학 전임강사, 조교수 - 단국대학교 법학대학 조교수, 부교수, 교수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겸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 한국가족법학회·한일법학회·통일과 북한법학회 회장 -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이사장 - (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 (현) 북한인권정보센터(NKDB) 이사장 [수 상] - 옥조근정훈장 [저서 및 역서] - 법과 사회변동(공역: 나남, 1986) - 공동상속론(나남, 1987) - 북한법입문(공저: 세창출판사, 1998) - 조선전기상속법제―조선왕조실록의 기사를 중심으로(세창출판사, 2002) - 가족관계등록법(세창출판사, 2009) - 러시아민법전(세창출판사, 2010) - 사법제도의 사회적 기능(공역: 세창출판사, 2011) - 인류혼인사(공역: 세창출판사, 2013) - 북한 민법 주석(공저: 법무부, 2015) - 권리를 위한 투쟁(공역: 세창출판사, 2015) - 북한 가족법 주석(공저: 법무부, 2015) - 법학제요(공역: 세창출판사, 2017)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