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진년 난리를 당하매

임진년 난리를 당하매

(임진왜란에 조국을 지킨 아홉 의병장 작품집)

휴정, 고종후, 곽재우, 조헌, 고경명, 이정암, 정문부, 사명당, 문덕교 (지은이), 오희복 (옮긴이)
보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진년 난리를 당하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진년 난리를 당하매 (임진왜란에 조국을 지킨 아홉 의병장 작품집)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84282131
· 쪽수 : 711쪽
· 출판일 : 2005-08-08

책 소개

책은 420여 편의 시와, 함께 일어나 싸울 것을 외치는 20여 편의 격문을 통해 아홉 의병장들의 절절한 나라 사랑을 보여준다. 또한 온 겨레가 함께 일어나 왜란을 이겨 내고, 폐허가 된 땅 위에 새로운 온기를 불어 넣으려 애쓰던 우리 선조들의 기상을 만날 수 있다.

목차

겨레고전문학선집을 펴내며

곽재우
조헌
고경명
고종후
이정암
정문부
서산대사
사명당
문덕교


임진왜란 의병장 활동 지역과 관군의 주요 격전지
임진왜란 전쟁 일지
임진 의병장 작품에 대하여 - 오희복
원래 제목으로 찾아보기

저자소개

청허휴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선사禪師로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아명은 운학雲鶴, 호는 청허淸虛이다. 조선 불교를 부흥시킨 선종禪宗의 대선사로, 불교 수행과 학문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승병僧兵을 이끌어 호국불교를 실천한 인물로 ‘서산대사西山大師’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나, 12세에 출가 지리산과 금강산 등 여러 산에서 수행하며, 깨달음을 얻었다. 선禪 수행과 교학敎學을 함께 연구하며 조선 불교의 중흥을 이끌었고 ‘선가귀감禪家龜鑑’과 ‘선문염송禪門拈頌’ 등 많은 저술을 남겨 후대 선종 불교의 교과서 역할을 했다. 1604년 입적(열반)했다.
펼치기
고종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54~1593. 조선 중기 의병장으로 자는 도충이며, 호는 준봉, 시호는 효열이다. 1577년(선조10)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이 현령에 이르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적군과 싸우다가 아버지와 동생 인후를 잃었다. 이듬해 각지에서 의병을 모아 싸우다 하동에 이르러 진주성이 위급해짐을 듣고 성안에 들어가 싸웠다. 김천일.최경회 등과 싸우다가 남강에 몸을 던져 죽었다.
펼치기
곽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52~1617. 임진왜란이 일어난 4월에 경상도 의령에서 처음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펼치기
조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백천白川,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도원陶原·후율後栗,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1565년 성균관에 입학, 1567년에 문과에 급제해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동문들에게조차 강경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그런 성격으로 인해 정치적 부침을 거듭했다. 성균관 재학 시절 왕실의 불교 관행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삭직되었고, 정여립에 대한 비판, 시무時務의 폐단을 지적, 일본과의 통교通交를 반대하는 상소에서 주도적으로 앞장서다가 선조의 미움을 받기도 했다. 1574년 북경으로 가는 사절단에 참여해 얻은 특별한 경험을 조선의 제도 개혁을 위한 근거로 삼아 《동환봉사東還封事》로 구체화시켰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자 옥천에서 문인들과 의병을 모아 청주성 등을 수복했다. 이어 왜군을 막기 위해 금산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했지만 모두 전사했다. 이이·성혼·이지함의 문인이며 특히 이이의 학문을 계승했다. 1754년(영조 30) 영의정에 추증, 1883년(고종 20) 문묘에 배향되었다. 표충사表忠祠, 우저서원牛渚書院, 문회서원文會書院, 성곡서원聖谷書院, 상현서원象賢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중봉집》이 있다.
펼치기
고경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33~1592. 전라도 담양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금산 싸움에서 둘째 아들과 함께 전사했다.
펼치기
이정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41~1600. 황해도 연안에서 왜적을 막아 냈는데, 이 싸움은 역사에 '연안 대첩'으로 기록되었다.
펼치기
정문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65~1624. 함경도 경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적에게 점령당했던 서울과 함경도를 되찾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펼치기
사명 유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44~1610. 금강산의 승려들을 모아왜적에 맞섰다.
펼치기
문덕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51~1611. 함경도 함흥에서 동생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가 동생이 왜적에 잡혀 죽은 뒤에는 후학을 가르는 데 남은 생을 바쳤다.
펼치기
오희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일성 종합 대학의 박사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고전 문학을 연구했다. 논문으로 '구전 설화 작품들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간단한 고찰'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호음의 운에 차운하여 - 고경명

허리에 큰 칼 차고 불평을 하소하니
한밤중 성루 위엔 검은 구름 뒤덮네.
이 세상 장부 할 일이 왜 없으리.
귀한 몸 부질없이 욕되게 하지 말게.

- 본문 131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