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

강선아, 김정현, 신운화, 신현주, 양민정, 오종환, 우성원, 이은아, 이종희, 이해완, 정혜윤, 조선우, 최도빈, 최근홍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5212057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9-01-15

책 소개

재현의 개념을 분석 미학의 방법론으로 개관하고 논의한다. 이 책은 겉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자명해서 설명의 여지조차 없는 것처럼 보이는 재현이 사실은 얼마나 복잡한 현상이며 관련된 논의의 풍부함은 어디까지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목차

머리말

1부 회화적 재현의 본성
1장 재현과 기호: 넬슨 굿먼의 재현론을 중심으로 | 김정현
서론: 모방론과 굿먼
굿먼의 기호 체계와 재현
굿먼의 재현론의 한계
결론: 굿먼이 남긴 유산
2장 미학적 분석 대상으로서의 재현 | 오종환
서론
닮음 이론
회화적 재현의 자연적 생성성과 다양한 회화적 재현 체계
결론
3장 회화적 재현과 ‘안에서 보기’ | 양민정
서론
그림이란 무엇인가?
‘안에서 보기’란 무엇인가
결론
4장 회화적 재현의 사실성과 로페스의 국면-재인 이론 | 최도빈
서론: 회화적 사실주의란?
기호 체계로서의 회화적 재현과 사실주의
체계 간(inter-systemic) 회화적 사실주의: 재현 체계의 정보제공 능력
체계 내(intra-systemic) 회화적 사실주의: 해석 체계와 지각적 개념
결론

2부 매체에 따른 재현의 양상
1장 음악에 대한 심적 표상의 이론들 | 이종희
서론: 표상으로서의 음악적 representation
심적 표상의 특징
음악적 표상에 대한 논의
결론
2장 음악과 재현, 그리고 절대음악의 신화 | 정혜윤
서론
음악적 재현
‘절대음악’의 신화
결론
3장 사진과 재현| 최근홍
서론: 사진 이론의 발전과 사진 미학
사진과 재현을 둘러싼 미학적 문제들
결론

3부 재현과 미학적 주제들
1장 재현적 그림의 인지적 지위 | 신현주
서론
명제 이론
드러냄 이론
직관주의
결론
2장 불편한 예술의 역설: 예술 속 재현과 부정적 감정의 문제 | 조선우
서론: 불편한 예술의 역설
불편한 예술의 역설에 대한 해결책들과 풍부한 경험 이론
다시 보는 메타반응 이론
의도된 불편함과 관객의 메타반응: 영화 <돌이킬 수 없는>을 중심으로
결론
3장 해석과 재현: 다양한 현대 미술작품에서의 재현 | 신운화
서론
예술작품의 해석과 재현
재현의 관례주의적 성격
좀 더 확장된 재현 개념의 필요성
현대미술에서의 재현
결론
4장 재현과 은유: 은유의 재현적 구조 | 강선아
서론
실재적 재현의 불가능성: 우리는 해석된 세계 안에서 살고 있다
경험의 범위로 한정된 세계와 재현의 관계
가능세계 의미론과 평등한 재현들
결론

