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시민운동/NGO/NPO
· ISBN : 9788984291225
· 쪽수 : 281쪽
· 출판일 : 2006-08-31
책 소개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참여연대 임원 분석 방법
1. 임원의 정의
2. 자료 수집 방법
3. 자료 분석 방법
제3장 참여연대 임원의 기본 통계
1. 직업
2. 출생지역
3. 연령
4. 출신 고등학교
5. 출신 대학교
6. 경력
7. 참여연대 임원의 활동 기간과 직책 수
제4장 참여연대의 지배구조
1. 회원 참여율
2. 참여연대 운영위원.집행위원의 성격
3. 참여연대의 폐쇄적 지배구조
제5장 참여연대의 이너서클
1. 인물별 네트워크 분석
2. 변수(집단)별 네트워크 분석
제6장 참여연대의 권력유착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참여연대 역대 임원
2. 참여연대 정관
3. 참여연대 임원 기본정보
4. 참여연대 임원의 활동년수와 직책점유 현황
5. 참여연대 임원의 소속단체 현황
6. 참여연대 임원들의 소속집단(변수) 현황
7. 참여연대 임원의 네트워크분석 1
8. 참여연대 임원의 네트워크분석 2
책속에서
이번 참여연대 연구를 통해 밝혀진 시민사회와 권력의 유착 역시 서구의 시민사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참여연대로 대표되는 한국의 시민사회는 구각에 대항하는 독자적 세력으로서의 시민사회가 아니었다. 동일한 인적 구성을 모태로 하여 국가의 정책적 목표에 따라 정권에 의해 동원되고, 또 필요에 따라 국가권력의 요소요소에 침투하여 시민운동의 목표를 위해 국가의 자원을 동원하는 권력과 시민단체의 융합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시민사회는 국가.정부로부터 독립된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 서로 포섭되고 동원하며 연계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참여연대가 비판한 한국사회의 경제 영역이나, 이 글이 비판하고 있는 시민사회 영역 역시 동일한 메커니즘에 기반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본문 110쪽에서