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8411933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0-03-20
책 소개
목차
서문
1. 미학이란 무엇인가
2. 미란 무엇인가
3. 예술이란 무엇인가 Ⅰ: 모방론
1) 플라톤의 예술론: 예술에 대한 비판
2)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 예술에 대한 옹호
4. 예술이란 무엇인가 Ⅱ: 표현론
5. 예술이란 무엇인가 Ⅲ: 형식론
6. 예술 개념의 성립
7. 미 개념의 변천
8. 미적 태도론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제 우리는 더 분명하게 미학은 아름다움에 대해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아름다움이 그림, 음악 그리고 꽃, 풍경, 석양, 젊은 남녀 등 세상에 수없이 많은 아름다운 것들에 나타난다면, 그러한 대상을 철학적으로 연구할 때 미학이 성립하는 것이다.
보편자는 어떤 사물의 종류에 해당되는 모두를 의미하거나 그런 종류의 원형 또는 대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사람은 죽는다”라는 말을 할 때의 사람은 모든 사람을 의미하며,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조각에 나타난, 벌거벗고 앉아 한 손으로 턱을 괴고 있는 청년은 특정한 어떤 한 사람이 아닌 사람의 전령 또는 사람의 대표라고 생각한다.
예술가가 본질을 모방해야 된다면, 그(녀)는 눈에 보이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 단순 모방론을 주장한 플라톤을 따른다면, 눈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옮겨 그릴 때 훌륭한 화가라고 인정받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 모방론을 따른다면 예술가는 피상적인 모습 너머에 있는 본질을 찾을 수 있는 혜안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