4부 재현의 확장
1장 디지털 이미지에서 재현과 비재현의 문제 | 이은아
서론: 디지털 이미지의 고유성
디지털 이미지와 재현
시뮬라크르, 비재현
메타 이미지, 재현과 비재현의 교차와 종합
결론: 재현, 비재현의 변증법
2장 허구적 재현으로서의 비디오 게임 | 우성원
서론
비디오 게임과 예술
월튼적(Waltonian) 모델로 본 비디오 게임
상호작용적 허구로서의 비디오 게임
무엇을 재현하는가: 허구세계, 게임세계, 그리고 메타재현
결론
3장 포르노그래피적 재현과 예술 | 이해완
서론
포르노그래피와 예술의 양립 가능성 옹호
포르노그래피와 예술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비판
예술적 감상의 문제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종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분석미학과 음악미학을 공부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예술종합대학 등에 출강하고 있다. 공역서로 『순수음악의 미학』(2000), 『미학의 모든 것: 철학적 미학의 길잡이』(2018)가 있고, 논문으로 「허구적 대상에 대한 양상 문장의 해석」(2012), 「음악적 표현성과 말할 수 없음 논제에 관하여」(2014), 「음악, 청취 경험의 표상성에 대한 옹호」(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최도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버펄로 뉴욕주립대 철학과에서 “Sentimentalist Virtue Theories of Mengzi and Hume”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철학과에서 Visiting Assistant Professor로 있으며, 동서양 비교철학적 시각에서 윤리학, 미학 등 가치론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철학의 눈으로 본 현대예술』(2012), 『새로운 예술을 꿈꾸는 사람들』(2016)이 있고, 논문으로 「‘진정성(authenticity)’의 최초 조건」(2017), 「흄 ‘덕의 기준’에 대하여」(2018), 「아크라시아의 두 원인」(2018), “Moral Artisanship in Mengzi 6A7”(2018), “The Heart of Compassion in Mengzi 2A6”(2019), “Mengzi’s Maxim for Righteousness in Mengzi 2A2”(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해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영미철학을 기초로 하는 분석미학을 통해 미와 예술의 문제들을 탐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문화적 허영을 경계하고 박제되지 않은 진행형 지식을 탐구한다. 미와 예술뿐 아니라 인간의 감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일상의 언어로 최대한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힘쓰고 있으며, 상식과 합리적 논의가 필요한 곳에서 살아 있는 철학의 쓸모를 알리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저서로는 《불온한 것들의 미학》(2023), 《노엘 캐럴》(2017),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2019, 공저), 《미학 대계 1~3권》(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오종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재직하며(1993-2018), 미학의 연구와 강의에 전념하였다.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1976년 학사 학위, 1979년 석사 학위를, 1990년 미국 Southern Illinois Univ.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미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2011-2012), 국제미학회 임원으로서 활동하였다(2001-2017). 「On the Problem of Imagining Seeing Fictional Objects」(2006), 「묘사 이론에서 닮음의 문제」(2014)를 비롯한 여러 논문을 한국미학회 학술지인 『미학』에 발표하였고, 「미적 도구주의의 관점에서 본 예술비평의 인식적 성격」(1995), 「허구에 의해 환기되는 감정의 합리성 문제」(2002) 등 여러 논문을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학술지인 『인문논총』을 중심으로 발표하였으며, 공저자로서 다수의 책을 출간하였다. 역서로서는 『예술과 지식』(Art & Knowledge, 제임스 O. 영 저, 2013)이 있다.
펼치기
조선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미국 템플대학교 철학과에서 “Cognitive Transformation as a Value of Art: A Study of the Congnitive Value of Art”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2013~2015),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교양학부 강의전담 교수로 있으면서 미학과 인문학 전반을 가르치고 있다. 『감정, 이성보다 깊은』(2015)을 번역하고,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2014)의 공역에 참여했으며, 논문으로 「재조합 (reconfiguration)과 예술의 인지적 가치」(2011), 「내러티브 예술작품과 도덕성에 대한 고찰」(2014), 「예술 속 재현과 부정적 감정의 문제」(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강선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은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중앙대학교에서 미학과 현대미술론을 가르치고 있다. 논문으로 『그림에 대한 의미론의 가능성과 의의』, 『은유와 닮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은유의 확장과 의미론의 관계』, 『창의성의 원리로서의 은유에 대한 연구』, 『은유의 이중 재현 구조』 등이 있다.
펼치기
정혜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음악 이론으로 학사 학위를, 미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미시건 대학교(앤아버)에서 음악의 정서 표현성에 대한 분석철학적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분석미학으로부터 출발해 인지언어학과 신경미학으로 관심의 영역을 확장해 왔으며 최근에는 체화 인지의 관점에서 미와 예술 현상을 분석하고 인간의 본성을 해명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피터 키비』(2024), 공저로 『마음이란 무엇인가』(2024), 『체화된 마음과 뇌』(2024),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2024), 『음악 비평, 분석, 해석』(2020),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2019), 『몸과 인지』(2015), 『예술철학』(2011) 등이 있고, 번역서로 『새로운 마음 과학』(2024)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타인에 대한 이해—행화주의적 틀짓기”(2024),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인공지능의 예술도 진정한 예술이 될 수 있을까?”(2023), “마음의 음악적 확장”(2021), “음악의 정서표현성에 대한 현대분석철학의 논의와 그 한계”(2021), “음악의 행위성: 발제주의에 의한 해명”(2018), “개념적 혼성의 음악적 적용”(2017), “신경미학, 무엇이 문제인가?”(2016)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은 <예술적 가치에 관한 다원주의: R. Stecker의 비본질주의를 중심으로>가 있다. 그 외 논문으로는 <예술적 가치와 미적 가치 구분의 필요성>(2007), <예술적 가치의 다원성>(2007), <노엘 캐롤의 대중예술의 정의에 대한 소고: 존 피셔와 데이비드 노비츠의 비판을 중심으로>(2016)가 있고, 번역서로는 《미학의 모든 것: 철학적 미학의 길잡이》(2018)와 공저로 《미학이 재현을 논하다》(2019)가 있다. 현재는 (주)노들 엔터테인먼트의 대표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신운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은 <예술작품에 대한 해석적 다원론에 관한 연구: J. 마골리스의 상대주의 해석 이론을 중심으로>이며, 그 외 저술로 논문 <작품 해석에 있어서의 온건한 의도주의>(2011), <예술 작품의 해석 문제와 마골리스의 상대주의 해석 이론>(2012), <해석과 재현: 다양한 현대 미술작품에서의 재현>(2019), 번역서로는 《미학의 모든 것: 철학적 미학의 길잡이》(2018), 공저로 《미술의 이해와 감상》(2020) 등이 있다. 현재 조선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의 초빙객원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교육강의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신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은 <심리적 내재론과 미적인 것>(Individualism and the Aesthetic)이며, 그 외 게재 논문으로는 <심리적 내재론과 미적 지각>, <미적 속성 실재론 대 반실재론 논쟁과 심리적 내재론>,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 논쟁의 재구성: 의도 개념을 중심으로>, <상상적 저항 현상을 통해서 본 예술의 도덕적 비평 논쟁>, <가장놀이의 인지적 구조를 통한 허구 감상의 문제 해결>, 번역서로는 《미학의 모든 것: 철학적 미학의 길잡이》(2018)가 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숭실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최근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미적 개별주의 연구: 예술비평 담론에서 개별주의 접근의 전망」(2017)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산하 예술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이며, 중앙대학교와 조선대학교 등에서 가르치고 있다. 논문으로 「두터운 미적 개념의 평가적 함축: 의미론적 개별주의를 향하여」(2015), 「미적 불일치, 상대주의, 그리고 미적 실재론」(2016), 「재현 예술작품으로서의 사진」(2017), 「래드포드의 퍼즐과 비인지주의 감정 이론의 전망」(2018), 「독특한 현상으로서 비극의 역설: 인과적 접근과 동기 접근」(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양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그림 안에서 보기: 회화적 재현의 본질에 대한 논의」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에 출강 중이다. 논문으로 「굿맨의 재현 이론에 대한 재고찰」(2013), 「사진의 인식적 특징과 사진 경험의 현상학」(2016), 「예술적 가치란 무엇인가: “예술적 가치”의 두 가지 개념과 그 한계」(2018) 등이 있으며, 역서로 『미메시스: 믿는 체하기로서의 예술』(근간)이 있다.
펼치기
우성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메릴랜드대학교와 웨슬리신학대학원에서 가르치고 있다. 종교철학, 윤리학, 논리학, 동서양철학비교연구 등을 강의하며 메릴랜드대학교 우수 강의상을 수차례 수상했다. 논문으로 “An Impossibility Result for Best System Account”(2015), “Laws of Nature and Benevolent Dictatorship”(2015) 등이 있으며, 역서로 『기원논쟁』(2016)이 있다. APA, Cocoon PPC, SCP 등 주요 철학학회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는 집단지성과 합리성의 철학적 문제들과 새로운 형식의 디지털 매체들의 미학적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영상미학을 전공했다. 현재 동서울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전북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 「관객의 영화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메를로-퐁티 몸 현상학에 기반한 소브책 영화이론을 중심으로」(2005), 「베르그손,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과 가상적 실재」(2014), 「가상현실과 수용자 몸의 관계에 기반한 지각적·정념적 시공간성 연구」(2015), 「가상현실과 몸: 디지털 이미지와 수용자의 관계에 대한 연구」(2017), 「혼합현실로서의 가상현실과 몸」(2018) 등이 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예술과 수용자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학과 철학의 범위를 확장하고 첨단기술과 인문학을 접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플라톤의 말처럼 회화가 사물의 외양, 즉 사물이 보이는 방식을 모방하는 것이라면, 회화는 어떠한 방식에서건 그 회화가 그리고 있는 대상 혹은 그것이 보이는 방식과 닮아야 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모방론은 회화적 재현을 닮음으로 설명했을 때 발생하는 두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하나는 닮음을 규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닮음의 경우 우리가 어떤 기준점을 설정하는가에 따라 지각자마다 닮음에 대한 다른 판단을 내리게 되는, 지각자 상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가 그린 <별이 빛나는 밤에(The Starry Night)>는 어떤 지점에서는 고흐가 올려다본 그날의 밤하늘을 닮은 한편, 그 캔버스는 실제 하늘보다는 같은 종류의 캔버스를 더 닮았을 것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만일 플라톤의 말처럼 회화적 재현의 핵심이 모방, 즉 닮게 만드는 것이라면, 실제 대상이 아닌 그것과 닮게 만들어진 것의 가치가 그리 높을 것 같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에는 무언가 배울 것도 없다. 불행하게도 플라톤은 같은 이유에서 회화적 재현뿐 아니라 조각을 포함한 시각 예술 전반이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고 결론짓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림에 있어 닮음이라는 개념은 가장 기본적이고 포기할 수 없는 개념이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그림이 묘사하는 형태와 색에 있어서의 닮음은 묘사된 대상을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 우리는 무엇이 묘사되었는가를 맥락에 따라 결정해야만 한다. 그림은 인간의 문화적 활동의 산물이기에, 그러한 인공적 산물의 설명에 물리적으로 절대적인 닮음이라는 개념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이고, 인간 활동의 역사적 맥락이 개입해야만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재현의 파악이 맥락의존적이라는 사실을 닮음 이론의 결함으로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는 닮음의 개념에 기초한 묘사 이론으로 그림에서 어떤 변형과 조합이 나오면서 그림이 역사적으로 발전해왔는가를 설명해야 할 것이다.


손으로 그린 그림의 경우 그것이 그려져 있는 매체가 의식되지 않은 대상에 대한 파악이라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어쩌면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초기 시각 단계라든지 그림이라는 것을 인식하기 전의 눈속임 그림에 대한 경험의 경우 그러한 일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림을 그림으로서 보는 것은 의식적인 경험이며, 그림이 지각적 경험의 대상이라는 사실은 우리가 단지 그 의미만 파악하고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주의깊게 그림을 관찰하게 한다. 우리가 그림을 재현으로서 보는 이상, 우리는 그것을 지각적 경험을 위해서 인간이 의식적으로 만들어낸 산물로 본다. 마이클 포드로(Michael Podro)가 지적하듯이, 우리는 그림을 볼 때 그것을 그림을 그리는 행위와 과정의 산물로서 보며 재현을 하기 위해 만들어낸 표면으로서 보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32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